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10]dksnow
read 280 vote 0 2022.06.06 (06:06:17)

ch 6 the pursuit of change

안다는 것은 변화를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류는 여전히 변화를 꿰뚫어보는 눈을 얻지 못하고 있다. 뉴턴의 미적분에 와서 처음으로 변화를 추적했지만 사물의 겉보기 변화를 살폈을 뿐이다. 여전히 인간은 '사건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일어나는 변화를 추적하는 논리'를 갖고 있지 않다. 변화를 설명하는 말로는 원인과 결과가 있지만 그 사이의 의사결정에 대해서는 표현할 언어가 없다. 자동차로 말하면 출발과 도착만 알고 그 중간의 운전을 모르는 셈이다. 운전이 핵심인데 말이다. 출발과 도착은 자동차 밖에서도 알 수 있다. 그러나 운전은 자동차 내부로 들어가서 차를 몰아봐야 안다.

To know is to be able to control change. Humanity still has no eye for change. For the first time in Newton's calculus, he tracked changes, but only looked at the apparent changes in things. Still, humans do not have a 'logic that tracks changes occurring within the event itself'. There are causes and effects in words that explain change, but there is no language to express the decision-making in between. In other words, when it comes to cars, they only know the departure and arrival, and they don't know the driving in the middle. Driving is the key. Departure and arrival can be seen outside the car. However, driving is not known until you go inside the car and drive the car.


변화는 사건이라는 자동차 안에서 일어나는데 인류는 사건에 대한 인식이 없으므로 변화를 설명하지 못한다. 외부에서의 물리적 작용에 의한 변화는 눈으로 보고 추적할 수 있다. 격물치지라 했다. 망치로 때린 다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지켜보면 된다. 외부에서 관측되는 변화는 일회적이고 내부에서 일어나는 자발적 변화는 반복적이다. 깡통은 외부에서 몽둥이로 때리는지 돌멩이로 때리는지에 따라 소리가 다르지만 피아노는 내부의 조율에 따라 소리가 일정하다. 우리는 핵물질의 반감기처럼 사건 내부에서 자체 모순에 의해 저절로 일어나는 자발적 변화를 추적하는 논리를 가져야 한다.

Change occurs in a car called an event, but mankind has no awareness of the event, so it cannot explain the change. Changes caused by external physical action can be seen and tracked with the eyes. So called '격물치지' (study things to acquire knowledge). I told you to hit the bull's-eye. You can hit it with a hammer and see what happens. Changes observed from the outside are one-time and voluntary changes occurring from the inside are repetitive. The sound of the can varies depending on whether it is hit with a club or a stone from the outside, but the sound of the piano is constant depending on the internal coordination. We should have a logic that tracks spontaneous changes that occur spontaneously by self-contradiction inside events, such as the half-life of nuclear materials.


외부에서 일어나는 변화라도 더 큰 단위로 보면 내부가 된다. 피아노는 내부의 건반에서 소리가 나고 깡통은 외부의 두드리는 막대기에서 소리가 난다. 아니다. 깡통을 때리는 사람이 있다. 더 큰 단위로 보면 사람과 깡통 사이의 내부다. 깡통은 때리는 도구에 따라 소리가 다르지만 그 도구를 사용하는 사람이 어린이라면 그 소리는 일정하다. 어린이가 내는 소리는 뻔하다. 어린이의 행동은 사건이고 어린이가 쓰는 도구는 사물이다. 사건을 보면 일정한 원인이고 사물을 보면 다양한 결과다. 바라보는 방식의 차이다. 사건의 원인쪽을 보면 고속도로 내부지만 결과쪽을 보면 자동차의 외부다. 원인은 결과보다 크다. 큰 쪽을 보면 사건의 내부고 작은 쪽을 보면 사물의 외부다. 우리는 작은 결과쪽을 보는데 익숙해 있다. 전모를 보지 못한다.

Even changes that occur from the outside become internal when viewed in a larger unit. The piano makes a sound from the keyboard inside, and the can makes a sound from the outside tapping stick. No, there's someone who hits the can. In a larger unit, it is the interior between people and cans. The sound of the can varies depending on the hitting tool, but the sound is constant if the person using the tool is a child. The sound of a child is obvious. A child's behavior is an event and the tool that a child uses is an object. It is a certain cause when looking at an event and various results when looking at an object. It's a difference in the way you look at it. The cause of the accident is inside the highway, but the result is outside the car. The cause is greater than the result. The larger side is the inside of the event, and the smaller side is the outside of the object. We are used to looking at small results. I don't see the whole picture.


