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read 1290 vote 0 2020.08.03 (01:15:26)

이전 공부 글들과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구조론에서 우주의 근본은 동이라 한다. a,b,c,d,e,f라는 공간의 동들이 있다고 치자. 여기에 z라는 동이 가해지는데 때마침 조건이 들어맞아서 a,b,c가 같이 연동된다면?

그럼 e,f는 논외이며 z에 대하여 끼리끼리 나란한(정) a,b,c는 z와 경계를 이룬다. 이러한 조건의 충족이 양자이다. z와의 만남에 대하여 abc는 코어를 세우며 중심 b의 위치이다.

b를 중심으로 하는 입자 abc와 입자 z는 순간적으로 일대일 대칭을 이루지만 멈춘 건 아니다. 왜냐하면 z는 abc와는 나란하지 않은 즉 동적인 관계라 했기 때문이다.

z와 나란한 자투리 z^가 abc내부로 복제되어 침투한다. z^는 코어 b와 맞선다. 코어 b는 a,c를 거느리고서 z^와 자리를 바꾼다. 이렇게 멀어진 z^는 량으로서 외부로 뿌직 싸진다.

이녀석이 또 제 3의 관측자인 우리에게 침투하면 비슷한 방식으로 뇌 안에서의 전기적 자리바꿈을 유도하니 정보의 습득이다. 맨 처음 z를 가한 게 인간일 수도 있다.

z를 가하면 z^을 배출받으니 뭔가 자리바꿈이 벌어졌음을 감지한다. 이로부터 우리는 z와 abc덩어리는 서로에 대하여 동이었다는 전제를 추론한다.

z를 가했더니 중간에 아무것도 거치지 못하여 그대로 z가 내 손바닥에 가해진다면 사건이 벌어지지 않았던 거다. 혹은 굳이 z가 없더라도 사건은 가능하다.

공간의 동들 a,b,c,d,f 중에서 조건만 잘 맞으면 f가 외력으로서 나머지 abcd덩어리와 맞설 수 있다. 이 경우 abcd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배출된 f^는 f가 abcd와의 맞섬 조건을 소모한 상태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2020.08.03 (14:18:12)

첨부합니다.

처음 예시에서 z역시 abc와 만날 땐 뭔가의 덩어리로 보아야 할 겁니다.
단지 abc덩어리에 대해선 서로 외력관계라는 거죠.
z가 사실 xyz라면 이 녀석 역시도 b로 대표되는 abc라는 외력을 처리해 b^라는 정보를 뱉어내는 식입니다.

제가 세상 모르게 자다가 잠꼬대로 주먹으로 벽을 팍 쳤다고 쳐보죠.
벽은 벽대로 주먹은 주먹대로 균일한 것이 사건의 출발인 질일 겁니다.
질대칭이라는 말은 벽과 주먹을 각각 입자로서 성립시키는 대칭 단계를 질이라고 부르자는 거겠고요.

벽 입자의 정보는 힘으로 복제되고 주먹 입자의 정보 역시 힘으로 복제됩니다.
힘의 정보는 서로 위치를 교환합니다.
최초에 벽과 주먹을 이질적이었다는 정보가 최후에 벽과 주먹에게로 각각 전달됩니다.


이미 전달된 걸 도로 물릴 수는 없습니다. 

통증이라는 량이 또다시 절묘하게 저의 뇌에 외력으로서 작용한다면 이는 다음 사건으로의 연결입니다.

제가 통증을 무시한다면 연결은 끊어집니다.

피드백을 못하는 저는 손의 피부를 조금씩 손실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624
2086 류현진과 정현욱의 차이 3 눈내리는 마을 2009-03-18 6342
2085 IT혁명의 미래 2 르페 2009-03-18 5122
2084 한국사회 구조조정 1 눈내리는 마을 2009-03-24 5487
2083 우리나라 연예인, 우리나라 기획사 2 양을 쫓는 모험 2009-03-30 10501
2082 읍내리님께 image 1 김동렬 2009-04-09 7048
2081 김동렬님께 1 읍내리 2009-04-10 4656
2080 덧붙이는 이야기 image 김동렬 2009-04-10 6728
2079 용력을 과시하는 시골 용사가... 2 읍내리 2009-04-10 5551
2078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332
2077 자기존중감과 선을 넘기 3 ahmoo 2009-04-15 5849
2076 과학 속의 비과학 image 3 김동렬 2009-04-16 5866
2075 돈있는 수구꼴통들은 죄가 없습니다 물론, image 가혹한너 2009-04-17 8173
2074 성장통 image 2 눈내리는 마을 2009-04-28 5502
2073 노무현은 아직도 할 일이 많다. 4 양을 쫓는 모험 2009-04-30 6222
2072 세잔의 사과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09-05-08 21032
2071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273
2070 일상에 대한 단상 12 참삶 2009-05-15 4691
2069 글을 쓸수도 책을 읽을수도 없습니다 1 눈내리는 마을 2009-05-30 5576
2068 시스템에서 감각으로 5 양을 쫓는 모험 2009-06-04 4978
2067 진짜와 가짜 눈내리는 마을 2009-06-10 4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