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이란
read 3763 vote 0 2002.09.09 (15:50:39)

학문의 집적도별 분류

집적도 1 에서 학문

학문은 집적도 1 에서 5 까지 전개하며 전체에서 각각 유도(근거), 대응(동기), 의속(목적), 인과(방법), 표상(결실)의 기능을 나타낸다.
집적도 1은 그 기능들에서 첫째의 유도기능이다. 존재로부터 학문을 이끌어 냄으로서 학문의 궁극적 근거를 제공한다.
집적도 1 은 하나의 실재와 대응요소 둘, 구성요소 다섯으로 이루어진다.
집적도 1에서 학문은 하나의 실재로서의 학문과 그 학문을 바깥에서 유도해오는 과정에서 외부개입 변수로서 공간적 위치를 특정해주는 공간변수와 시간적 순서를 특정해주는 시간변수의 두 대응요소 그리고 안에서 내부적으로 성립시키는 과정에서 유도, 대응, 의속, 인과, 표상의 기능을 각각 책임맡는 다섯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학문은 학문의 공간적 전개위치를 특정해주는 세계와 시간적 발달과정을 특정해내는 인간정신의 두 대응요소에 의해 성립한다.
바깥에서 세계와 인간의 두 대응요소가 학문의 껍질을 형성하고 안에서 내부기능을 담당하는 다섯가지 구성요소들이 학문의 알맹이를 형성한다.

[정리 : 대응요소는 학문의 껍질이고 구성요소는 학문의 알맹이다]

학문의 구성요소 5 는 곧 존재론, 인식론, 정신론, 방법론, 문명론이다.
존재론은 유도기능을 가지고 학문의 두 대응요소 중 공간변수로서의 세계, 그 공간적 전개위치를 특정하여 인간인식으로 이끌어낸다. 즉 세계(존재)에서 인간으로 학문을 이끌어오는 과정에서 그 전개방향을 지정해주는 역할을 가진다.
인식론은 대응기능을 가지고 학문의 두 대응요소 중 시간변수로서의 인간정신, 그 시간적 전개순서를 특정하여 인간정신의 일방향으로 전개해오는 존재론을 마중하여 호응하며 학문의 성립과정에서 성립순서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가진다.
정신론은 의속기능을 가지고 학문의 두 대응요소 중 시간변수를 공간변수에 종속시켜 먼저 세계의 전개 그리고 그 안에서 인간의 위치를 특정해주며 학문을 외적인 성립에서 내적인 구성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역할을 가진다.
방법론은 인과기능을 가지고 학문의 두 대응요소가 정신론에서 하나로 통일되어 인간에 의해 실천될 때 그 실천순서를 특정해주며 학문의 내부적발달과정에서 발달순서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가진다.
문명론은 표상기능을 가지고 학문의 두 대응요소가 방법론에서 실천되어 인류문명에 침투할 때 그 침투성과를 특정해주며 학문의 최종적 결실을 문명으로 나타내는 역할을 가진다.
구성요소 5 의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존재론의 유도..세계가 스스로를 드러내는 방식
(존재는 이끌어온다)
인식론의 대응..인간이 세계를 받아들이는 방식
(인식은 마중한다)
정신론의 의속..인간이 받아들인 세계를 학문으로 전환하는 방식
(정신은 전환한다)
방법론의 인과..인간이 학문을 세상에 실현하는 방식
(방법은 실천한다)
문명론의 표상..학문이 인간자신을 변화시키는 방식
(문명은 수확한다)

집적도 1 ....> 실재 1 대응요소 2 구성요소 5
대상 ---+-- 공간변수 --+--+--- 유도
+-- 시간변수 --+ +--- 대응
+--- 의속
+--- 인과
+--- 표상
집적도 1에서 학문
학문 ---+-- 세계존재 --+---+--- 존재론
+-- 인간정신 --+ +--- 인식론
+--- 정신론
+--- 방법론
+--- 문명론

집적도 1에서 좌표
(존재론→) (방법론↑)
세계 |정신론 (문명론→)
-----+-------
학문 | 인간 (인식론↑)

집적도 2 에서 학문

집적도 2 의 기능은 전체학문에서 대응기능이다. 집적도 1 이 유도한 학문에 인간을 대응시켜 인간에게 학문의 동기를 제공한다.
집적도 2 는 대응요소 10과 구성요소 25로 설명되어 진다.
집적도 2 는 집적도 1 의 구성요소 5가 자기복제 하여 대응요소 10으로 확장한 후 상호대응하여 각각 기능을 획득하고 구성요소 25로 전개한 것이다.
집적도 2 에서 학문은 집적도 1 이 유도해 낸 구성요소 5의 존재론, 인식론, 정신론, 방법론, 문명론이 공간변수로 전환하고 자기복제하여 중요성, 필연성, 가능성, 합리성, 현실성의 시간변수 5를 낳고 이들이 상호대응하여 구성요소 25를 생산해낸다.

