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방

주일미군 해병대 오키나와에서 괌으로 이동중

원문기사 URL : https://www.voakorea.com/a/7902016.html 
프로필 이미지
cintamani  2025.04.05

주일미군을 무기로 일본에서 방위비 협상할 것 같진 않은데, 주한미군도 뺄려나


프로필 이미지 [레벨:9]cintamani   2025.04.05.
챗지피티 한테 물어보니 아래처럼 대답하네요



주일미군 해병대 일부가 일본 오키나와에서 괌으로 이동하는 건, 단순한 배치 변경이 아니라 전략적·정치적·운영적 목적이 섞여 있어. 아래에서 하나씩 설명할게.<br />

<br />

1. 전략적 분산 (Force Dispersal)<br />

<br />

기존에는 오키나와에 해병대 병력(특히 제3해병원정군)이 너무 밀집돼 있었음.<br />

<br />

괌으로 일부 병력을 분산시키면 중국, 북한 등의 위협에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음.<br />

<br />

괌은 미국 영토라서, 미국 본토와 유사한 수준의 작전 자유도가 있음 (정치적 제약 적음<br />

<br />

2. 오키나와 주민 반발 해소<br />

<br />

오키나와 주민들은 미군 기지의 소음, 범죄, 사고 등으로 수십 년째 불만을 가져왔음.<br />

<br />

병력 일부를 괌으로 이전하면서 일본 정부와 지역 주민의 반발을 완화하고 있음.<br />

<br />

3. 신속 대응을 위한 새 거점 구축<br />

<br />

괌에 있는 캠프 블레이즈(Camp Blaz)에 해병대가 배치되면, 인도-태평양 전역에서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음.<br />

<br />

향후 남중국해, 대만 해협, 동남아 분쟁 등에서 기동력 확보.<br />

4. 미국-일본 동맹의 협력 결과<br />

<br />

이전 비용의 대부분은 일본 정부가 부담함 (미국과 일본의 방위 분담 협정).<br />

<br />

일본은 미군 병력을 계속 유지하면서도 자국 내 부담을 줄이고, 미국은 전략적으로 유리한 재배치를 하는 윈윈 전략.<br />

요약하면:&lt;br /&gt;<br />

&lt;br /&gt;<br />

&amp;gt; &amp;quot;중국 견제 + 오키나와 지역 반발 완화 + 기동성 향상 + 미·일 협력 심화&amp;quot;가 핵심 이득이야.
괌은 향후 미군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점점 더 중요해질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