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0946 vote 0 2008.12.31 (13:00:45)

완전성의 과학 구조론

구조론은 자연의 완전성을 탐구하는 과학이다.

구조론은 데이터에 어떻게 포지션을 부여할 것인가? 포지션에 어떻게 밸런스를 부여할 것인가? 밸런스에 어떻게 플랫폼을 부여할 것인가? 그리고 이를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것인가를 논한다.

구조는 이렇게 점차 고도화 되어 '완전성'에 이른다. 자연은 완전할 때 뻗어나간다. 구조는 완전할 때 작동한다. 그 날개를 편다. physical의 어원은 ‘펼쳐진다, 뻗어간다’는 뜻이다. 자연은 뻗어나가는 것이다.

자연에서 완전한 것은 피어나는 생명이다. 씨앗처럼 움츠리고 있다가 봄을 맞이한 새싹처럼 펼쳐져 나온다. 꽃처럼 활짝 피어난다. 구조론은 그 자연의 완전성, 생명성, 진보하고 뻗어나가는 성질을 탐구한다.

구조는 데이터(값, 정보)에서 포지션(짝, 쌍)으로, 밸런스(평형계)로, 플랫폼(구조체)으로, 시스템으로 뻗어나간다. 우리는 구조체의 모델링과,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일의 완전성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작동이 일(work)이다. 에너지의 입력과 출력에 따른 일의 1사이클이 존재한다. 세상은 일의 집합이다. 구조론은 일을 해명한다. 자연이 일하여 생명으로 발전하듯이 인간은 일하여 문명으로 발전한다.  

그 지점에서 인간의 일은 자연의 생명성을 얻는다. 공명한다. 울림과 떨림이 전파된다. 봄을 맞이하여 새싹들이 깨어나듯 일제히 분출한다. 폭발한다. 혁명한다. 우리가 꿈꾸는 진정한 세계가 그곳에 있다.

구조론은 폭넓은 지평을 가진다.
구조론은 완전성을 통하여 이상주의로 나아가는 철학이고
세상을 해석하는 경로를 제시하는 과학의 방법론이며
자연의 완전성을 인간의 삶의 양식으로 내면화 하는 데서 미학이고
신의 완전성과 소통하는 데서 깨달음이다.
인류의 집단지능으로 바라보는 데서 세계관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 줄에 꿰어 하나의 논리로 일관되게 설명하는 총괄이론이다.

www.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7303 죄송한데여... 노원구민 2002-12-15 21843
7302 생선을 거부한 고양이 image 김동렬 2002-09-19 21837
7301 인터넷 글쓰기의 폐단인가?(펌) (노혜경) 2003-06-12 21808
7300 [시사저널-서프라이즈 소개] 세상을 놀래키리라 image 김동렬 2002-11-05 21805
7299 엘 고어 감독의 불편한 진실 image 11 김동렬 2010-02-17 21754
7298 매트릭스 3탄 서프라이즈 레볼루션이 온다 image 김동렬 2003-07-03 21751
7297 "`고맙다 김대중`이라고 말하라" 김동렬 2003-01-10 21742
7296 중앙일보의 기이한 공작 김동렬 2002-09-19 21732
7295 여러분 고생많았습니다. 김동렬 2002-12-19 21724
7294 당신은 이미 구조론 안에 있다. 김동렬 2010-03-04 21679
7293 각주구검의 오류 image 3 김동렬 2010-06-10 21666
7292 맥아더의 동상을 철거하라 2005-09-17 21664
7291 에너지는 1을 따라간다. image 김동렬 2011-08-27 21644
7290 Re.. 조갑제는 최병열과 공작 한나라당 인수작업돌입 김동렬 2002-12-09 21639
7289 까뮈의 이방인 김동렬 2006-07-14 21627
7288 정몽준 최악의 시나리오 김동렬 2002-11-07 21621
7287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 학문의 역사 김동렬 2006-02-11 21588
7286 진선미에 대해서 2 김동렬 2010-08-05 21565
7285 전체가 먼저 부분은 나중이다. image 9 김동렬 2011-12-20 21550
7284 소통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22 21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