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5]천분의일
read 440 vote 0 2022.07.01 (19:38:44)

Chapter3: The cause of psychosis

 

인간은 암시에 잘 걸리는 동물이다. 그래야 집단과 밀착하고 환경과 밀착하기 때문이다. 나의 자의식 중에서 순수한 내 마음은 1/3의 비중을 차지하고, 1/3은 집단이 영향을 미치고, 1/3은 자연환경이 영향을 미친다. 다른 사람의 마음을 나의 마음으로 착각하는 것이다. 나의 희망이라고 믿지만 상당부분 주변사람의 희망이다. 다른 사람에게 잘 보이려 하고 주변환경과 잘 어울리려고 한다. 다른 나라의 뉴스에도 영향을 받고 날씨에도 영향을 받는다.

Especially, humans are easily cast by spell. The reason is due to the closeness with the group and environment to which he belongs. Among your self-consciousness, your pure mind is 1/3, 1/3 is a group mind, and 1/3 is a natural environment mind.It is to delude other people's mind into your mind. You dream something but many parts of it is the dream of people around you. You try to impress others and get along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You are affected by foreign news and today’s weather.

 

누가 나를 해쳤다면 가해자의 잘못이다. 잘못을 저지른 가해자는 두 발을 뻗고 자는데 잘못이 없는 피해자가 자책하며 괴로워 한다. 이건 암시에 걸린 것이다. 가해자는 '너는 약자다. 너는 내게 복종해야 한다.'고 암시를 건 것이며 거기에 넘어간 것이다.

Let's imagine that a victim suffers unilateral damage from a certain perpetrator. However, the perpetrator who did wrong lives happily, and the victim who did not do wrong blames himself and suffers. What's wrong? This is what happened because the victim was implied. The perpetrator implies. "You are weak. You must obey me." The victim fell into that implication.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사회에는 영역, 세력, 서열이 있다. 집단과의 관계설정이 중요하다. 갑이냐 을이냐 하는 사회적 권력관계에 따라 주눅이 들기도 하고 기세등등해지기도 한다. 심리학은 긍정적인 암시를 걸어준다. '네 잘못이 아냐.' 하고 위로해 준다. 문제는 환경이 지속적으로 암시를 건다는 점이다. 환경을 바꾸지 않고, 소속된 집단을 바꾸지 않고, 갑을관계를 바꾸지 않은 채로 하는 억지 자기암시는 의미가 없다. 불교 신도가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을 염불하고 기독교 신도가 주기도문을 외우는 정도의 효과는 있겠지만 말이다. 점쟁이도 좋은 암시를 걸어준다. 복비가 만만치 않은게 문제.

Humans are social animals. There are territory, influence, and rank in society. So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well a relationship with the group. Depending on the social power relationship between clients and vendors, they can be demoralized or are high-spirited. Of course, positive spell help psychologically. They comfort themselves by saying 'It's not my fault'. The problem is that the continuing spell by the environment is stronger. There is no power in self-spell without changing the environment, changing the group to which they belong, or ch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 and the vendor. It is too powerless for a Buddhist to chant " Amitabha" and for a Christian to chant "the Lord's Prayer." Fortune-tellers also give spells, but they should give money.

 

정신분석학은 히스테리를 연구하다가 생겨났다. 그리스어로 hysteria는 자궁이다. 옛날 사람들은 자궁이 몸 속의 여러 곳을 돌아다닌다고 믿었다. 히포크라테스는 자궁의 뜨거운 기운이 머리 속으로 들어가서 사람이 미친다고 믿었다. 노처녀가 시집을 못 가서 히스테리에 걸린다는 설이 유포되었다. 히스테리는 스스로 암시에 걸리는 것이다. 남자도 쉽게 히스테리에 걸린다. 한국의 화병과 인도네시아의 아묵amok이 유명하다. 아묵은 길거리에서 갑자기 발작을 일으켜 정글도를 휘두르며 난동을 부리고 자해를 하는 것이다. 하품이 전염되듯이 히스테리도 전염된다. 누군가 아묵을 일으키면 그걸 본 사람이 그런 짓을 한다. 공황장애라는 말이 없었을 때는 괜찮았는데 공황장애라는 말이 방송을 타자 연예인 40명이 한꺼번에 공황장애에 걸려버렸다. 전염된 것이다.

