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7734 vote 0 2008.12.09 (10:34:19)

구조론은 철학적 지식이 있어야 깨달을 수 있는 것인가요? 대학은 나왔지만 많이 부족해서요... 그러나 배우고 싶습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

김동렬

2008.12.09 (10:50:23)

반갑습니다. 철학은 존재하지 않는 학문입니다. 철학을 가르치는 곳은 지구 어디에도 없습니다. 단지 철학사를 가르치는 곳이 있을 뿐. 그것은 과거의 죽은 철학입니다. 거기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몇몇 유명철학자들의 이름과 말투, 용어들 뿐.

다만 여기서 사용하고 있는 개념들이 철학적 사유의 기반이 없는 분들에게는 생소하고 어려울 수 있는데 구조론의 개념들은 국어사전과 상관없는 독립적인 논리체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또한 본질에서는 상관이 없습니다.

어휘력이 뛰어난 분이라면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나 어휘력이 뛰어나지 못한데다가 철학적 사유의 기반조차 없다면 용어나 개념들이 난해하게 보일 수 있을 것입니다.
김동렬

2008.12.09 (10:58:00)

누구에게나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쓰려고 무진장 노력했으므로 쉽게 이해될 것입니다. 그러나 사건을 그냥 사건으로 여기는 것과 사건=이벤트=주사위를 1회 던짐으로 이해하는 것은 근본이 다르지요. 사건은 그냥 사건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반복되는 사건 중에 1회입니다.

가역이라는 개념은 그냥 뒤집어진다는 건데 이건 쉽지만, 가역성=되먹임=피드백=출력측의 입력전환이 존재의 근본개념임을 알고, 컴퓨터 원리의 본질임을 알고, 엔트로피의 법칙임을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은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낱낱이 추궁하자면 한이 없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개념들은 막연히 나열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자기 포지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쉽습니다. 즉 그 개념의 앞뒤에 오는 개념에 연동되어 상대적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본뜻을 몰라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228804
521 의미를 버리고 에너지의 흐름에 올라타라 (제민 칼럼) 3 ahmoo 2013-01-08 6263
520 문제 왜 인도인은 이기적인가? 26 김동렬 2013-01-08 11123
519 알고 가기, 미국은 후지다. 그네들은 무능하다 image 1 이성광 2013-01-01 6336
518 이성광 2012-12-31 6582
517 진보는 출세한다 2 담 |/_ 2012-12-27 6283
516 양영순도 세계진출? image 3 김동렬 2012-12-26 9419
515 악어새의 환상 image 10 김동렬 2012-12-26 17141
514 바다는 육지다 1 이성광 2012-12-26 6119
513 여성이 좋아할 만한 차 디자인 image 13 오세 2012-12-25 11576
512 나름 꼽아본 그릴이 무난한 차 image 1 오세 2012-12-25 6076
511 구조론 문제.. 모하비의 그릴 image 44 김동렬 2012-12-25 12476
510 쉬운 구조론 문제 image 16 김동렬 2012-12-24 6376
509 솔로들은 못맞추는 문제 image 19 오세 2012-12-24 9994
508 구조론 문제 김진태 화백의 경우 image 31 김동렬 2012-12-24 9055
507 구조론 문제 33 김동렬 2012-12-23 7393
506 난리다. 동요 말고, 구조하라 이성광 2012-12-23 5795
505 작금의 단상 6 눈내리는 마을 2012-12-21 6170
504 망하는 길은 버리는 것이 맞다 2 이성광 2012-12-21 6112
503 헝가리와 한국 7 김동렬 2012-12-16 10804
502 쉬운 구조론 문제 image 37 김동렬 2012-12-14 6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