집적도 2에서 학문 -- 대응요소 10 -- 구성요소 25
+----+----+
공간변수 시간변수
| |
존재론 -- 중요성 --- 1. 2. 3. 4. 5.
인식론 -- 필연성 --- 2. -+--+--+--+
정신론 -- 가능성 --- 3. -+--+--+--+
방법론 -- 합리성 --- 4. -+--+--+--+
문명론 -- 현실성 --- 5. -+--+--+--+

집적도 2에서 시간변수 다섯가지는 세계존재로부터 특정사건이 주어졌을 때 인간정신이 거기에 대응함에 있어서 우선적 고려의 순서이다.

중요성 ..1, 중요한가? -- 사건자체의 자연적 성질에서 사건규모의 판단
필연성 ..2, 무엇인가? -- 인간에 의해 규정될 상대적 성질에서 사태의 판단
가능성 ..3, 가능한가? -- 사건과 인간을 연관시켜 사태에 대한 인간의 개입방식 판단
합리성 ..4, 유리한가? -- 인간이 개입하여 사태를 조정함에 따른 사태추이의 판단
현실성 ..5, 옳은가? -- 사태가 종결된 후 사건이 인간에게 남기는 영향의 판단

중요성, 현실성 등에서 성은 효과에 대해 요소를 말한다. 요소는 시간 상에서 해체되어 효과를 낳는다. 성은 효과를 예비하는 시간적 성질을 말한다. 시간변수 5성은 공간변수 5론의 학문이 그 집적도 1의 유도기능에서 집적도 2의 대응기능으로 전환함에 있어서 자기복제하여 세계정신과 인간정신 두 대응요소의 시간적 대응순서를 특정해가는 각 단계의 과정들이다.
시간변수의 판단은 먼저 공간변수인 세계존재에서 사건이 유발되었을 때 시간변수인 인간정신이 사태에 대응하여 개입함에 있어서 시간적 우선순위에 따라 단계적으로 강도를 높여가는 과정의 순서특정으로 한다.

1. 중요성 ..중요한가? ..사건이 일어나면 먼저 그 사건에서 인간을 배제한 순수상태에서 사건 자체의 자연적 성질을 쫓아 그 사건규모의 크기로 중요성을 판단한다. 중요성은 인간과 상관없이 사건자체의 규모가 결정한다.
2. 필연성 ..무엇인가? ..1의 중요성 판단에서 그 사건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판단이 서 면 다음으로 인간이 대응하여 사건에의 개입여부를 결정한다. 필연성은 사건 과 인간의 상대적 상관관계가 결정한다.
3. 가능성 ..가능한가? ..2의 필연성 판단에서 사건에 개입할 필연의 이유가 있다고 판 단되면 사건에 개입하는 방식을 결정한다. 가능성은 사건내부에서 인간의 개 입가능범위가 결정한다.
4. 합리성 ..유리한가? ..3의 가능성 판단에서 사태에 대한 인간의 개입방법이 결정되었 을 때 그 사건에 내재한 내부논리에 따라 가장 합리적인 방법을 선택한다. 합리성은 사태진행과정에서 방법적 차이에 따른 상대적 효율성이 결정한다.
5. 현실성 ..옳은가? ..4의 합리성 판단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졌을 때 그 방법 이 가져올 효과의 충실도를 판단한다. 현실성은 사태종결상태에서 사태가 인 간에게 가져올 영향력의 강도가 결정한다.

만약 불이 났다면 그 화재사건의 규모에 따라 가정 먼저 중요성이 결정된다.
처음 그 사건 자체의 규모에 따라 인간의 대응여부를 판단한다. 대응하려면 [중요한가?]를 판단해야 한다. 매우 큰 불이 났다면 자신과 무관한 사건이라도 상당한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작은 규모의 불이라면 자신과 밀접해도 무시할수 있다.
일단 화재사건에 대응했다면 다음 그 사건이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에 따라 구체적 개입여부를 결정한다.
대응한다는 것은 사건을 인지하고 모든 경우의 개연성을 검토하는 것이고 개입한다는 것은 사건을 자기와 연관지어서 판단하고 어떠한 대응책을 내놓는 것이다.
사건에 개입하려면 [무엇인가?]를 판단해야 한다. 그 불이 난 사건이 방화인지 장난인지 놀이인지는 인간과의 대응관계가 결정한다. 자신과 대응되면 개입하고 그렇지 않으면 무시한다.
이미 사건에 개입했다면 사건의 내부로 침투해 들어가는 방식을 결정해야 한다.
불이 났다면 [불을 끌수 있는가? 사람을 구출할수 있는가?] 의 [가능한가?]를 판단해야 한다. 이 단계에서 목적이 성립하는 것이다. 가능하면 가능한 방식대로 사건에 개입하는 것이 가능성 판단이다.
이미 사건에 침투하여 가능한 목표가 설정되었다면 이제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사태의 진행단계에서 가장 효율적인지 [유리한가?]를 판단해야 한다. 이 단계에서 가장 유리한 방법을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이미 선택한 방법을 수행하여 마침내 가져올 효과에서 [옳은가?]를 판단해야 한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가장 옳은 것이다.

