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4]이금재.
read 6637 vote 0 2020.10.05 (16:57:34)

https://youtu.be/WIf3TNoGNsc?t=29

Calm Sonny. Calm Sonny. 

No run Sonny. No run.

Only in your seat. And pass again.


손흥민 보다 잘하는 선수는 EPL에 넘치고 깔렸는데 

손흥민이 유난히 잘하는 이유는?

손흥민은 감독의 말을 잘 듣습니다.

감독은 손흥민의 체력 안배 때문에 멈추라고 하는게 아닙니다. 


https://youtu.be/3Z0N2jTS3_k?t=328

오늘 손흥민의 몸은 정상이 아니었습니다.

골키퍼와 손흥민 사이의 공간이 충분함에도 

손흥민의 퍼스트 터치가 길어서 공을 뺏깁니다.


https://youtu.be/3Z0N2jTS3_k?t=199

사실 첫번째 골도 골키퍼가 쫄아서 앞으로 안 나왔으니 먹힌 거지, 

퍼스트 터치가 평소에 비해 길어서 위험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평소의 데헤아 골키퍼였다면 당하지 않았을 겁니다.


우리는 달리기가 빠르면 상대를 제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공격수가 빠르기만 하면 수피수는 포메이션으로 빠르기를 제압할 수 있습니다.


달리지 않다가 달려야 수비수의 패턴을 뺐을 수 있습니다.

대응하지 못하게 만드는 기술을 써야 하는 거죠.

무리뉴 감독은 그래서 손흥민에게 덩덕쿵덕쿵 쿵더덕쿵덕을 가르칩니다.


https://youtu.be/3Z0N2jTS3_k?t=474

달리지 않다가 달리다가 안 달릴줄 알았지 그런데 달리거든을 하게 하는 거죠.

그래야 수비수의 호흡을 뺏으니깐.


https://youtu.be/3Z0N2jTS3_k?t=686

손흥민은 경기 끝까지 뛰고 싶었겠지만(엄청 아쉬워하는 거 보입니까?),

분명히 그의 햄스트링이 정상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후반에 감독은 손흥민을 뺐을 겁니다. 


No run Sonny. Calm Sonny. And Run.


제목 없음.jpg

Drop here!

[레벨:30]스마일

2020.10.05 (17:28:37)

무리뉴의 인터뷰 중에 손흥민이 겸손하고 배우길 좋아한다고 뉘앙스의 인터뷰한 것이 있습니다.

무리뉴는 그것이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인 것 같다고 했습니다.


올해 75세된 어머니도 저한테 끈임없이 질문하고 모르는 것은 물어보는 것을 보면

한국인은 배우기를 좋아하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앎에 대한 동경"이 있습니다.

우리한테 무식하다는 욕입니다.


그리고 우리도 가만히 못 있잖아요. 항상 무엇을 읽고, 배우고 있고.

가만히 있는 법을 모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10.06 (04:50:20)

그리고 모델 여친이 없는 것도 이유일지도...

[레벨:11]dksnow

2020.10.12 (10:25:40)

모델 여친은, 남미나 스페인 축구 선수들에게 흔하죠.

저는 그게 성욕이라기 보다는, 주변에 대한 과시욕이라고 봅니다.


베컴은 빅토리아와 결혼하고, 남은 돈을 마이에미 축구단에 투자하며, 런던의 일상생활을 즐기죠.

수준 차이가 들키는 거라고 봅니다.


손흥민도 좋은 배우자를 만나며 멋있는 (?, 혹은 절제된) 삶의 모습을 보여주며, 서울과 강원도를 오가는 호젓한 모습을 보이는게, 동아시아의 롤모델이라고 봅니다. 서울 강원도는, ktx이후로 1시간 시간대입니다.

[레벨:3]귤알갱이

2020.10.07 (15:54:28)

무리뉴는 박지성도 엄청 좋아했었죠
손흥민이 무리뉴를 만나 세계 최고를 완성할것 같아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229300
2284 이강인이 되는 이유 3 - 천재성 11 신웅 2025-03-20 3777
2283 글쓰기는 나를 드러내는 방법 11 신웅 2025-03-20 3968
2282 빈곤지능의 문제 (AGI는 언제) chow 2025-03-18 4025
2281 마누스의 정체와 AI 업계 상황 image 1 chow 2025-03-17 4704
2280 구조론은 잘하는 것입니까? image 8 신웅 2025-03-17 3907
2279 제2의 노무현은 필요하다 1 신웅 2025-03-15 3908
2278 [질문]세상은 원래 암묵적인가? 9 추론이 철학이다 2025-03-14 4167
2277 [질문]부분이 전체에 맞추라는 논리에 대해 2 추론이 철학이다 2025-03-14 6097
2276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5-03-12 4010
2275 장안생할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5-02-26 3878
2274 콰인의 생각 14 나나난나 2025-02-18 4767
2273 [질문]각운동량 보존 법칙과 엔트로피 증가 법칙의 연관성 4 추론이 철학이다 2025-02-14 4884
2272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1 오리 2025-02-13 3759
2271 지능의 기원 1 chow 2025-02-10 3782
2270 [질문]단기전략의 장기화 3 추론이 철학이다 2025-02-06 4803
2269 딥시크-R1(추론모델)과 천재의 원리 image 6 chow 2025-02-05 4326
2268 챗지피티 월 5,770원에 쓰고 사람되세요 3 chow 2025-02-03 4137
2267 언어모델에 대한 오해 chow 2025-02-03 3905
2266 딥시크의 허와 실 chow 2025-01-31 6872
2265 질량과 무게의 보편적 원인 3 chow 2025-01-30 6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