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89 vote 0 2023.07.09 (13:14:57)

    인간의 본능은 둘이다. 생존본능과 세력본능이다. 방어본능과 공격본능이다. 보수본능과 진보본능이다. 노인본능과 청춘본능이다. 생존본능이 작동하면 차별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지만 그런 말은 밖에서 하는게 아니다. 우울한 생각이 들어도 그걸 전파하면 안 된다. 


    자살충동이 느껴져도 그걸 입 밖에 내면 안 되는 것과 같다. 생존본능을 드러내면 교양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들킨다. 백인들은 차별하지 않는 척한다. 교양이 없다는 사실을 들키면 망신이니까. 생산력 경쟁에서 밀린 주제에 교양도 없으면 유럽인은 바로 아웃이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는 대놓고 차별했다. 내가 차별하면 니까짓게 어쩔건데? 그러다 총 맞는다. 총이 보급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또 차별하게 된다. 이번에는 글자로 두들겨 맞는다. 언론이 출현했기 때문이다. 개화기 언론을 보라. 차별을 비난하는 계몽주의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당시는 백정차별이 사회문제였다. 그러다가 또 차별한다. 이번에는 돈으로 맞는다. 상놈들이 돈을 벌어서 양반을 갈구기 시작한다. 차별하면 총에 맞고, 글에 맞고 돈에 맞는다. 이전에는 없었던 총, 글, 돈이 젊은 사람의 수중에 들어가고 젊은 사람은 그 무기를 휘두르기 때문이다. 


    젊은이는 차별하지 않는다. 젊은이는 매력이 있고 그 매력을 써먹어야 하는데 차별하면 매력이라는 무기를 사용할 기회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젊은이는 세력본능이 생존본능을 압도한다. 그들은 대세력작전을 쓴다. 젊은이는 자기편을 규합하여 꼰대들을 밟아버릴 야심이 있다.


    세계를 정복할 야심을 가진 징기스칸은 차별을 하지 않는다. 오직 눈엣가시 타타르족을 확실히 밟아버릴 뿐. 차별한다는 것은 매력이 없고, 야심이 없고, 늙었고, 희망이 없고, 총이 없고, 글이 없고, 돈이 없다는 자기소개다. 중서부의 가난한 백인은 야심이 없고 늙었고 희망이 없다. 


    그들은 총이 없고, 글이 없고, 돈이 없어서 흑인, 아시아인, 히스패닉, 여성, 성소수자 안 가리고 다 차별하며 트럼프 찍는다. 그들은 매력이 없고 생존의 위기에 몰려 있기 때문이다. 오지에 고립되어 어차피 대세력작전을 쓸 수 없기 때문이다. 매력없음을 들키는 순간 아웃이다.


    차별하는 것은 나는 매력이 없다는 선언이며 자살과 메커니즘이 같다. 한국인이 차별하는 이유는 중국을 정복할 야심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그들은 노무현 정신을 잃고 점차 머저리로 퇴행하고 있다. 우리 같이 가진 것이 없이 사는 사람은 매력이라도 가져야 살아갈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3158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21686
5941 김어준 또 틀렸다 김동렬 2023-08-31 2973
5940 원인은 자연의 조절장치다. 김동렬 2021-07-06 2975
5939 마리 앙투아네트 김건희 김동렬 2024-01-20 2975
5938 우주의 건축 1 김동렬 2021-02-18 2976
5937 구조론은 정답이 있다 1 김동렬 2019-10-27 2977
5936 설의 어원 김동렬 2022-01-31 2978
5935 사건의 퍼즐 맞추기 김동렬 2021-12-03 2979
5934 구조론은 열린사상이다. 김동렬 2021-01-10 2983
5933 과학은 세는 것이다 김동렬 2021-12-30 2985
5932 잔 다르크와 윤석열 김동렬 2023-04-20 2985
5931 대선 한 달 앞. 이재명의 전략은? 1 김동렬 2022-02-11 2986
5930 이기는 방향으로 전진하라 김동렬 2021-01-16 2987
5929 암호와 비가역성 김동렬 2021-05-06 2987
5928 에디슨과 테슬라 그리고 JP 모건 5 김동렬 2022-02-09 2987
5927 육하원칙 김동렬 2023-03-24 2987
5926 주체의 언어 1 김동렬 2019-11-25 2988
5925 데카르트의 우상 1 김동렬 2020-05-04 2989
5924 패러다임의 전환 1 김동렬 2020-03-19 2989
5923 일원론 이원론 다원론 image 김동렬 2021-07-03 2989
5922 엔트로피 1초 만에 이해하자 1 김동렬 2020-09-12 2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