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922 vote 0 2021.09.13 (23:28:15)

    빛은 있고 어둠은 없다. 삶은 있고 죽음은 없다. 진보는 있고 보수는 없다. 절대성은 있고 상대성은 없다. 주어는 있고 동사는 없다. 체는 있고 용은 없다. 체언은 존재가 있고 용언은 존재가 없다. 있는 것은 스스로 존재하여 있고 없는 것은 다른 것에 딸리어 있다. 


    마이너스는 있고 플러스는 없다. 원인은 있고 결과는 없다. 머리는 있고 꼬리는 없다. 빛은 광자가 있고 어둠은 암자가 없다. 광자는 아인슈타인이 발견했고 암자는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 존재는 체와 용을 가진다. 있는 것은 체가 있고 없는 것은 체의 용이니 변화다.


    어둠은 빛의 변화를 설명하는 말이다. 죽음은 삶의 핸들을 놓친 상태를 설명하는 말이다. 죽음은 없는데 죽음 이후를 알려달라고 하면 안 된다. 그 사람은 핸들을 놓친 것이다. 죽음을 설명해주면 '아 그렇구나' 하고 납득하고 고개를 끄떡이고 받아들이는게 아니다. 


    핸들을 손에 꼭 쥐어줘야 해결된다. 그 사람은 체면을 잃었거나, 자존감을 잃었거나, 아내를 잃었거나, 자식을 잃었거나, 직장을 잃었거나, 친구를 잃었거나 무언가 핸들을 놓치고 겉돌고 있다. 죽음의 플러스를 질문하지만 사실은 삶의 마이너스를 질문하고 있다.


    죽음의 내용을 플러스 해달라고 말하지만 죽음은 없으므로 플러스 할 내용이 없다. '내세가 없다는건 알겠는데 죽은 다음은 어떻게 되나요?' 이러면 안 된다. 답은 언제라도 삶에 있다. 존재는 체와 용이며 찾아야 할 핸들은 체에 있고 용에 없다. 죽음은 두렵지 않다.


    핸들을 놓친 상태를 죽음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말을 돌려서 하고 있다. 두려운건 핸들을 놓쳐서 어쩌지 못하고 우물쭈물 하는 것이다. 체와 용을 겸하되 체가 먼저다. 강한 군대가 없으면 현란한 용병술은 쓸모가 없다. 체격 되고 체력이 받쳐줘야 기술이 붙어준다. 


    빛은 체고 어둠은 용이다. 삶은 체고 죽음은 용이다. 진보는 체고 보수는 용이다. 진보의 원칙으로 강군을 만들고 보수의 용병술로 승리한다. 절대성은 체고 상대성은 용이다. 마이너스는 체고 플러스는 용이다. 잃었다면 체를 잃은 것이며 얻었다면 용을 얻은 것이다.


    관념은 용이다. 사랑도 행복도 성공도 정의도 평등도 용이다. 친구를 잃고, 직장을 잃고, 건강을 잃으면 체를 잃은 것이다. 영토를 잃은 것과 같다. 체를 얻을 수도 있지만 그것은 내가 결정하지 않는다. 나의 결정으로 잃는 것은 체요 나의 결정으로 얻는 것은 용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7400 완생과 미생 김동렬 2025-05-20 2925
7399 호텔 경제학의 진실 3 김동렬 2025-05-21 2930
7398 창조와 구조 1 김동렬 2025-05-11 2933
7397 일등공신 지귀연 김동렬 2025-05-21 2969
7396 한비야의 거짓말 9 김동렬 2025-05-21 2974
7395 김건희의 서방연패 1 김동렬 2025-05-11 2975
7394 한국인의 문해력 8 김동렬 2025-05-14 2978
7393 우리 의연하게 가자 1 김동렬 2025-06-17 2979
7392 우주의 끝은 없다 2 김동렬 2025-05-12 2981
7391 구조 진화론 2 김동렬 2025-06-07 2983
7390 1년 지나면 다 찍어준다 2 김동렬 2025-06-17 2984
7389 김상욱 민주당 와야 한다 김동렬 2025-05-15 3017
7388 박정희와 이재명 공과 과, 공과 사 김동렬 2025-05-13 3038
7387 구조발견 김동렬 2025-05-23 3054
7386 이재명 세대와 조선일보 세대 1 김동렬 2025-04-29 3057
7385 이재명의 호텔 경제학 4 김동렬 2025-05-21 3064
7384 구조론의 초대 김동렬 2025-05-17 3076
7383 사고쳤다 이준석 1 김동렬 2025-05-28 3103
7382 변화의 세계 김동렬 2025-04-23 3113
7381 진화 최종결론 김동렬 2025-06-12 3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