시간변수는 사건에 개입함에 있어서의 우선순위 판단이다. 어리석은 자는 [옳은가?]나 [유리한가?]를 먼저 판단하고 현명한 자는 일의 경중을 먼저 가려서 [중요한가?]를 먼저 판단한다.
사건의 대응여부 판단이 개입여부 판단보다 더 중요하고 사건의 개입방법의 판단이 사태의 처리방법판단보다 더 중요하다.
일을 잘 처리했는가 보다 정당하게 개입하였는가를 먼저 판단해야 한다. 떳떳하지 못한 사태개입이 능률적인 일처리를 낳았더라도 필연 후유증이 발생하여 상황은 역전되게 마련이다. 결과보다는 과정이 중요한 것이다.
내가 옳으므로 한다는 소신 위주의 사고방식은 현실성의 [옳은가]를 앞세우는 것이다. 옳으니까 수행할 것이 아니라 중요하고 필연적이고 가능하고 합리적인지의 여부를 먼저 판단해야 한다.
[옳다]가 아니라 [필연] 되게 되어 있는지가 중요하고 앞서는 것이다. 옳더라도 남의 일에 함부로 개입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먼저 그것이 나의 일인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성, 필연성, 가능성 판단이다.

[시간변수 5단계에서 개입정도판단]

중요성 ..대응여부 --> 사건발생단계
(사건 밖에서 인간을 배제하고 사건 자체의 규모..중요하면 자동개입 된다.)
필연성 ..개입여부 --> 사건인식단계
(사건 밖에서 인간을 개입시켜 사건과 인간의 관계..필연이면 나의 일이다.)
가능성 ..개입방식 --> 사건개입단계
(사건 안에서 인간이 개입하여 사건과 인간의 관계..가능하면 덤벼도 좋다.)
합리성 ..처리방법 --> 문제해결과정
(사건 안에서 인간과 사건 간에 연관된 논리..합리적이면 해결된다.)
현실성 ..효과확인 --> 문제해결이후
(사건 안에서 사건을 배제하고 인간에게 남는 논리..현실적이면 받아들인다.)

집적도 2에서 학문의 구성요소 25

<공간변수>
존재론┃물리 수리 섭리 논리 언어 {구성요소 25}
인식론┃진리 깨달음 구원 이론 철학
정신론┃정신 의식 의지 의사 감정
방법론┃인도 자유 민주 자본 사회(주의)
문명론┃환경 과학 생산 체제 문화
━━━╋━━━━━━━━━━━━━━━━━
{대응요소 10}┃중요성 필연성 가능성 합리성 현실성 <시간변수>

집적도 1 에서 구성요소 5가 집적도 2에서 공간변수 5로 전환하고 자기복제하여 시간변수 5를 낳는다. 양자가 상호대응하여 구성요소 25를 낳는다.
집적도 1 에서 학문은 존재론, 인식론, 정신론, 방법론, 문명론으로 완성된다.
집적도 2 에서 학문은 존재론에서 물리, 수리, 섭리, 논리, 언어이고 인식론에서 진리 깨달음, 구원, 이론, 철학이며 정신론에서 정신, 의식, 의지, 의사, 감정이고 방법론에서 인도주의, 자유주의, 민주주의, 자본주의, 사회주의이며 문명론에서 환경, 과학, 생산, 체제, 문화의 총 스물다섯으로 완성된다.
집적도 2에서 학문은 구성요소 25로 완결되며 여기에 추가하거나 제거할수 없다. 학문의 구성요소 25는 서로 연관관계를 가지고 하나로 통일되어 기능하며 사태와의 대응에서 하나의 카세트를 이루고 단계적으로 기능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지식을 생산한다.

예) 존재론의 구성요소 5 --> [물리, 수리, 섭리, 논리, 언어]
[학문의 기능유도에서 유도기능이 최초 물리법칙에서 학문의 궁극적 근거를 유도하고, 다음 대응기능이 수리법칙에서 학문을 인간과 대응시키며, 의속기능이 섭리법칙에서 학문을 인간에 의속시키고, 또 인과기능이 논리법칙으로 학문을 시간상에서 인과하여 생산하고, 최후에 표상기능이 언어법칙으로 학문을 인간의 언어로 나타낸다. 법칙들은 과학에서 각각 물리학, 수학, 미학, 논리학, 언어학으로 정리된다. 집적도 2 에서 물리는 선과학의 형이상학 개념이며 물리학은 집적도 3 에서 자연과학으로 성립하고 집적도 4 에서 구체적으로 물리학이 된다.]

집적도 3에서 학문

집적도 3에서 기능은 전체학문에서 의속기능이다. 학문을 인간에 의속시켜 학문의 목적을 제공한다.
집적도 3 은 대응요소 50과 구성요소 125로 성립한다.
집적도 3 은 집적도 2 의 구성요소 25가 자기복제하여 2배가한 즉 대응요소 50을 낳고 상호대응하여 구성요소 125로 확장된다.
집적도 3 에서 학문은 집적도 2 의 학문 25가 공간변수로 전환하고 자기복제하여 시간변수 25를 낳고 상호대응하여 구성요소 학문 125를 생산한다.

