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전략의 기본은 내가 보편성을 차지하고 상대가 특수성에 매몰되게 유도하는 것이다. 상대는 특수성을 이용하려고 좁은 공간과 짧은 시간을 선택하다가 공간의 궁지에 몰리고 시간의 초읽기에 몰린다.


요새 이 말이 자꾸만 기억에 남는 것 같습니다. 


생각해보면 어떤 승부의 지점에서 환경이 변해서 승리가 패배로 바뀌거나 패배가 승리로 바뀌었던 경험들이 있습니다. 


승리가 패배로 바뀐 경우는 특수성을 이용해서 제한된 시공간에서 승기를 잡았다가 의외로 상대의 저항이 길어지면서 환경이 바뀌어 보편성이 적용되면서 제가 패배한 경우이고, 


패배가 승리로 바뀐 경우는 반대의 경우입니다.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버텼더니 환경이 바뀌면서 환경이 제게 유리하게 바뀐 경우입니다. 



생각해보면 전자의 경우는 제가 무리수를, 후자의 경우는 상대가 무리수를 두었습니다. 시공간에 제한을 걸면 쉽게 승리할 것 같으니 그렇게 제한을 걸지만 결국 그 시공간의 지점을 벗어나게 되면 제가 지는 상황이 펼쳐졌었습니다. 



더 생각해 볼 여지가 있는 대목 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0.12.03 (20:49:04)

보편성을 선택한 사람은 외부와 연결되는 라인을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안될듯 싶으면 손을 빼고 다른 곳에서 새로운 전단을 열어갑니다. 손빼기를 잘하는게 기술이지요.


특수성을 선택한 사람은 외부와 연결을 차단해놓고 있으므로 손빼기를 못합니다. 

불리하면 손 빼고 다른 게임을 해야 하는데 한 종목만 계속 붙들고 있다가 망하는 거지요. 


주식으로 말하면 손절입니다. 

보편성은 종목이 많아서 손절이 가능한데 

특수성은 종목이 하나 뿐이라서 손절을 못하고 계속 붙들고 있습니다.


안희정 아니다 싶으면 손절

박원순 아니다 싶으면 손절

김경수 아니다 싶으면 손절

추미애 된다 싶으면 투자

조국도 된다 싶으면 투자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228413
2281 마누스의 정체와 AI 업계 상황 image 1 chow 2025-03-17 4644
2280 구조론은 잘하는 것입니까? image 8 신웅 2025-03-17 3854
2279 제2의 노무현은 필요하다 1 신웅 2025-03-15 3858
2278 [질문]세상은 원래 암묵적인가? 9 추론이 철학이다 2025-03-14 4111
2277 [질문]부분이 전체에 맞추라는 논리에 대해 2 추론이 철학이다 2025-03-14 5992
2276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5-03-12 3962
2275 장안생할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5-02-26 3826
2274 콰인의 생각 14 나나난나 2025-02-18 4688
2273 [질문]각운동량 보존 법칙과 엔트로피 증가 법칙의 연관성 4 추론이 철학이다 2025-02-14 4821
2272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1 오리 2025-02-13 3692
2271 지능의 기원 1 chow 2025-02-10 3706
2270 [질문]단기전략의 장기화 3 추론이 철학이다 2025-02-06 4685
2269 딥시크-R1(추론모델)과 천재의 원리 image 6 chow 2025-02-05 4268
2268 챗지피티 월 5,770원에 쓰고 사람되세요 3 chow 2025-02-03 4077
2267 언어모델에 대한 오해 chow 2025-02-03 3847
2266 딥시크의 허와 실 chow 2025-01-31 6744
2265 질량과 무게의 보편적 원인 3 chow 2025-01-30 6366
2264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6시30분) image 오리 2025-01-29 3678
2263 형식논리학과 변증법 image chow 2025-01-27 5638
2262 subject의 의미 8 chow 2025-01-26 3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