Psychoanalysis came about while studying hysteria. The Greek word 'hysteria' means uterus. In the old days, people believed that the uterus was moving around in the body. Hippocrates believed that the heat of the uterus soaked into the head and drove people insane. There was rumors that the spinster is hysterical because she couldn't get married. Hysterics is self-spell. Men also easily get hysteria. Korea's ‘hwa-byung’ and Indonesia's ‘amok’ are famous. An Indonesian, suffering with ‘amok’, suddenly makes a disturbance and injures himself by wielding a machete. Hysteria is contagious just as yawning is contagious. When someone witnesses doing ‘amok’, the person who saw it does the same. It was okay when there was no word ‘panic disorder’, but when the word panic disorder was known to public, 40 celebrities acquired panic disorder at once. They were infected.

 

암시가 순식간에 전파되는게 집단 히스테리다. 다양한 집단 발작사태가 알려져 있다. 수도원의 수녀들이 일제히 야옹야옹 하며 고양이 울음소리를 낸 사건이 유명하다. 어느 나라에서는 교실에서 웃음병이 터져서 소녀들이 일제히 웃게 되었는데 최장 16시간까지 웃음을 멈추지 못한 소녀도 있었다고. 재미있는 것은 히스테리의 진화다. 상담을 받으러 온 환자에게 실신하지는 않았느냐고 물으면 다음 번 상담 때는 실신해 온다. 경련은 없었느냐고 물으면 다음 번 상담 때는 경련을 만들어온다. 대소변을 실금하지 않았느냐고 물으며 역시 그 증상을 만들어온다. 환자는 암시에 걸릴 준비가 되어 있고 의사가 암시를 걸어준 것이다. 꾀병과 다른 것은 실제로 아프다는 점이다. 인간은 스스로 암시를 걸어서 고통을 느낄 수 있다. 히스테리는 원래 다른 사람의 마음을 조종할 의도로 짜증을 내고 까탈스럽게 구는 것인데 그게 반사되어 거꾸로 자신이 암시에 걸리는 것이다.

Mass hysteria features the rapid spread of spell. Among various mass seizures, there was an incident in which the nuns of the monastery make sound of crying cats at once. In some countries, laughter burst in classrooms, causing girls to laugh all at once, and a girl could not stop laughing for up to 16 hours. What's interesting is the evolution of hysteria. If you as a doctor ask the patient about fainting, he or she will tell you about the experience of fainting during the next consultation, Whether it is convulsions or incontinence, the patient is ready for spell, and you just give a spell. And this is not fake illness, it actually appears. Humans can feel real pain by spelling themselves. Hysteria is the act of being irritable and picky to manipulate other people's minds, but the act is reflected back to the patient and they are caught in a spell.

 

타진요 소동과 같은 군중의 마녀사냥 행태가 집단 히스테리다. 서로 암시를 걸어주고 암시에 걸려주며 그 상태를 편하게 여긴다. 암시는 집단과 밀착되어 있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고유정 사건이나 쌍둥이 배구선수 사건처럼 여성이 관련되면 히스테리가 심해진다. 히스테리는 만만한 약자를 공격한다. 군중들이 일제히 암시를 전파하여 집단의 결속을 다지며 소속감을 느낀다. 그 방법으로 무리를 짓고 거기서 영역과 세력과 서열을 느끼는 것이다. 인간의 종교활동은 집단적 자기암시의 순기능이다. 은혜 받는다고 떠들고 방언이 터지고 소동을 부리는 것은 히스테리가 선을 넘은 것이다.

There was ‘Tajinyo uproar’ in which witch-hunt by a mob was carried out in the act of mass hysteria. They give and take spells each other, and feel comfortable with each other. Spell is evidence of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roup. Hysteria gets worse when women are involved, such as in the Ko Yoo-jung case or the twin volleyball scandal. Hysteria attacks the social weak.The crowd spreads spells in unison to strengthen the group's solidarity and feel a sense of belonging. In that way, they form groups and feel territory, influence, and rank. Human religious activities has a good function for self-spell as a group.Of course, there is also dysfunction of hysteria to cry and yell with ‘Korean prayer’ at dawn for their own grace.

