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아다리님의 글을 읽고 느낀점 입니다.)

공포의 반복, 연장상영, 혹은 시리즈화를 고통이라고 부를 수 있지않을까?
그런 점에서 에이리언 시리즈는 정말 고통스럽다.
이 공포는 결코 대항할 수 없는 절대우위적 파워를 지닌 자(에이리언)의 침략에서 상정되며,
절망과 희망의 극단을 오르내리면서 우리의 생존력을 시험한다.

그냥 이대로 뛰어내릴까..
요란한 겉포장과는 달리 유달리 생존력이 약한 우리의 미해병대들은 공포에 질린 나머지 자진해서 절망의 신에게 자신을 헌납해버린다.
물론 이 대목은 공포의 가공할 파워를 홍보하기 위한 장치일테이지만..

에이리언은 우리에게 마지막, 궁극의 한가지 질문을 던진다.
너, 이래도 계속 까불거니?
봉쇄된 절망과 지칠줄 모르는 고통의 변주를 듣고서도, 나름의 희망을 동원한 정돈된 삶을 동경하니? 하고 되뇌인다.
영화는 우리의 삶에 대한 조잡스러움과 죽음앞에서의 비겁함을 마음껏, 끊임없이 조롱한다.
값비싼 댓가를 치르며 2시간동안 스크린의 볼모로 앉아있을 수 밖에 없는 우리가 마침내 더없이 초라해질때, 영화는 본래의 의도된 목적을 달성한다.

너희의 그 고상한 권리 따위는, 기껏 죽음하나 어쩌지 못하는 비루한 생명알갱이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무자비한 공포채널로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고통은 결코 소통되지 않는다.
고통은 우리의 모든 감각과 사고를 기능정지시키며 무의미의 세계로 내팽개쳐버리기 때문이다.
이 절망적인 순간에 우리의 취할바가 무엇인가?의 질문을, 한편의 영화도 부족해서 시리즈로 던지고 있다.

결국 이 영화에서 내가 찾은 소통의 방법은, 고통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고통 자체가 될 수 밖에 없다는 거다.
고통을 옹호하고 고통을 자기속에 함유하며, 마지막 안전지대마저 내놓는 것..
이것만이 고통으로부터 나를 지킬수 있다는 메시지다.
그래서 마침내 그녀는 마지막 작품에서 고통의 신으로 부활했다.

고통을 적대하건 광신하건,
그것과 대립하여 안전을 구하는 순간 절망의 골짜기로 굴러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런점에서 에이리언은 고통(또는 미지)를 끌어안기 위해 모색하는 영화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46 완전성으로 창의하라 image 2 김동렬 2013-06-12 8846
2645 유가 강을 이긴다 image 1 김동렬 2013-06-11 9162
2644 양자와 직관 image 2 김동렬 2013-06-11 8927
2643 구조론의 제안 image 김동렬 2013-06-10 8942
2642 불완전한 반존재들 image 김동렬 2013-06-10 9807
2641 양자론의 베짜기 image 김동렬 2013-06-08 10041
2640 거시세계의 양자현상 image 2 김동렬 2013-06-05 10974
2639 상호작용의 세계관 image 5 김동렬 2013-06-04 9726
2638 양자론적 세계관 image 7 김동렬 2013-06-03 10142
2637 마르크스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3-05-31 9558
2636 도가도 비상도의 오류 image 7 김동렬 2013-05-29 11632
2635 완전성의 노래 image 8 김동렬 2013-05-28 9478
2634 인문학의 맥락 image 5 김동렬 2013-05-28 10222
2633 어른되기 image 6 김동렬 2013-05-27 10710
2632 작은 전체 image 2 김동렬 2013-05-24 9905
2631 역설의 작동원리 image 김동렬 2013-05-23 10214
2630 명상하는 방법 image 16 김동렬 2013-05-22 16725
2629 길바닥에 굴러다니는 황금들 image 3 김동렬 2013-05-21 10208
2628 사유의 표준모형 image 7 김동렬 2013-05-19 10340
2627 눈앞의 황금은 챙겨라 image 2 김동렬 2013-05-17 1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