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방

인공지능과의 경쟁은 시작되었다 [유튜브]

원문기사 URL : https://www.youtube.com/watch?v=FyEadsnWXp8 
프로필 이미지
신웅  2025.03.18
- 인공지능은 잠재된 패턴을 찾아내는 일을 한다.

- 고급 인지기능에 관한 일자리, 고학력과 전문가 일자리부터 사라진다.

- 새로운 기술이 나타났을 때, 기존 사람들은 전보다 나쁜 일자리를 구하게 된다.

- 수명은 100년인데, 기술은 급격한 변화가 따른다. 평생 3번의 안식년이 필요하다.



- 꼭 필요한 역량은? 생성형 인공지능은 궁금한 것이 있는 사람이 쓸 수 있다.

- 교양이 있고, 주변 지식이 풍부하면 질문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 인공지능의 학습 대상 중에 책이 가장 고품질의 데이터이다.

- 책 읽는 습관. 지금은 얼마나 훌륭한 질문을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해진다.



- 신입을 안 뽑기 때문에, 10년 후에 어떻게 대비할 것이냐가 관건이다.

- 인공지능 시대에는 노동 시간을 확연히 줄여야 한다.

- 현재 주4일제를 시행하는 전 세계 회사들이 돈도 확실히 잘 벌고 있다.

- 인공지능에 관한 전 세계가 합의하는 법과 제도가 나와야 한다.



-박태웅, 한빛미디어 이사회 의장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5.03.18.
- 인공지능의 학습 대상 중에 책이 가장 고품질의 데이터이다.
- 책 읽는 습관. 지금은 얼마나 훌륭한 질문을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해진다.

이 부분에 동의하시는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신웅   2025.03.18.

저는 첫 번째 물음은 비전문가라 잘 모르겠고요. (책을 데이터화할 수 있으면 좋은 자료일 듯)

두 번째 질문은 제가 많이 한 활동이고, 시간을 쏟은 경험이 많아서 동의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생성형 인공지능을 거의 사용해보지 않아, 제가 아직 딱히 아는 것은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문외한인 제 생각에는 그런 듯합니다.


개인적으로 책 읽기와 사고는 패턴 파악에 확실히 도움을 준 것 같습니다.

저는 이십 대 초반부터 책 읽기를 해서 이것이 나아진 것 같거든요.


# 저는 보통 사람들이 책 읽는 습관보다는요.

(그러니까 교양의 습득이나 주변 지식을 받아들이는 독서가 아님)


자신이 당기는 책부터 모조리 읽어가야한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재밌게 흡수해야지 응용도 잘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도 그렇게 책을 읽게 됐고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5.03.18.

요즘 많은 아이들이 책읽기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듯 보여서 질문드렸습니다.

그리고 경쟁은 공존의 또다른 표현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신웅   2025.03.18.
1. 땡기는 책부터 읽기 시작하면 되고요. 전 친구가 없으니 책을 읽었습니다. 다른 것으로 배울 수 있다면 굳이 책을 읽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2. 저의 책 읽기가 한 단계 나아진 데는요. 훌륭한 선생님과의 만남이 있었어요. 즉 사람을 통해 입체적으로 인생을 느끼기 시작하기도 했고요.

3. 구조론에서 말하는 사건에 풍덩 빠지기가 있겠습니다. 아직 제가 경험하지 못했고, 체험해 보고 싶은 방법인데, 좋은 배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