 

아기가 어리광을 부리고, 약자가 자해를 하고, 얼떨리우스가 관종 짓을 하는 것은 약자가 암시를 걸어서 타인을 조종하는 행동이다. 타인을 자신의 삶에 개입시키는 것이다. 여성이 약자인 경우가 많으므로 봉건시대에 히스테리는 여성의 전유물로 오해되었다. 집단과의 간격이 멀어졌거나 뭔가 겉돈다 싶을 때 밀착을 유도하는 호르몬이 히스테리를 만든다.

The baby's childish behavior, the weak‘s self-injury, and an idiot’s attention seeking are the actions of the weak manipulating others by spell. They induce others in their lives. Hysteria was misunderstood as the exclusive property of women, especially in the feudal era when women were the weak. Hormones that induce a close association cause hysteria when the gap with the group is distant or when it turns outside the group.


동물은 물리적으로 밀착시켜주면 안정감을 느낀다. 두목 수컷의 오줌 냄새를 묻혀주면 사육시설 안에서 일어나는 왕따문제가 해결된다. 자신의 정신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나무상자 속에 들어가 있는 사람도 있다. 고양이만 상자를 좋아하는게 아니다. 어린이도 상자와 같은 좁은 공간을 좋아한다. 복면을 쓰고 망토를 두르고 닌자복장을 한다. 중학생들은 머리카락으로 이마를 가리고 고등학생들은 후드티를 눌러써서 얼굴을 가린다. 어린 양이 양떼들 속으로 숨는 것과 같은 동물적 밀착본능이다. 일종의 히스테리 전조현상이다.

Animals feel stable when they are physically attached. The problem of bullying at the zoo is solved by putting the urine from the boss male. Some people are in wooden crates to treat their mental illness. Cats are not the only ones who like boxes. Children also like small spaces like boxes. They wear a mask, a cape, and a ninja costume. Middle school students cover their foreheads with hair and high school students cover their faces with hood tees. It is an animal close instinct, like a young sheep hiding in a flock of sheep. It is a kind of presymptom of hysteria.

 

소는 주위를 에워싸고 있는 벽들에 갇히면 안정감을 느끼고 말은 반대로 주변에 벽이 있으면 불안해 한다. 경주마들이 발주기에 들어가려고 하지 않는 것이 그러하다. 한국인들은 두메산골의 분위기에 안정감을 느끼고 반대로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들은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많은 야산들 때문에 괴로워한다. 몽골인들은 주변의 나무를 죄다 뽑아버리고 편안해 한다. 자객이 나무그늘에 숨어서 침입하기 때문이다. 인간이 무의식적으로 환경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Cows feel stable when they are surround by walls, and horses feel anxious when they have walls around them. So racehorses don't try to get into the starting gate. Koreans feel stable in a village surrounded by mountains, while U.S. troops in South Korea suffer from the hills surrounding them. Mongolians feel comfortable by pulling out all the trees around them. This is because the enemy hides in a tree before they invade. While not well aware, humans unconsciously have very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environment.

 

깨달음은 심리적인 밀착을 끌어낸다. 인류의 편, 진리의 편, 자연의 편, 역사의 편, 진보의 편에 서야 한다. 천하인이 되어야 한다. 신과의 일대일을 훈련해야 한다. 세상과 내가 긴밀하게 톱니가 맞물려 돌아간다는 느낌을 가져야 한다. 그래야 안정감을 느낀다. 그럴 때 스트레스는 사라진다. 과호흡이 사라져서 딸꾹질과 트림과 식도역류가 멈춘다. 집단 안에서는 역할이 중요하다. 집단과의 관계가 겉돌지 않아야 한다. 집단 내부의 모든 정보가 나를 통과하는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Enlightenment leads to psychological closeness. You must stand on the side of mankind, on the side of truth, on the side of nature, on the side of history, and on the side of progress. You have to be a broad-minded adult. You have to train one-to-one with God. You have to feel that the world and you are working closely together. That way you can feel stable. In that case, stress goes away. Hyperventilation is gone, so hiccups, belching and reflux esophagitis stop. It is important to have the role in a group. You have to keep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roup.You hav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ll the information inside the group passes through you.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상호작용이 있는 곳에는 항상 권력이 작동한다. 권력은 상호작용의 지렛대다. 내가 주최측이 되어 게임을 개설하는 것이 권력이다. 권력이 눈에 보이지 않으면 인간은 불안해진다. 자해를 하고 발작을 일으키는 것은 보이지 않는 추상의 권력을 제 눈으로 보려는 것이다. 권력의 존재를 실감하려는 것이다. 인간의 각종 상징물 집착이 그러하다. 국가, 국기, 국화, 국장 따위에 집착한다. 배지를 달고 완장을 찬다. 직장인은 넥타이를 매고 유니폼을 입는다. 소년들은 권위주의를 배격한다면서도 같은 머리모양에 같은 패딩점퍼로 통일하고 있다. 같은 노래를 부르고 같은 춤을 추며 제 발로 올가미 안으로 걸어들어가는 것이다.