집적도 3에서 대응요소 50

공간변수 25
물리 수리 섭리 논리 언어
진리 깨달음 구원 이론 철학
정신 의식 의지 의사 감정
인도 자유 민주 자본 사회(주의)
환경 과학 생산 체제 문화

시간변수 25
보편자 개별자 구조 작용 현상
응용 종합 분석 수용 지각
이성 지성 심성 덕성 감성
생성 확산 조정 완숙 이탈(기)
윈시 고대 봉건 근대 이상(문명)

집적도 3 의 자기복제

존재론... 물리 수리 섭리 논리 언어 (공간변수)
보편자 개별자 구조 작용 현상 (시간변수)

인식론... 진리 깨달음 구원 이론 철학 (공간변수)
응용 종합 분석 수용 지각 (시간변수)

정신론... 정신 의식 의지 의사 감정 (공간변수)
이성 지성 심성 덕성 감성 (시간변수)

방법론... 인도 자유 민주 자본 사회(주의) (공간변수)
생성 확산 조정 활동 이탈(기) (시간변수)

문명론... 환경 과학 산업 체제 문화 (공간변수)
윈시 고대 봉건 근대 이상(문명) (시간변수)

집적도 1 의 구성요소 존재론, 인식론, 정신론, 방법론, 문명론들은 자기복제하여 2배가 하고 상호대응하여 집적도 2 에서 구성요소 25로 확대되고 또 자기복제하여 2배가 되어 집적도 3의 대응요소 50으로 확대한 후 다시 상호대응하여 구성요소 125를 낳는다.
집적도 3 의 구성요소 125

존재론 물리┃질 입자 힘 운동 량
수리┃공간 입체 면 선 점
섭리┃근접도 완성도 균형도 속도 정확도
논리┃배중률 동일률 모순률 인과율 한정률
언어┃배경 실체 연관 이행 귀결
━━━╋━━━━━━━━━━━━━━━━━
┃보편자 개별자 구조 작용 현상

인식론 진리┃보편성 일반성 정채성 절대성 사실성
깨달음┃이념 자아 중용 역설 법칙
구원┃구원 의미 가치 일 소득
이론┃자기복제 집적 구조 일반 분류(이론)
철학┃세계관 역사관 가치관 도덕관 인생관
━━━╋━━━━━━━━━━━━━━━━━
┃응용 종합 분석 수용 지각

정신론 정신┃
(심층영역)의식┃상황 내면 목적 정서 신체(의식)
의지┃존재 인식 우선 행위 당위(의지)
의사┃소유욕 지배욕 성취욕 승부욕 명예욕
감정┃소속감 기쁨 즐거움 시원함 자랑스러움
━━━╋━━━━━━━━━━━━━━━━━
┃오성 이성 지성 덕성 감성(사유영역) 병렬회로

방법론 인도┃존엄성 정체성 주체성 사회성 문명성(인간성)
자유┃인격권 소유권 참정권 행동권 환경권(권리)
민주┃주권 주도권 대립 투쟁 변혁(권력)
자본┃자원 자본 시장 이윤 소비(효율)
사회┃윤리 도덕 정치 경제 문화(사회주의)
━━━╋━━━━━━━━━━━━━━━━━
┃생성기 확산기 조정기 활동기 이탈기

문명론 환경┃지리환경 생존환경 사회환경 경제환경 생활환경
과학┃자연과학 인문과학 사회과학 기술과학 문예과학
산업┃생산양식 생산력 생산관계 생산활동 소비양식
체제┃사회구성체 교육제도 정치제도 경제제도 문화제도
문화┃이념문화 교육문화 사회문화 산업문화 대중문화
━━━╋━━━━━━━━━━━━━━━━━━━━━━━
┃원시문명 고대문명 봉건문명 근대문명 이상문명
소재 기능 성능 효능 미감

집적도 4 에서 학문

집적도 4 에서 기능은 전체학문에서 인과기능이다. 학문을 역사시간 상에서 발달시켜 후손에게 배달한다. 학문의 시간적 진행개념이 그 대강을 차지한다.
집적도 4 는 집적도 3 의 구성요소 125가 공간변수로 전환하고 자기복제하여 시간변수 125를 낳아 대응요소 250으로 성립하며 상호대응하여 구성요소 625를 낳는다.
학문은 집적도 1 의 유도기능에서 존재로부터 이끌어오고, 집적도 2 의 대응기능에서 인간과 만나 학문으로 성립하고, 집적도 3 의 의속기능에서 접근경로의 디렉토리 구조를 가져 그 뼈대를 이루고 집적도 4에서 시간상에서 진행하며 방법적 실천으로 그 내용을 채워낸다.
비유하면 집적도 1 의 유도는 터를 다지기이며 집적도 2 의 대응은 겉으로 담장을 둘러치기이며 집적도 3 의 의속은 안으로 뼈대를 세움이며 집적도 4 의 인과는 안에서 주어진 뼈대에 더욱 내용을 채우기이다. 이는 학문이 점점 더 단계적으로 세분하여 들어가는 과정이 된다.
학문의 집적도 4 는 대응요소 250과 구성요소 625로 성립한다.

