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64 vote 0 2020.03.01 (18:24:23)

    위대한 도약

  
    우리는 관측된 정보를 통해 세상을 인식한다. 정보는 눈과 귀와 코와 혀와 피부로 지각된다. 그 정보는 관측대상을 거쳐온 간접적인 정보다. 과수원에서 붉은 사과를 하나 봤다면 그 정보는 태양의 빛이 사과를 거쳐온 것이다. 우리가 본 것은 상당부분 피사체인 사과의 사정이 아니라 광원인 태양의 사정이다. 그러므로 조명의 밝기에 따라 사과의 색깔이 다르게 보인다. 


    에너지의 작용과 수용이 있다. 보이는대로 반응한다면 에너지의 수용측에 선 것이다. 작용측에 서야 진실이 보인다. 사과를 거쳐온 빛에 수동적으로 반응할 것이 아니라 사과 안에서 어떤 의사결정이 일어나는지를 능동적으로 봐야 한다. 피사체를 거쳐온 간접 정보 말고 관측대상 그 자체의 내부사정을 직접 읽어내는 방법이 구조론이다. 내부에는 의사결정구조가 있다.


    사과가 내부에서 빛을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보는 것이다. 내부에 있는 것은 어떤 둘의 간격이다. 우리는 막연히 대상 그 자체의 고유한 속성이 있다고 믿지만 이는 어법에 맞지 않은 잘못된 언어사용이다. 고유하다는 말은 모르겠다는 말과 같다. 내부에 어떤 둘이 만나는 간격이 있어서 정보를 연출하면 인간은 그 정보를 읽는다. 그 내부의 간격이 구조다. 진실은 그곳에 있다.



[레벨:4]고향은

2020.03.02 (13:06:04)


우리가 과수원에서 붉은 사과를 봤다면. 우리의 입장이 아니라


붉은 사과의 사정과  입장 (心情) - (사과가 사람이라고 가정했을 경우에)

을 봐야 한다


붉은 사과 자체가 빛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처해진

사과 자체의 추진력을 봐야 한다


붉은 사과의  'being' 도 읽어내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귀타귀

2020.03.02 (14:37:34)

행렬은 연산자다
벡터는 행렬을 통과하면서 변환된다
연산자의 구조를 의식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39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01
992 사건은 머리와 꼬리가 있다 2 김동렬 2021-05-26 2976
991 모든 숭배는 우상숭배다 1 김동렬 2019-12-31 2976
990 사건과 사물 김동렬 2021-10-29 2975
989 자연은 서로 지목한다. 2 김동렬 2020-01-09 2975
988 3.1절의 문재인 김동렬 2021-03-01 2974
987 원자론과 진화론 1 김동렬 2020-11-25 2974
986 성탄절의 의미 김동렬 2023-12-24 2973
985 코끼리를 고질라로 키우는 김기현 2 김동렬 2023-04-13 2973
984 대선 한 달 앞. 이재명의 전략은? 1 김동렬 2022-02-11 2972
983 구조론 김동렬 2021-11-18 2972
982 인간이 퇴행하는 이유 김동렬 2022-02-12 2969
981 먼저 말 걸면 지는 거다. 김동렬 2021-03-01 2969
980 윤석열을 위한 변명 1 김동렬 2023-11-30 2968
979 과학은 세는 것이다 김동렬 2021-12-30 2968
978 메커니즘을 이해하라 8 김동렬 2020-09-03 2968
977 신의 입장 4 김동렬 2020-02-08 2968
976 에디슨과 테슬라 그리고 JP 모건 5 김동렬 2022-02-09 2967
975 육하원칙 김동렬 2023-03-24 2965
974 패러다임의 전환 1 김동렬 2020-03-19 2965
» 위대한 도약 2 김동렬 2020-03-01 2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