문제는 사건의 내부원인에 의해서 일어나는 변화를 설명하는 언어가 없다는 점이다. 피아노는 있는데 건반이 없다. 건반이 있는데 알아채지 못한다. 집단 내부의 규칙적인 변화와 개인 외부의 무질서한 변화를 혼동한다. 변화를 해석할 언어가 없으므로 피상적인 관념으로 흐르게 된다. 자유, 평등, 사랑, 정의, 선악, 윤리, 도덕, 이념, 영혼, 이성, 이데아, 내세, 천국, 정언명령, 해탈, 신토불이, 생태주의 하며 마구잡이로 투척되는 혼란스러운 관념들은 모두 개인의 외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실제로는 집단의 내부에서 에너지가 작용하고 있는데 말이다. 애초에 접근방향이 틀려먹었다. 개인의 욕망, 탐욕, 동기, 야심, 의지는 개소리고 집단의 무의식이 행동을 결정한다. 호르몬이 인간을 움직인다. 호르몬을 자극하는 것은 집단이다.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no language to explain the changes caused by the internal causes of the event. There is a piano, but there is no keyboard. There's a keyboard, but it doesn't notice. It confuses regular changes within the group with disorderly changes outside the individual. Since there is no language to interpret the change, it flows into a superficial concept. Freedom, equality, love, justice, good and evil, ethics, morality, ideology, soul, reason, ideology, future, heaven, decree, liberation, Shinto Buddha, ecological, and chaotic ideas are all observed outside the individual. In fact, energy is working inside the group. The approach was wrong in the first place. Individual desires, greed, motivation, ambition, and will are disgusting, and group unconsciousness determines behavior. Hormones drive humans. It is the group that stimulates hormones.


집단의 내부에서 작동하는 원인은 권력이고 권력을 만드는 것은 의리다. 하나의 원인이 어떤 대상에 작용하는가에 따라 무수히 많은 결과를 연출한다. 병은 하나인데 증상은 백 가지다. 자유, 평등, 정의, 평화, 행복 따위 관념어는 의리가 없고 권력이 없어 집단이 의사결정을 실패하는데 따른 다양한 증상이다. 의사결정을 잘하면 한꺼번에 해소된다. 그러려면 의리가 필요하고 권력을 창출해야 한다. 부족민 사회는 권력이 없어 의사결정을 못하고 독재국가는 의리가 없어 의사결정을 억지로 한다.


The cause of working within a group is power, and it is righteousness to create power. Depending on what cause acts on which object, it produces countless results. There is only one disease, but there are a hundred symptoms. Ideas such as freedom, equality, justice, peace, and happiness are various symptoms of group failure due to lack of loyalty and power. Good decision-making will solve it all at once. To do so, loyalty is necessary and power must be created. Tribal societies cannot make decisions because they do not have power, and dictatorships force them to make decisions because they do not have loyalty.


인간의 사유가 피상적 관념으로 흐르는 것은 원인이 되는 내부질서를 보는 눈이 없기 때문이다. 원인은 노예와 주인의 관계다. 결과는 해방된 노예의 자유다. 원인은 병역을 마치고 군을 제대하거나 수형생활을 마치고 교도소에서 출소하거나 혹은 아기를 낳아서 산모가 몸을 풀었던 것이다. 원인은 두 사람 사이에서 무언가의 마이너스로 일어난다. 노예와 주인, 군대와 병사, 교도소와 재소자, 산모와 아기는 둘이다. 결과는 개인의 자유다. 원인은 언제나 둘 사이에 있고 결과는 언제나 한 사람에 있다. 그 원인이 되는 둘 사이는 적절한 이름이 없다. 생각하기 편한대로 결과측의 한 사람을 주목하게 된다. 그것을 자유라고도 하고 평등이라고도 하고 정의라고도 한다. 원인은 언제라도 의리가 없는 두 사람의 관계가 겉도는 것인데 말이다.