집적도 4에서 학문의 대응요소 250

공간변수 <-----------------> 시간변수
-----------------------------------------+----------------------------------------
존재론 |
질 입자 힘 운동 량 | 시간관계 시간성 시간대 시간 시각
공간 입체 면 선 점 | 비례식 방정식 등식 수식 수
근접도 완성도 균형도 속도 정확도 | 멋, 아름다움, 어울림, 고움, 예쁨
배중률 동일률 모순률 인과율 한정률 | 이다 있다 같다 속하다 맞다
배경 실체 연관 이행 귀결 | 문,주어,목적어,보어(형용사),술어(동사)
|
인식론 |
보편성 일반성 정채성 절대성 사실성 | 특수성 다양성 의속성 상대성 신비성
이념 자아 중용 역설 법칙 | 유한 무한 사이 음 양
구원 의미 가치 사랑(승부)행복(이익)| 인류 개인 사회 사회화 사회생활
일반 분류 의속 변화 개별(이론) | (집적도) 1, 2, 3, 4, 5,
세계관 역사관 가치관 도덕관 인생관 | 생명 생존 생 생활 생태
|
정신론 |
창의력 상상력 판단력 추리력 기억력 | 영혼(정신) 실존 부조리 심리(마음)욕망
상황 내면 목적 정서 신체(의식) | 존엄(성)주체 정체 사회 문명
존재 인식 우선 행위 당위(의지) | 상실 소외 고독 상심 일탈
소유욕,지식욕,성취욕,승부욕,명예욕 |이성(이다)지성(있다)심성(알다)덕성(하다)감성(되다)
충족감 희열감 유쾌감 해방감 전율감 | 소유 지배 성취 행복 쾌락
|
방법론 |
존엄 정체 주체 사회 문명(인간성) | 이념 인격 분별(식견) 실천 지배
인격 소유 참정 행동 환경(권리) | 공동체, 개인, 공리, 이타, 이기(주의)
주권 주도권 대립 투쟁 변혁(권력) | 이해 의견 입장 실력 권력 (대립)
자원 자본 시장 산업 이윤(효율) | 소재 기능 성능 효능 미감
윤리 도덕 정치 경제 문화(사회주의) | 자연 평등 평화 보호 대중(주의)
|
문명론 |
지리 생존 사회 경제 생활(환경) | 이동(배경 동기 목적 방법 지역)
자연 인문 사회 기술 문화(과학) | 주술 계몽 전문 모던 포스트모던
생산( 양식, 력, 관계, 활동 ) 소비양식 . | 개척 개발 투자 경영 판매
사회구성체,교육,정치,경제,문화(제도) . | *유격전 전격전,전선전,포위전,대진전
이념 교육 사회 산업 대중(문화) | 폭력, 철학, 종교, 제도, 이상(국가)
-----------------------------------------+---------------------------------------- * --> 순서?
집적도 4에서 학문의 구성요소 625

존재론 1. 물리 5차원 질 |
(공간차원) 4차원 입자 |
3차원 힘 | 구성요소 25
2차원 운동 |
1차원 량 | 질량 입자량 힘량 운동량 침투량
+-------------------------------
시간관계 시간성 시간대 시간 시각 (시간차원)
(시간5차원 4차원 3차원 2차원 1차원)

※ 물리는 공간관계와 시간관계의 상호대응에 의해 성립한다. 차원은 물리적 집적도이며 1에서 5차원까지 있다. 시간관계는 시간5차원이며 공간의 곧 자기복제다. 시간성은 시간 4차원이며 공간에서 시간으로의 전환이다. 시간대는 시간 3차원이며 과거, 현재, 미래의 펼쳐짐이다. 시간은 시간 2차원이며 시간흐름이다. 시각은 시간 1차원이며 정지시간이다. 각각 공간의 질, 입자, 힘, 운동, 량에 대응하여 기능한다.
물리는 그 근원에서 공간 5차원과 시간 5차원의 함수관계를 규명하고 상호대응에서 구성요소 25를 밝히고 그 구성요소들간의 비례관계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존재론 2. 수리 (위상)공간 |※시공간의 보편성 ..시, 공단위 1(함수찾기)
(공간변수) 입체 |×같이 커지고 같이 작아짐 (대응식 찾기)
면 |∠커지면 작아짐 (상수찾기 = )
선 |‥ 커짐 (변수찾기 +,―)
점 |· 침투함 (인수찾기 1,2,3...)
+------------------------------- (시간변수)
함수식(비례식) 방정식 등식 수식 수

※ 수리는 물리에서 대응기능을 성립시키기이다. 여기서 기하가 공간변수가 되고 대수가 시간변수가 된다. 물리는 하나를 찾아내기이고 수리는 둘이 결합된 하나를 찾아내기이다. 즉 그저 하나인 것이 아니라 둘이 하나로 이어 식을 이루므로서 그 식에 의하여 하나로 통일됨이다.

