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아나키(÷)
read 6618 vote 0 2020.12.17 (15:05:50)


  부동산 시장에서 전세금 폭등으로 전세입자는 불쾌한 일을 겪고 있다. 생존권에 대한 문제로 이어지는 문제로 귀결되는데,
  요점은 반쪽자리 정책으로 양쪽을 다 배려 해서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계약갱신청구권이 핵심인데, 2+2 제도는 신규 전세자에게는 현 시세로 전세금을 받을 수 있어 전세금을 일단 올려 놓고 본다. 기존 새입자는 갱신청구로 한 숨 돌리는 시간을 벌었지만, 2년이 더 경과된 후에는 현 시세로(임대권자 맘)으로 올려야 한다. 집주인이 실거주 한다고 한다면 계약자는 나가야 한다. 

  이렇게 되면 상대적 대칭으로 힘있는 임대권자가 더 유리한 양상으로 전개 된다. 

  전세금은 올라가게 되고, 물론 5%이내 한정적으로 제약을 시켰지만, 총 4년이 지난 이 후 새로운 세입자에게는 얼마든 올릴 수 있다. 

  결국, 법에 잣대로 공정성을 발휘한다는 이유로 양쪽에게 다 반반씩 안배를 해버리는 부동산 계약 법규는 차 후 힘있는 임대권자에게 더욱 유리한 양상으로 전개 되는 것이다. 보유세라는 명목으로 세금을 물리면 그 비용은 월세가 오르는 구실을 하게 된다. 도미노 현상을 일르키는 것인데, 부동산으로 힘겹게 살아가는 서민에게 힘이 되는 새로운 부동산 계약 개혁법을 만들 필요가 있다. 할거면 걍 하라는 것이다. 한쪽 편을 들어줘야 대칭이 깨진다. 

  LH의 전세보증보험이나, 전세자금 대출은 다가구 주택의 경우 요식행위로 전락했다. 다가구는 보증보험 가입 거절이 90%가 넘는다. 결국 되는게 없다. 

  구조적으로 부동산 정책은 공공임대 아파트를 사람이 살 수 있는 평형대로(30평)저렴하게 공급하고, 공공임대 집을 짓는 건설사를 관리 감독하여 혜택이 엉뚱한 곳으로 세어 나가지 않게 시민 감시단을 붙여 부동산 시장의 판세를 의도적으로 깨트리는 방법 밖에 정부가 할 일은 없다. 

  국토부 장관이 몇 번을 바뀌어야 제대로 시행될까? 장관 자체가 부동산 투기꾼을 앉히는 웃기는 희극에서 
  부동산 집값 잡기는 자위행위로 전락했다. 국토부와 LH 직원들은 부동산 투자자들이 꽉 차 있다. 왜 집값이 떨어지길 바라겠는가?? 혹시 당신 외계인?


[레벨:4]JD

2020.12.17 (17:15:46)

예전에 1년에서 2년으로 바꿀 때도 언론들이 난리가 났었죠.

몇 십 년만에 2년을 4년으로 겨우 바꿨는데 보수언론과 보수야당이 또 개지롤을 떨었죠.

4년도 겨우, 간신히, 바꿨다는 말씀.

아쉽지만 어떡합니까?
개혁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니.

방법은 진보의 장기집권밖에 없습니다.
[레벨:30]스마일

2020.12.18 (16:47:20)

민주당 100년 집권으로 "늘공 공무원독재"타도 하자!


보이지 않는 곳에 '늘공'독재 너무 많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228080
2280 구조론은 잘하는 것입니까? image 8 신웅 2025-03-17 3824
2279 제2의 노무현은 필요하다 1 신웅 2025-03-15 3837
2278 [질문]세상은 원래 암묵적인가? 9 추론이 철학이다 2025-03-14 4086
2277 [질문]부분이 전체에 맞추라는 논리에 대해 2 추론이 철학이다 2025-03-14 5957
2276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5-03-12 3931
2275 장안생할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5-02-26 3806
2274 콰인의 생각 14 나나난나 2025-02-18 4657
2273 [질문]각운동량 보존 법칙과 엔트로피 증가 법칙의 연관성 4 추론이 철학이다 2025-02-14 4791
2272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1 오리 2025-02-13 3674
2271 지능의 기원 1 chow 2025-02-10 3680
2270 [질문]단기전략의 장기화 3 추론이 철학이다 2025-02-06 4609
2269 딥시크-R1(추론모델)과 천재의 원리 image 6 chow 2025-02-05 4241
2268 챗지피티 월 5,770원에 쓰고 사람되세요 3 chow 2025-02-03 4052
2267 언어모델에 대한 오해 chow 2025-02-03 3826
2266 딥시크의 허와 실 chow 2025-01-31 6690
2265 질량과 무게의 보편적 원인 3 chow 2025-01-30 6322
2264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6시30분) image 오리 2025-01-29 3652
2263 형식논리학과 변증법 image chow 2025-01-27 5593
2262 subject의 의미 8 chow 2025-01-26 3786
2261 한국의 제사(祭祀)와 차례(茶禮), 이젠 없어져야 한다. image 2 SimplyRed 2025-01-25 3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