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4]chow
read 7130 vote 0 2024.11.03 (22:27:50)

한국에서는 절대로 객관적으로 미국의 뉴스를 접할 수 없습니다.

제가 외국에 있을 때 느꼈던게 있는데

한국 뉴스와 유럽 뉴스에는 상당한 언밸런스가 있다는 겁니다. 


외국의 뉴스와 한국의 뉴스는 언제나 온도가 상당히 다릅니다.

한국사람들은 역대급으로 경제가 망하고 있으니깐

미국도 그럴거라고 무의식적으로 생각하고

기자들이 뉴스를 퍼와도 미국이 나쁘다는 식으로만 퍼오거나

독자들도 부정적으로만 해석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미국에서 돈지랄의 대명사 인공지능을 할 수 있는 건 

돈지랄을 할 정도로 돈이 썩어나기 때문이겠죠. 

이게 단순히 부익부빈익빈이라고 말하기도 뭐한게

창업이 코로나 이전보다도 더 늘어나고 있다고.


게다가 GDP가 8만불인 나라의 성장률을 3%로 보네마네 하면 말 다 한 거.

한국은 망하냐마냐를 논하는데

미국은 더먹냐 덜먹냐를 논하는 겁니다. 

해리스냐 트럼프냐를 판단하는 기준을

미국 경제가 좋냐 나쁘냐로 정한다면

무조건 해리스입니다. 


그런데 구글 트렌드는 트럼프가 해리스에 근소하게 우위던데? 맞습니다.

그런데 트럼프와 바이든을 비교하면 평균적으로 바이든이 8배 정도 높아요.

절정일 때는 100대 1 정도.

https://trends.google.co.kr/trends/explore?q=트럼프,%2Fm%2F012gx2&hl=ko


단, 한국인만 트럼프가 바이든에 6:4 정도 우위

해리스는 해리스 단독이 아니라 바이든 + 해리스입니다.

결국 한국인만 역대급으로 우울하기 때문에

한국의 시각을 그대로 씌워서 

미국의 대선판을 착각하고 있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힐러리 시절도 분석하면 좋겠지만 그건 다음에. 


프로필 이미지 [레벨:10]systema

2024.11.03 (23:18:07)

기존여론조사에서 업체들이 샤이트럼프 보정치를 높게 줬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옛날처럼 트럼프 지지자들이 숨을 이유가 없어보여서 실제는 해리스가 약간 우위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4]chow

2024.11.04 (01:33:12)

미언론이 바보가 아니라면 힐러리 때 당했으니, 이번에는 같은 실수를 안 하겠죠.


프로필 이미지 [레벨:24]chow

2024.11.04 (12:49:55)

구글 트렌드 분석에 제 실수가 있었네요.

구글 트렌드 검색어 시스템이 좀 이상해서요.

"트럼프"와 "미국 전 대통령 트럼프"를 구분하는군요.

정정해서 보면 트럼프가 검색 순위가 높은 상황입니다.


https://trends.google.co.kr/trends/explore?q=%2Fm%2F0cqt90,%2Fm%2F012gx2,%2Fm%2F08sry2&hl=ko

프로필 이미지 [레벨:24]chow

2024.11.05 (15:55:14)

https://trends.google.co.kr/trends/explore?date=today%205-y&q=%2Fm%2F0cqt90,%2Fm%2F08sry2,%2Fm%2F012gx2&hl=ko

바이든이 이겼던 2020년에도 트럼프의 검색 순위가 더 높았었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229281
2323 사주 + 구조론 AI 1 임종필 2025-05-09 2816
2322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5-05-07 1730
2321 한국의 판란티어 구조론 AI 6 임종필 2025-05-07 2667
2320 AI 프롬프팅의 구조론적 혁명 2 ahmoo 2025-05-05 2419
2319 알파고는 되고 언어모델은 안 되는 이유 4 chow 2025-05-04 3246
2318 구조론의 메타이론적 잠재력 ahmoo 2025-05-04 2328
2317 인공지능이 인간의 직업을 삭제할까? 4 chow 2025-05-04 2371
2316 구조론연구실_노트북LM 4 ahmoo 2025-05-02 2327
2315 사회문제 해결에 관한 메타이론적 탐구 5 ahmoo 2025-04-30 3396
2314 구조론에서 깨달음과 이상주의의 의미 1 ahmoo 2025-04-29 2875
2313 AI가 아첨하는 이유 chow 2025-04-28 2595
2312 인공지능 토론실 개설 15 ahmoo 2025-04-26 2450
2311 구조론과 소통지능 연구 가이드 11 ahmoo 2025-04-23 3951
231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오리 2025-04-23 2993
2309 한국 경쟁과 일본 경쟁의 구조적 차이 image 추론이 철학이다 2025-04-23 3072
2308 글 복구 [추론이 철학이다님] 2 김동렬 2025-04-23 3056
2307 AI 일시키는 중 4 ahmoo 2025-04-23 2513
2306 물리적인 것과 지역 등이 경제력을 결정하는데 교육이 경제력에 영향을 줄까요 2 서단아 2025-04-23 2824
2305 게이는 이성애 변종이다? image 4 나나난나 2025-04-22 2336
2304 수학 이전의 더 깊은 단계의 언어(챗지피티 답변) SimplyRed 2025-04-20 3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