존재론 3. 섭리 (낫다)근접도 |별개의 둘이 둘이면서 이끌림
(공간변수) 완성도 |별개의 둘이 하나됨
균형도 |앙상블
속도 |움직임, 질감, 부드러움, 거칠음
정확도 |똑부러짐
+------------------------------- (시간변수)
멋있음, 아름다움, 어울림, 고움, 예쁨(좋다)


※ 물리는 [하나]찾기이고 수리는 둘을 결합한 [하나]만들기이며 섭리는 [하나] 안에서 둘찾기 곧 구조찾기이다. 근거는 어디까지나 [하나]로 연결된다.
사과가 하나이면 물리이고 한 개, 한상자, 한통이면 수리이고 한조각, 한부분, 한켤레, 한편이면 섭리이다.
근접도는 별개의 둘이 이질성을 유지한 채 이끌리는 정도이고, 완성도는 둘이 통일되어 하나되는 정도이며, 균형도는 하나 안에서 둘이 제 3의 것에 의해 유지됨이며, 속도는 둘 중 하나가 이탈해 나감이며, 정확도는 그 남은 하나의 침투하는 정도이다.

존재론 4. 논리 배중률 | ○ ː○ --> ː
(공간변수) 동일률 | (○○) --> ( )
모순률 | --> ×
인과율 | ◐ -->
한정률 | ○ --> ○
+------------------------------- (시간변수)
이다. 있다. 같다. 속하다. 맞다

※논리는 하나와 둘 사이에서 변화찾기이다.
모든 이치의 근거는 물리이다. 그 물리로부터 [하나]를 이끌어낸다. 물리는 그대로 하나이며, 수리는 그 하나의 물리를 해체해도 여전히 하나인 식으로서의 하나찾기이며, 섭리는 그 하나의 식을 해체해도 여전히 하나인 구조로서의 하나찾기이며, 논리는 그 하나의 구조를 해체해도 여전히 하나인 변화로서의 하나찾기이다.
물리 ..이끌어온 하나
수리 ..물리의 하나를 해체했을 때 여전히 하나인 식으로의 하나
섭리 ..수리의 식을 해체했을 때 여전히 하나인 구조로서의 하나
논리 ..섭리의 구조를 해체했을 때 여전히 하나인 변화로서의 하나
언어 ..변화의 결과로서 남는 하나

(공간변수) 배중률..둘이 대응했을 때 둘을 배제한다. 하나의 관계만 남는다.
동일률..둘을 통일했을 때 관계를 배제한다. 하나의 영역이 남는다.
모순율..둘이 결합했을 때 영역을 배제한다. 방향이 남는다.
인과율..둘로 변화할 때 방향을 배제한다. 순서가 남는다.
한정률..둘이 되었을 때 처음을 배제한다. 침투한다.

(시간변수) 이다..두개의 문에서 하나의 문
있다..하나의 문에 하나의 주어.
같다..하나의 주어에 하나의 술어
속한다..주어에서 술어로
맞다. 하나의 술어

존재론 5. 언어 배경 | 어디서 -- 언제
(공간변수) 실체 | 누가 -- 무엇을
연관 | 왜 -- 어떤
이행 | 어떻게 -- 하여지게
귀결 | 하였나 -- 되었나
+------------------------------- (시간변수)
문 주어 목적어 보어 술어

※ 언어는 변화의 결과 최종적으로 남은 하나에서 의미 한정이다. 물리가 스스로를 해체하여 하나에서 둘로 이행하지만 자기복제를 통한 최초의 원형은 유지한다. 언어는 그 마지막 침투(존재에서 인간으로의 이행)에서 의미의 한정이다. 변화와 이행은 언어에서 한정된다.
공간변수에서 배경은 언제의 시간과 어디서의 공간영역 한정이며, 실체는 누가의 주체와 무엇을의 대상한정이며, 연관은 왜의 방향과 어떤의 순서한정이며, 이행은 어떻게의 작용과 하여지게의 수용한정이며 귀결은 하였나의 효과과 되었나의 현상한정이다.

인식론 1. 진리 보편성 | 어디에나 통함
(공간변수) 일반성 | 하나 뿐임
정체성 | 소속시킴
절대성 | 변하지 않음
사실성 | 나타나 보임
+--------------------------------- (시간변수)
특수성 다양성 의속성 상대성 신비성
※ 공간변수가 자기복제하여 시간변수를 낳으면 1이 2가 되어 보편성이 특수성이 되고 일반성이 다양성이 된다. 공간변수는 하나를 나타내고 시간변수는 둘을 나타내며 구성요소는 양자 사이에서 변화를 나타낸다.

인식론 2. 깨달음 이념 | 존재로부터 유도함
(공간변수) 자아 | 자기주도권
중용 | 구조적 균형
역설 | 시간 상에서의 반전
법칙 | 반복적 규칙
+--------------------------------- (시간변수)
유한 무한 사이 음 양

※ 유한(디지털 1), 무한(아나로그 0), 사이(∽), 음(-), 양(+)

인식론 3. 구원 구원 | 선험으로부터 배달되는 가치
(공간변수) 의미 | 시간 상에서 배달되는 가치
가치 | 공간적 교환가치
(승부)사랑 | 대상에 투영되는 가치
(이익)행복 | 자신에게 남는 가치
+--------------------------------- (시간변수)
인류 개인 사회 사회화 사회생활

※ 구원개념은 선과 악 개념이다. 공간변수에서 구원은 선과 악이 선험으로부터 주어지는 것이며, 의미는 시간 상에서 배달되는 것이며, 가치는 공간 상에서 주고 받는 것이며, 사랑은 대상에 투사하는 것이며, 행복은 자신에게 남는 것이다.
시간변수에서 인류는 구원이 전체인류 차원에서 얻어지는 것이며, 개인은 개인의 구원이며, 사회는 사회를 구원함이며, 사회화는 그 현재진행이며, 사회생활은 최후에 남는 것이다.

