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다음
read 1694 vote 0 2020.08.16 (03:40:32)

메타학문은 어떤 학문보다 한 단계 높은 것으로 생각되곤 한다. 그러나 곰곰히 생각해보니 우리가 메타- 라고 말하는 것은 한 단계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질의 메타는 입자이고 입자의 메타는 힘이다.

즉 인류가 그동안 잘못된 방향으로 보고 있었다는 의미이다. 이 오류가 학문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말이 통하지 않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문과와 이과가 서로 자기가 더 높은 단계라면서 기싸움을 하고 이것이 막대한 혼란을 주고 있다.

물리학은 깊은 영역으로 들어가면 수학이 된다는 말이 있다. 또 사회학 역시 물리학으로 수렴된다는 말도 있다. 이것이 착각을 일으킨다. 물리학이 수학에 의존한다고 해서 수학이 물리학보다 더 높은 것은 아니다. 오히려 물리학이 수학보다 더 높은 차원의 것이라는 것을 확실히 해야 한다. 수학만으로는 절대 물리학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물리학만으로는 절대 철학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

그러나 물리학을 서술하는 데는 반드시 수학이 필요하다. 비록 불완전하지만 물리학을 설명하려면 반드시 수학을 사용해야 한다. 우리는 이것을 메타-라고 부르고 이는 한단계 내려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메타물리학은 수학이다. 또 메타수학은 논리학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063
1778 인과는 하나다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1-10-05 3767
1777 15개월 아기도 공정성 판단? 2 김동렬 2011-10-11 5414
1776 스티브 잡스와 <나는 꼼수다>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16 5492
1775 커피의 구조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1-10-25 4514
1774 나쁜 카드를 선택하라. 2 김동렬 2011-10-31 3899
1773 사람이 되고 싶은 난초 image 4 김동렬 2011-11-18 10718
1772 다섯 개의 질문 6 김동렬 2011-11-28 3663
1771 디자인과 파인아트의 차이 5 양을 쫓는 모험 2011-11-30 4060
1770 소년탐정 김전일 image 8 양을 쫓는 모험 2011-12-04 4883
1769 옛강론 다시보기 - 딴지일보 예측 돋음 솔숲길 2011-12-05 4503
1768 세종대왕은 골프를 쳤을까? image 10 김동렬 2011-12-06 8898
1767 구조론부흥대성회 image 17 양을 쫓는 모험 2011-12-13 6815
1766 한 해가 저문다, 음악이나 듣자 image 11 ahmoo 2011-12-21 9224
1765 손톱 발톱 모래톱 image 3 김동렬 2012-01-03 5354
1764 두더지의 눈 image 1 김동렬 2012-01-04 8625
1763 쫄지 말아야 진보다. 1 김동렬 2012-01-05 4319
1762 과학자들의 집단 정신병 image 2 김동렬 2012-01-05 4870
1761 유전자가 결정한다. 7 김동렬 2012-01-16 4830
1760 뇌과학의 진화 3 오세 2012-01-22 3995
1759 구조론으로 본 역사관 1. 현재주의 vs 역사주의 3 오세 2012-01-26 6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