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약자가 되지 마라. 그대는 강자이다. 그대는 인류의 대표다. 나로 말할 것 같으면 대한민국의 초등학교에서 온몸으로 학폭을 폭격맞았다. 우리반애가 학폭 가해자 피해자이기도 했고 했고, 예전 제자가 성관련 잘못을 저지르기도 했다. 여학생들의 고질적인 왕따 문제 해결 사례는 단골이었다. 중학교와 관련된 학폭도 여러 건 있었고, 중학생이 대드는 일도 있었다. 흡연하는 학생들 훈계한 것은 하도 많아서 기억도 안난다. 그러나 한 번도 해꼬지 당하지 않았다. 어쨌든... 선생님 반 학생들이 들고 일어난다고 해도 피하지 마시라. 그렇다고 복수하지도 마시라. 교육의 에너지를 믿고 진행하시면 된다. 안되면 내게 물으시라. 내가 알려드린대로 해도 안되면, 다시 물어보시라. 나는 모든 방법을 다 알고 있다. 농구계에선 유재학 감독이 '만수'라는데 나도 그에 못지 않게 수가 많다.


전에도 얘기했지만, 방법을 아는 것보다 관찰이 중요하다. 관찰이 되어야 원인도 나오고 대처방법도 나온다. 그런데 관찰이 제대로 되려면 관점이 온관점이 되어야 한다. 높은 이상과 실제적인 철학과 과학으로 단련되어야 한다. 이때 너무 긴장해도 안되고 너무 힘빼도 안된다. 긴장과 이완이 적절히 조화되어야 제대로 보인다. 이왕이면 혼자 보지 말고 같이 사안을 보면 더 잘 보인다. 심지어 상대방이 잘못보는 얘기를 해도 찰떡 같이 실마리를 생각해 낼 수 있다. 

관찰과 전지적 관점도 필요하고 하나 더. 태도가 중요하다. 상대방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나의 태도이다. 나는 굉장히 새련된 방법을 사용하는데, 방법을 사용하는 태도가 별로면 상대방도 나의 의도와 행동을 잘못 해석해서 오류를 불러일으킨다. 때로는 좀 기다리고 일관된 태도를 보이면 되는데, 효과가 나타나기도 전에 방법을 바꾸거나 너무 오래 같은 방법을 고집해서 잘못되기도 한다. 그러나, 태도는 아예 확 바꾼 뒤 좀처럼 바꾸면 안된다. 야.. 이 태도란 것을 어찌 설명해야 할까? 
태도가 유지되려면 에너지를 잘 쟁여놔야 한다. 마른 사람들은 수술하면 회복이 느리고, 약간 살찐 분들은 회복이 빠르단다. 100을 하려면 120의 힘이 있어야 한다. 평소에 건강챙기고 잘먹고 잘쉬고 잘자야 감당할 힘이 있다. 정말 자신을 힘들게 하는 사람이 있다면 때로는 '개땡땡, 소땡땡' 하면서 욕하면서 찢어 발겨 00해도 괜찮다. 어찌했든 공감받고 스트레스를 잘 풀어야 후련함과 묘한 죄책감이 생기면서 적으로 여겼던 그 사람에 대한 연민이 생긴다. 감당할 힘이 생긴다.


다시 돌아와서 강자가 되라. 학교장은 강자가 아니다. 김상곤 교육부장관이 강자가 아니다. 물론 문재인은 강자다. 그는 정상의 이미지를 주기 때문이다. 교착된 난국을 타개할 수 있다는 것을 리더십과 팀웍으로 보여주었다. 나도 학폭 분야에서는 그렇게 할 수 있다. 학폭이 되니 다른 인간관계도 보인다. 처음에는 인간관계 기술의 힘으로 학폭을 이겨냈는데, 이제는 학폭사례를 통해서 인간관계의 힘이 더 커졌다.


피해도 되지만, 피하지 마시라. 작전상 피하는 것과 심리적 영구적 회피는 다른 것이다. 강자는 피하지 않는다. 잠시 숨을 고를 뿐이다. 세상에는 실리를 추구하는 사람도 있고, 적폐중 적폐로 자신을 이롭게 하고 세상을 병들게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자기부인과 자기갱신을 바탕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사람들이 있다. 진정한 강자는 난국을 이겨낼 수 있다. 쫄지 않는다. 피하지 않는다. 당당히 이겨내서 세상에 '여기 한 인간이 있노라'고 당당히 외칠 수 있다. 나는 그것을 초등현장에서 증명해 오고 있고, 같이 증명할 사람들을 찾다가 전교조와 실천교육교사모임과 행복교실 모임에 참여하고 있다. 그분들이 에너지가 되고 동역자가 된다. 요즘엔 강자로서의 여유를 갖고 다른 분들께 나눠주는 일을 하고 있다. 스트레스는? 거의 안받는다. 이제 스트레스 받는 경지는 지났다. 오히려 즐긴다. 바야흐로 알파고시대다. 못할 것이 없다.

좋아요공감 더 보기
댓글 달기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229272
2163 AI 엑스포 초대 image 2 chow 2024-06-13 8381
2162 자아에 대한 생각 6 SimplyRed 2024-06-11 8189
2161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6-06 10079
2160 세계일주 시작 되었개 강원닮아 2024-06-06 7257
2159 가장 뛰어난 사람을 보고 그 나라를 판단해야 한다는데 20 서단아 2024-06-04 7231
2158 세계일주를 앞두고.. 지난 8년의 결과물을 공유합니다. 1 강원닮아 2024-06-02 7534
2157 상호작용을 늘리는 교사가 되자 이상우 2024-05-24 7348
2156 방향전환과 초끈이론 1 서단아 2024-05-23 10997
2155 좋은 일과 나쁜 일 이상우 2024-05-23 7039
2154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5-23 7017
2153 성품교육의 허상, 그냥 부모 니 인생이나 잘 살아라. 이상우 2024-05-17 7076
2152 chatGPT 옆그레이드 chow 2024-05-15 9439
2151 최병인 선생님 전시회 밀 image 5 김동렬 2024-05-13 6951
2150 이제는 학교도 망하고 아이들도 망가진다. 이상우 2024-05-10 7001
2149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5-08 7438
2148 시민의회 소식 수원나그네 2024-05-03 7126
2147 나치 시절 나치에 반대하는 소수 독일인이 있었다면 무슨 정신으로 살아가야합니까 2 서단아 2024-04-30 6892
2146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4-25 7110
2145 문제행동이 심한 학생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있을까? 2 이상우 2024-04-24 7394
2144 두 가지 곱셈, 기수와 횟수 그리고 서수 chow 2024-04-14 12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