인식론 4. 이론 일반이론 | 유도기능1, ~~~ 5
(공간변수) 분류이론 | 대응기능1, ~~~ 5
의속이론 | 의속기능1, ~~~ 5
변화이론 | 인과기능1, ~~~ 5
개별이론 | 표상기능1, ~~~ 5
+------------------------------- (시간변수)
(집적도) 1, 2, 3, 4, 5

인식론 5. 철학 세계관 | 근거에 대한 직관
(공간변수) 역사관 | 동기에 대한 직관
가치관 | 목적에 대한 직관
도덕관 | 방법에 대한 직관
인생관 | 결실에 대한 직관
+------------------------------- (시간변수)
생명 생존 생 생활 생태

정신론 1. 정신 창의력 | 직관력..진위판단
(공간변수) 상상력 | 어휘력..종합판단
판단력 | 사고력..선악판단
추리력 | 이해력..상황판단
기억력 | 인지력..가부판단
+------------------------------- (시간변수)
이성 지성 심성 덕성 감성

※ 이성은 태도이며 지성은 식견이고 심성은 분별력이며 덕성은 행동성이고 감성은 감수성이다.
정신론 2. 의식 상황의식 | 무의식
(공간변수) 내면의식 | 잠재의식
목적의식 | 특정의식
정서의식 | 심리적 충동(흥분 내지 안정)
신체의식 | 긴장의 고조 내지 이완
+------------------------------- (시간변수)
자부심 자존심 야심 욕심 허영심

정신론 3. 의지 존재의지 | 소속, 소유, 소외, 상실, 일탈
(공간변수) 인식의지 |
우선의지 |
행위의지 |
당위의지 |
+------------------------------- (시간변수)
이다 있다 알다 낫다 하다

정신론 4. 의사 소유욕 |
(공간변수) 지식욕 |
성취욕 |
승부욕 |
명예욕 |
+------------------------------- (시간변수)
있다 알다 낫다 하다 되다

정신론 5. 감정 충족감 | 뿌듯함 - 허전함
(공간변수) 희열감 | 기쁨 - 불안함
유쾌감 | 즐거움 - 노여움
해방감 | 시원함 - 답답함
전율감 | 떳떳함 - 부끄러움
+------------------------------- (시간변수)
설레임 흥분 기분 충동 고조

방법론 1. 인도주의 존엄성 |
(공간변수) 정체성 |
주체성 |
사회성 |
문명성 |
+------------------------------- (시간변수)
이념 인격 분별 실천 지배
※ 인도주의란 인간의 존엄이다. 존엄은 권리로하여 권력을 담보하므로서 성립한다.

방법론 2. 자유주의 인격권 | 무시당하지 않을 권리(인권) 생존권
(공간변수) 소유권 | 소속권(국가 등) 소유권 기득권 영업권 독점권 등
참정권 | 투표권 공무담임권 선거권 등
행동권 | 단결권 단체행동권 저항권 근로권 등
환경권 | 행복추구권 일조권 등
+------------------------------- (시간변수)
공동체주의,개인주의,공리주의,이타주의,이기주의
※ 자유주의란 인간의 존엄성으로부터 권리를 이끌어내는 방법 내지 절차이다.

방법론 3. 민주주의 주권 | 주권행사 (이해관계형성) - 권리주장
(공간변수) 주도권 | 헤게모니 행사 - 권리확인
대립 | 이해관계 노출 - 권력 노출
투쟁 | 이해관계 조정 - 권력투쟁
변혁 | 새로운 관계로 변혁 - 새로운 권력 창출
+------------------------------- (시간변수)
이해 의견 입장 실력 권력
※ 이해(이해대립), 의견(의견대립), 입장(입장차이), 실력(실력대립), 권력(권력행사) 민주주의란 권리로부터 권력을 이끌어내는 방법이며 절차이다.

방법론 4. 자본주의 자원 | 지정학적, 지하, 인적, 기술, 문화(자원)
(공간변수) 자본 | 자산 시장 신용 화폐 상품
시장 | 자원 자본 증권 물류 현물
산업 | 재료 장치 공장 유통 패션
이윤 | 개척 개발 투자 경영 판매
+--------------------------------- (시간변수)
소재 기능 성능 효능 미감
※ 자본주의는 경제 효율성을 이끌어내는 과정이다. 자원으로부터 이윤을 이끌어 낸다.

방법론 5. 사회주의 윤리 | 윤리사회주의(반낙태, 반사형, 반중혼 등 인류차원)
(공간변수) 도덕 | 도덕사회주의(자선,노약자보호,공중도덕 등 개인차원)
정치 | 정치사회주의(노동자 빈민, 약자, 소수에 대한 배려)
경제 | 경제사회주의(각종 복지제도)
문화 | 문화사회주의(대중문화)
+-------------------------------- (시간변수)
자연 평등 평화 보호 대중(주의)
※ 시간변수에서 사회주의는 자연주의이다. 사회주의는 평등주의이다. 사회주의는 평화주의이다. 사회주의는 보호(보험)주의이다. 사회주의는 대중주의이다.