The reason why human thought flows into superficial ideas is because there is no eye for the internal order that causes it. The caus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laves and owners. The result is the freedom of freed slaves. The cause was that the soldier was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after military service, released from prison after serving a sentence, or the mother gave birth to a baby and warmed up. The cause is something negative between two people. Slaves and owners, troops and soldiers, prisons and inmates, mothers and babies are two. The result is individual freedom. The cause is always between the two and the result is always in one person. There is no proper name between the two that cause it. As it is convenient to think, one person on the result side is noticed. It is called freedom, equality, and justice. The reason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ho are not loyal at all times, is superficial.


관념어는 미래를 소급하여 가정한 것이다. 유토피아가 그러하고 이데아가 그러하다. 예수의 사랑이든, 석가의 해탈이든, 유교의 중용이든 마찬가지다. 그것은 유토피아의 변형이거나 이데아의 변형이다. 자사의 성, 퇴계의 경, 동중서의 천인합일, 주자의 이기이원론, 왕양명의 양지, 칸트의 정언명령이 모두 유토피아 혹은 이데아의 변형이다. 그것을 마음 속으로 가져가면 이성이 되고, 사후세계로 가져가면 천국이 되고, 정치이념으로 가져가면 사회주의가 된다. 그것은 원인이 아닌 결과를 지시며 그 결과도 미래를 가불하여 당겨쓴 거짓이다.

Ideology is a retrospective assumption of the future. Utopia does and Idea does. Whether it is the love of Jesus, the liberation of the Buddha, or the moderation of Confucianism. It is either a variant of utopia or a variant of an idea. Its castle, Toegye-gyeong, Dongjungseo's unity of heaven, Juja's Iggy dualism, Wangyangmyeong's sunny spot, and Kant's Jeongun order are all variations of utopia or Idea. If you take it in your mind, it becomes reason, if you take it in the afterlife, it becomes heaven, and if you take it in political ideology, it becomes socialism. It dictates the result, not the cause, and the result is also a lie written in advance of the future.


자유든 정의든 평등이든 정치적 올바름이든 페미니즘이든 유토피아론과 이데아론의 곁가지다. 유토피아의 일부를 떼면 자유가 되고, 평등이 되고, 정의가 되고, 윤리가 되고, 도덕이 된다. 미래를 가불하여 현재로 끌어오니 공허하다. 그게 견강부회다. 견강부회는 송나라의 역사학자 정초가 한 말인데 동중서가 음양학을 꾸며내어 억지로 공자의 춘추에 갖다붙였다는 말이다. 한 마디로 개소리 하지 말라는 거다.

Whether it is freedom, justice, equality, political correctness, or feminism, it is next to utopia and ideology. If you take part of the utopia away, it becomes freedom, equality, justice, ethics, and morality. It is empty to bring the future back to the present. That's what it is. Gyeongangbuhoe was said by Jeongcho, a historian of the Song Dynasty, and Dongjungseo made up Yinyanghak and forcibly attached it to Confucius' Spring and Autumn. In a word, don't talk nonsense.


인정해야 한다. 21세기임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변화를 기술하는 언어를 갖지 못하고 있다. 뉴턴의 미적분이 변화가 일어나는 사물의 외부를 추적했지만 사건 내부에 대해서는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당구공이 쓰리쿠션을 맞고 나오는 것은 보인다. 중국의 북대하회의나 러시아의 크렘린 궁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모른다. 변화는 감추어진 내부에서 일어난다. 혹은 외부에서 관찰되는 변화라도 더 큰 단위로 보면 내부다. 열역학은 감춰진 내부의 변화를 추적한다. 겨우 방향이 있다는 사실만 알아냈을 뿐이다. 구조론은 대칭을 이용하여 감추어진 내부에서의 변화를 낱낱이 추적한다. 

Should accept. Despite the 21st century, mankind does not have a language to describe change. Newton's calculus has tracked the outside of things that change, but it has not dared to think about the inside of the event. I can see a billiard ball coming out after being hit by a three-cushion (three hits by the walls). We don't know what happens in China's Northern Conference (Northern Great Summer Meet) or Russia's Kremlin Palace. Change takes place inside the hidden. Or even changes observed from the outside are internal when viewed in larger units. Thermodynamics tracks hidden internal changes. I only found out that there was a direction. Gujo theory uses symmetry to track hidden internal changes in detail.