Interaction is required. Where there is interaction, power always works. Power is the lever of interaction. Power is to open the game as an organizer. Humans become anxious when power is invisible. Self injury and seizures are intended to see invisible abstract power with one's own eyes. It is to realize the existence of power. So humans are obsessed with various symbols. They are obsessed with national anthem, national flags, national flower, state funerals, and so on. They crave to wear a badge and armband. Office workers wear ties and uniforms. The boys insist on the rejection of authoritarianism and dress in the same padding jumper with the same hairstyle. They voluntarily walk into the trap, singing the same song, and dancing the same dance.

 

태극기 할배나 땅굴 할배들의 행패는 소동을 부려서 권력이 자신을 토벌해주기를 바라는 것이다. 매를 벌어서 집단 속에서 권력의 존재를 확인하려고 한다. 정부에서 자신을 토벌하지 않으니 불안하다. 양치기 소년은 없는 늑대라도 만들어내야 한다. 마을사람이 일제히 달려온다. 권력의 존재를 느낀다. 소년의 마음은 편안해진다. 보수가 걸핏하면 북한의 남침임박설을 퍼뜨리는 이유다. 양치기 소년처럼 혼자 깊은 산 속에 고립되어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The behavior of the Taegeukgi grandfathers and tunnel grandfathers is to make a fuss and hope that power will punish them. They try to confirm the existence of power in the group by getting punished. But they are anxious because the government doesn't punish them. The shepherd boy must produce a wolf that does not exist. The villagers are running all at once. He then feel the existence of power. The boy's mind becomes comfortable. This is why conservatives often spread rumors of North Korea's invasion of the South. Like a shepherd boy, when he feels isolated in a deep valley alone, he makes a fuss with a li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3 구조론칼럼6장: 경쟁의 형태 천분의일 2022-07-10 492
152 구조론 칼럼 5장: 한나아렌트의 게임 천분의일 2022-07-05 402
151 구조론 칼럼 4장: 권력의 진화 천분의일 2022-07-05 245
» 구조론 칼럼 3장: 정신병의 원인 천분의일 2022-07-01 440
149 구조론 칼럼 2장: 이념은 없다 천분의일 2022-06-28 358
148 관점과 관념 9장 세상은 마이너스다 dksnow 2022-06-26 296
147 구조론 칼럼 1장: 주입식 교육의 폐해 1 천분의일 2022-06-25 457
146 진화의 전략 8장: 유전자의 입장 천분의일 2022-06-23 251
145 진화의 전략 7장: 상호작용설 천분의일 2022-06-21 312
144 진화의 전략 6장: 주체의 선택 천분의일 2022-06-19 282
143 관점과 관념 8장 우주의 제 1 지식 dksnow 2022-06-17 259
142 진화의 전략 5장: 진화와 진보 천분의일 2022-06-16 264
141 진화의 전략 4장: 자연의 조절장치 천분의일 2022-06-14 268
140 관점과 관념 7장 소크라테스의 논박 1 dksnow 2022-06-11 342
139 진화의 전략 3장: 성선택설의 오류 천분의일 2022-06-10 269
138 진화의전략 2장: 방향과 기세 천분의일 2022-06-07 285
137 관점과 관념 6장 변화의 추적 dksnow 2022-06-06 280
136 진화의 전략1장: 유체와 강체 천분의일 2022-06-05 278
135 강자의 전략8장: 전쟁기계 천분의일 2022-06-05 236
134 강자의 전략 7장 : 원칙과 변칙 천분의일 2022-05-31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