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899 vote 0 2019.06.09 (10:10:51)


    에너지의 통제가능성


    에너지는 스스로 움직이지만 대칭에 막힌다. 대칭으로 막힌 것은 호응으로 풀린다. 에너지의 대칭과 호응이 만유의 씨줄 날줄이 된다. 돌은 구르다가 다른 돌에 막히고 자갈은 구르다가 다른 자갈에 막힌다. 돌은 돌끼리 모여 있고 흙은 흙끼리 모여 있고 물은 물끼리 모여 있고 풀은 풀끼리 모여 있다. 그러므로 통제할 수 있다. 


    돌은 돌에 막혀서 돌끼리 모이고 흙은 흙에 막혀서 흙끼리 모이고 모래는 모래에 막혀 모래밭을 이룬다. 그러므로 퍼담으면 된다. 물은 물끼리 모여 있으므로 두레박으로 퍼 올릴 수 있고 흙은 흙끼리 모여 있으므로 삽으로 퍼담으면 된다. 통제하기 쉽게 정렬해 있는 것이다. 섞여 있으면 에너지를 투입하여 흔들어주면 분리된다.


    자연의 원심분리기 효과다. 다만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곧 호응이다. 물은 흘려보내면 풀린다. 돌은 굴려 보내면 풀린다. 흙은 무너뜨리면 풀린다. 대칭이 풀린다. 대칭을 조직하여 멈출 수 있고 호응을 조직하여 다시 움직일 수 있다. 공간에서는 두 다리를 벌려서 멈출 수 있고 시간에서는 두 다리를 움직여서 전진할 수 있다. 


    단 순서가 있어서 역주행은 안 된다. 역류할 수 없다. 항명할 수 없다. 멈춘 다음 움직이고 움직인 다음 멈춘다. 멈춤이 먼저고 움직임이 나중이다. 수비가 먼저고 공격이 나중이다. 선공을 해도 멈춘 상태에서 선공하는 것이다. 키스를 하더라도 멈추어야 한다. 달리면서 키스할 수 없다. 멈춤을 통해서 세상은 널리 통제된다. 


    에너지는 원래 움직인다. 겉보기로 멈추어 있다면 내부에서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움직이면 충돌하고 충돌하면 이기거나 진다. 지는 것은 사라지고 이기는 것만 남아 있다. 대칭과 호응만 남아 있다. 효율적인 것만 남아 있다. 통제가능한 것만 남아 있다. 균일해져 있다. 사물 고유한 속성은 없고 구조의 통제가능성이 유일하다. 


    멈출 수도 있고 동시에 그 멈춤이 풀릴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일할 수 있다. 우리는 풀과 나무와 돌과 흙과 쇠붙이의 개별적인 성질을 파악하고 일일이 대응하려고 하지만 계의 통제가능성 위주로 파악해야 한다. 몰아서 한 방향으로 줄세워놓고 하나의 기준으로 파악해야 한다. 쇠붙이는 비중대로 줄 세우면 거의 드러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6.09 (10:22:11)

"멈춘 다음 움직이고 움직인 다음 멈춘다. 멈춤이 먼저고 움직임이 나중이다."

http://gujoron.com/xe/1095896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721 조국 돌풍의 진리 1 김동렬 2024-03-15 7467
6720 엔트로피가 어렵다고? 김동렬 2024-03-15 5297
6719 국혐 포기는 이르다 김동렬 2024-03-14 5654
6718 구조를 보는 방법 김동렬 2024-03-14 5732
6717 구조론 대강 김동렬 2024-03-13 5775
6716 교언영색 한동훈 image 김동렬 2024-03-13 5097
6715 처음의 처음 김동렬 2024-03-12 5080
6714 그림은 완성되었다. 1 김동렬 2024-03-12 5605
6713 정치란 이렇게 하는 것이란다 김동렬 2024-03-12 6046
6712 다음의 다음 김동렬 2024-03-11 5018
6711 총선이 한 달 앞이다 김동렬 2024-03-11 6275
6710 물방울이 둥근 이유 김동렬 2024-03-11 5078
6709 토리야마 아키라의 드래곤 볼 김동렬 2024-03-10 5331
6708 지구가 둥근 이유 image 김동렬 2024-03-10 5474
6707 자기 자신에게 투표하라. 김동렬 2024-03-10 4754
6706 마음의 마음 김동렬 2024-03-10 4908
6705 마음의 전략 김동렬 2024-03-09 5017
6704 영화 파묘와 쇠말뚝 해프닝 image 김동렬 2024-03-08 6774
6703 주체적 사고 김동렬 2024-03-07 4837
6702 한동훈 패션안경의 비밀 김동렬 2024-03-07 6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