변화는 변하지 않는 것에 의지해서 변한다. 변하지 않는 것이 변하는 것보다 크다. 계 안에서 에너지의 모순이 일어나면 큰 것과 작은 것이 싸워서 큰 것이 내부에서 버티고 작은 것이 밖으로 튕겨나가는 형태로 변화는 일어난다. 큰 것이 버티고 작은 것이 변하므로 변화에는 일정한 방향성이 있다는 것이 엔트로피다. 어떤 것이 변했다면 보다 큰 것이 배후에 숨어 있다. 공이 날아왔다면 그 공을 움켜쥔 손은 공보다 크다. 그 손을 움직인 팔은 손보다 크다. 그 팔을 움직인 어깨는 팔보다 크다. 그 어깨를 움직인 몸통은 더 크다. 변화와 불변은 대칭을 이루며 변화는 배후의 불변보다 작아야 한다.


Change depends on what doesn't change. What doesn't change is bigger than what changes. When energy contradictions occur in the system, changes occur in the form of large and small fighting, with large and small holding on from the inside and small bouncing out. Entropy is that there is a certain direction to change because the big one holds and the small one changes. If something has changed, something bigger is hiding behind it. If the ball flew in, the hand that grabbed the ball is bigger than the ball. The arm that moved the hand is bigger than the hand. The shoulder that moved the arm is bigger than the arm. The torso that moved the shoulders is bigger. Change and invariance are symmetrical, and the change must be smaller than the invariance behind it.


우리가 변화를 추적하지 못하는 이유는 원자론적 사고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변하지 않는 것에 의지해서 변화가 일어나므로 궁극의 존재는 변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바로 그것이 쪼개지지 않는 성질을 가진 원자라는 가정을 한다. 그 가정이 틀렸다. 변화를 통제하는 것은 나란함이다. 변화보다 크고 배후에서 변화를 끌어내며 스스로는 불변하는 궁극의 그것은 어떤 둘의 나란함이다. 대칭된 둘이 토대를 공유할 때 나란해진다. 그것이 구조다.


The reason why we can't keep track of changes is because we're stuck in atomic thinking. Because change occurs depending on what does not change, the ultimate existence must be the one that does not change, and it is assumed that it is an atom with a property that does not split. The assumption is wrong. It is me who controls change. The ultimate thing that is bigger than change, draws change from behind, and is immutable in itself, is the side of some two. It becomes parallel when two symmetrical people share a foundation. That's the Gujo.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3 구조론칼럼6장: 경쟁의 형태 천분의일 2022-07-10 492
152 구조론 칼럼 5장: 한나아렌트의 게임 천분의일 2022-07-05 402
151 구조론 칼럼 4장: 권력의 진화 천분의일 2022-07-05 246
150 구조론 칼럼 3장: 정신병의 원인 천분의일 2022-07-01 441
149 구조론 칼럼 2장: 이념은 없다 천분의일 2022-06-28 358
148 관점과 관념 9장 세상은 마이너스다 dksnow 2022-06-26 296
147 구조론 칼럼 1장: 주입식 교육의 폐해 1 천분의일 2022-06-25 457
146 진화의 전략 8장: 유전자의 입장 천분의일 2022-06-23 251
145 진화의 전략 7장: 상호작용설 천분의일 2022-06-21 312
144 진화의 전략 6장: 주체의 선택 천분의일 2022-06-19 283
143 관점과 관념 8장 우주의 제 1 지식 dksnow 2022-06-17 259
142 진화의 전략 5장: 진화와 진보 천분의일 2022-06-16 264
141 진화의 전략 4장: 자연의 조절장치 천분의일 2022-06-14 270
140 관점과 관념 7장 소크라테스의 논박 1 dksnow 2022-06-11 342
139 진화의 전략 3장: 성선택설의 오류 천분의일 2022-06-10 269
138 진화의전략 2장: 방향과 기세 천분의일 2022-06-07 285
» 관점과 관념 6장 변화의 추적 dksnow 2022-06-06 280
136 진화의 전략1장: 유체와 강체 천분의일 2022-06-05 279
135 강자의 전략8장: 전쟁기계 천분의일 2022-06-05 236
134 강자의 전략 7장 : 원칙과 변칙 천분의일 2022-05-31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