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1526 vote 0 2009.01.15 (14:52:22)

675.jpg

그림 원본은 이현세의 버디 스포츠서울

676.JPG


4개의 시점을 표시했지만 하나하나 뜯어보면 더 있다. 오른팔도 잘못되어 있다. 이현세는 인체를 해체해서 하나하나 따로 그린 다음 엉성하게 조합한 것이다. 그러다보니 시점과 시점의 사이에 치인 목이 이상해진다.

두 발의 간격도 너무 멀다. 발의 각도도 이상하다. 왜 이 부분이 중요한가? 사실, 의미, 가치, 개념, 원리 중에서 각 부분을 통일하는 것은 개념이다. 개념이 없으니 그림이 이렇게 나오는 것이다.

생각해보자. 어린이에게 그리기를 시키면 꽃와 집과 사람과 강아지를 거린다. 그냥 그린 것이다. 거기에 제목을 주어야 한다. 그 제목은 하나여야 한다. 무엇을 그렸나? 어린이는 봄풍경을 그렸다.

‘봄풍경’이라는 타이틀을 획득함으로써 비로소 그림은 완성되는 것이다. 타이틀이 각 부분을 하나로 통일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어린이는 꽃과 집과 사람과 강아지를 선 위에 나열한다. 나열하면 텍스트지 이미지가 아니다.

타이틀을 부여한다는 것은 꽃, 집, 사람, 강아지 넷을 봄풍경 하나로 통일한다는 것이다. 하나로 융화되어야 한다. 진열되면 안 된다. 무엇인가? 인체의 여러 부분을 따로따로 그려서 합성해 놓은 것이 매너리즘이다.

의도적으로 그렇게 할 수도 있다. 문제는 이현세의 경우 의도가 아니라는 점이다. 이렇게 그림이 이상해지면 감정표현을 못한다. 그러므로 이현세 만화의 주인공들은 항상 극단적이다.

죽을래 살래? 그 중간이 없다. 은근함이 없다. 오묘함이 없다. 이현세가 버디를 연재하며 요즘 갑자기 갬블을 흉내내서 야한 장면을 그리려하다가 말았는데 뻔하다. 이현세는 야한 그림을 그릴 수 없다.

그림이 안받쳐주니까 에로틱한 분위기를 표현할 수 없는 것이다. 이게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여자는 왈가닥 아니면 냉혈공주 남자는 지독한 녀석 아니면 무표정 떡대, 아니면 안경잽이 악당.

이래가지고 로맨스가 가능할 리가 없다. 절대적으로 그림이 받쳐주어야 많은 내용을 담을 수 있다. 그림이 토대가 되고 질이 되고 바탕이 되고 기본이 되는 것이다. 리얼리즘이다.

사실주의가 아니라도 좋다. 정열맨의 귀귀처럼 인체를 왜곡해도 좋다. 어떻든 내적 정합성에 맞아야 한다. 그림 안에 과학성이 있어야 한다. 논리가 있어야 한다. 외인구단 영화가 망한 이유는 로맨스가 죽어서다.



http://www.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7305 죄송한데여... 노원구민 2002-12-15 21846
7304 생선을 거부한 고양이 image 김동렬 2002-09-19 21841
7303 인터넷 글쓰기의 폐단인가?(펌) (노혜경) 2003-06-12 21811
7302 [시사저널-서프라이즈 소개] 세상을 놀래키리라 image 김동렬 2002-11-05 21805
7301 엘 고어 감독의 불편한 진실 image 11 김동렬 2010-02-17 21764
7300 매트릭스 3탄 서프라이즈 레볼루션이 온다 image 김동렬 2003-07-03 21756
7299 "`고맙다 김대중`이라고 말하라" 김동렬 2003-01-10 21744
7298 중앙일보의 기이한 공작 김동렬 2002-09-19 21741
7297 여러분 고생많았습니다. 김동렬 2002-12-19 21724
7296 당신은 이미 구조론 안에 있다. 김동렬 2010-03-04 21684
7295 각주구검의 오류 image 3 김동렬 2010-06-10 21671
7294 맥아더의 동상을 철거하라 2005-09-17 21665
7293 에너지는 1을 따라간다. image 김동렬 2011-08-27 21645
7292 Re.. 조갑제는 최병열과 공작 한나라당 인수작업돌입 김동렬 2002-12-09 21640
7291 까뮈의 이방인 김동렬 2006-07-14 21630
7290 정몽준 최악의 시나리오 김동렬 2002-11-07 21624
7289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 학문의 역사 김동렬 2006-02-11 21591
7288 진선미에 대해서 2 김동렬 2010-08-05 21568
7287 전체가 먼저 부분은 나중이다. image 9 김동렬 2011-12-20 21562
7286 소통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22 21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