문명론 1. 환경 지정학적 환경 | 지리적 이동 (이주)
(공간변수) 생존환경 | 생존활동으로서의 이동 (이사 )
사회환경 | 사회적 이동 (전쟁, 교류)
경제환경 | 경제적 이동 (기술, 산업)
생활환경 | 문화의 이동 (학문 종교 등)
+---------------------------------- (시간변수)
(이동)배경 동기 목적 방법 지역
※ 환경은 곧 이동이다.

문명론 2. 과학 자연과학 | 물리학 화학 등
(공간변수) 인문과학 | 법학 사학 철학 등
사회과학 | 사회학 정치학 등
기술과학 | 공학 경제학 경역학 등
문화과학 | 문학 예술 등
+---------------------------------- (시간변수)
주술, 계몽, 전문, 모던, 포스트모던
※ 과학의 시간변수는 주술(제사, 구세주, 발굴, 마니아)주의에서 계몽(스승 ,가부장)주의로 전문(장인정신)주의로 모던(규격)주의로 포스트모던(해체)주의로 변화한다.

문명론 3. 생산 생산양식 | 점유식 약탈식 수탈식 착취식 계약식
(공간변수) 생산력 | 지대 자본 기술 노동 정보
생산관계 | 공유제 노예제 계급제 고용제 자급제
생산활동 | 노획 주문 계획 대량 소량다종
소비양식 | 독점 과점 분점 배급 자족
+---------------------------------- (시간변수)
개척 개발 투자 경영 판매
※ 생산은 농사기술이다.

문명론 4. 체제 사회구성체 | 성별 인종별 (모든 차별요소)평등
(공간변수) 교육제도 | 기회의 평등
정치제도 | 권력의 평등
경제체제 | 경제력 평등
문화제도 | 문화적 향유의 평등
+---------------------------------- (시간변수)
대진전 포위전 전선전 전격전 유격전
※ 체제는 룰이다. 룰은 공평해야만 룰로서의 의미가 있다. 시간변수는 그 룰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유격전 까지 가야 가장 공평한 룰이 만들어진다. 대진전(정당정치), 포위전(의회정치), 전선전(선거정치), 전격전(정책정치), 유격전(대의정치)

문명론 5. 문화 이념문화 | 사상, 이념, 종교 등
(공간변수) 교육문화 | 교육, 문학, 예술 등
사회문화 | 가족, 동호회, 회의, 공중도덕, 결혼 등
산업문화 | 노동, 휴식, 고용, 근로계약 등
대중문화 | 레저, 오락, 영화, 대중음악 등
+---------------------------------- (시간변수)
폭력국가 철학국가 종교국가 제도국가 이상국가
※ 문화는 체험의 공유 방식이다.

집적도 5 에서 학문

집적도 5 에서 학문은 전체학문에서 표상기능이다. 학문을 인류문명의 성과로 나타낸다.
집적도 5 는 집적도 4 의 구성요소 625가 공간변수로 전환하고 자기 복제하여 시간변수 625를 낳고 합하여 대응요소 1250이 되고 상호대응하여 구성요소 3125로 완성된다.
집적도 5에서 학문은 최후의 마감장식을 채우고 스스로 완성한다. 학문은 최종적으로 집적도 5에서 구성요소 3125가지 주요개념으로 끝나며 과학의 사명은 이 구성요소 3125가지를 밝혀내는 것으로 끝난다.

학문의 집적도 계산표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09-01-02 10237
39 인터넷 신문명의 이해 2003-02-17 2575
38 소설의 구조론 2003-02-12 3048
37 생물 진화의 해답 초유기체서 찾는다 2003-02-07 3148
36 집단지능과 초 유기체 2003-02-06 4054
35 구조론으로 본 통일장이론 2003-02-04 3118
34 욕망의 5단계 2003-01-27 8212
33 홈페이지에 올려놓은 글은 2003-01-17 2981
32 구조론을 단 한 마디로 설명한다면 2002-12-03 2871
31 구조론으로 본 인터넷업계의 발전단계 2002-10-02 3142
30 공룡이 멸종한 이유 - 구조론의 관점에서 김동렬 2002-09-10 4933
29 20 대 80의 법칙과 구조론 김동렬 2002-09-10 3716
28 구조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2-09-10 3923
27 열역학 제1, 제2법칙에 대한 이해 김동렬 2002-09-10 3608
26 복잡성의 과학 구조론 김동렬 2002-09-10 2928
25 구조론에 대한 간단한 이해 1 김동렬 2002-09-10 2945
24 2장 - 심층구조 김동렬 2002-09-09 3226
23 3장 - 자기복제 김동렬 2002-09-09 3242
22 4장 - 학문 김동렬 2002-09-09 2828
» 5장 - 학문의 집적도별 분류 김동렬 2002-09-09 3763
20 6장 - 사상 김동렬 2002-09-09 2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