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47 vote 0 2017.08.02 (15:31:04)


    외국어가 어려운 이유는 뇌가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고, 뇌가 긴장하지 않는 이유는 대칭을 찾아내지 못하기 때문이고, 특히 영어가 어려운 이유는 띄어쓰기를 너무 많이 해놔서 전치사의 의미가 명확히 포착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 어원을 연구해 본 필자의 견해다. 전치사를 틀리게 번역해놨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번역하지 말고 바로 쳐들어가야 한다. 문장이 아무리 길어도 그 안에는 대칭이 있고 그 대칭의 느낌을 잡으면 대충 반은 머리에 들어온다. 나머지 부분은 빈칸에 하나씩 채워넣으면 된다. 대칭이 포착되지 않으면 가슴이 답답해지고 화딱지가 나서 집중하지 못하게 된다. 대칭의 포착이 중요하다.


    대칭이 찾아지지 않으면? 연결시키면 된다. 한 명이 있으면 우리편인지 적군인지 알 수 없지만, 100만 명이면 명확하다. 부자 한 명과 빈자 한 명은 뭐 그냥 친구일 수도 있지만 부자 100만 명과 빈자 100만 명은 확실히 계급이 갈린다. 단어 한 개를 보지 말고 다른 단어와 연결시켜야 감이 와준다는 말이다. 


    Can을 보자. 할 수 있다. 하다+수+있다의 세 단어다. 이러면 감이 오지 않는다. Must는 마땅 한 단어로 조져야 한다. 해야 한다고 하면 헷갈린다. Can은 꺼낸다, 깐다는 뜻이다. 밤을 깐다거나 속에 든 것을 꺼내는 것이 할 수 있는 것이다. 둘은 한 세트를 이룬다. 마땅히Must 할 수 있다Can로 대칭이다.


    Hind 역시 같은 패거리다. 모든 H는 원래 K였다. 뒤에 끼었다. Hide는 뒤에 끼워놓은 것이다. 오만 원짜리 지폐를 책으로 덮어놨다면 감춰둔 것이다. 끼워둔 것이 감춰둔 것이다. 책갈피 사이에 끼워둔 것과 같다. 끼워둔 쪽은 당연히 뒤쪽이다. 감추다의 감은 구멍인데 옛날에는 움집에 살았다. 움은 굼이다.


    궁둥이가 엉덩이가 되고 건들이 흔들로 되듯 K는 CH나 H를 거쳐 W로 변한다. 구멍에서 우멍, 우묵하다, 움집, worm은 구멍이란 뜻이다. 움집은 구멍집이다. 감추다의 감은 구멍이다. 곡식 따위를 구멍에 감춰두었기 때문이다. Hound는 구멍에 숨은 짐승을 잡는 개다. 독일말로 훈트, 닥스훈트가 있다.


    뒤에Hind 감춘Hide 것에서 꺼낸다Hound가 나왔다. 훔치다는 곧 굼치다이니 Hound가 오소리가 숨은 구멍을 치는 것이 훔치는 것이다. 감추다를 반대로 하면 훔치다가 된다. 결론적으로 Can과 Hind는 어원이 같다. Hind에 Hide된 것을 훔쳐Hound서 꺼낸Can다. 죄다 연결된다. 대칭이 드러난다.


    Can은 관이기도 한데 관이 구멍이고 구멍이 굴이고 굴에서 꺼내는 것이 Can이다. 호두를 까든 밤을 까든 구멍에서 열매를 꺼내는 것이다. 요즘은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지만 구석기 때만 해도 주로 뭔가를 까고 구멍에서 꺼내는 일을 할 수 있었다. 이런 식으로 쭉쭉 전개해가다 보면 죄다 연결된다.


    죄다 연결되어야 대칭이 머리에 그려진다. 뇌가 자동반응을 할 때까지 연결해줘야 한다. 정보가 뇌에 입력되지 않는 이유는 자리를 잡지 못해서다. 입력될 자리를 만들어줘야 한다. 대칭을 통해 자리잡을 수 있으며 연결을 통해 대칭에 도달한다. 언어의 족보를 낱낱이 추적하면 죄다 한식구임을 알게 된다.


    이거 꽤 재미가 있으니 시간 남는 분은 연구해 보시길.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1205
1997 언어의 의미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10-01 7328
1996 혈액형 삼국지 image 2 김동렬 2013-02-09 7312
1995 붉은 수수밭 image 김동렬 2013-10-23 7308
1994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292
1993 최악의 디자인 제네시스 image 3 김동렬 2013-11-14 7287
1992 질문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image 24 김동렬 2013-01-11 7278
1991 척력. 2 아제 2010-07-14 7269
1990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오세 2010-07-15 7258
1989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243
1988 안녕하십니까? 감히 요청드립니다. 20 나투나 2010-07-21 7229
1987 서정윤 시인은 왜 망가졌을까? 3 김동렬 2013-11-20 7228
1986 구조론적 언어진화론의 가능성 4 LPET 2009-11-15 7217
1985 같다와 다르다. 2 아제 2010-07-28 7205
1984 MSG는 유해한가? 9 김동렬 2013-03-04 7187
1983 격투기에 관한 구조론적 해석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02 7172
1982 라운키에르 식물 생활형 분류 챠우 2015-01-14 7154
1981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154
1980 생물의 진화 image 5 김동렬 2013-11-12 7141
1979 한글의 과학성 김동렬 2012-10-30 7135
1978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