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이른바 진리를 추구한다는 깨달음을 추구한다는 곳을 몇몇 군데 찾아다닌적이 있다. 

당시의 나는 어렸고 누구든 만나고 싶었다. 그 사람이 진짜라면 내 안의 진짜도 움직일 것이라 믿었다. 

그래서 만났다. 무언가 내 안의 것을 움직이게 하는 말을 한 사람, 혹은 글을 쓴 사람은 일단 만났다. 



그렇게 찾아간 곳은 보통 명상, 진리, 깨달음, 영성 뭐 이런 것들을 언급하는 곳이었다. 

일단 사람들은 보통 진리, 깨달음 뭐 이런 것에 대해 이야기를 아예 꺼내지도 않기 때문에, 당시의 나는 그런 주제에 대해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기뻤다. 그래서 거리와 관계없이 찾아갔다. 목이 말랐기 때문이다. 그런 만남이 그리웠고 또 반가웠기 때문이다. 


그렇게 진리를, 깨달음을 말하는 이를 찾아가 만나 보면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나는 개인을 만나러 간 것인데, 그 자리엔 이미 '공동체'가 자리잡고 있었다. 그 혹은 그녀를 만나기 전에 먼저 거쳐야하는 관문이 있었다.  


그것은 바로 '공동체'였다. 누군가 '진리'를 '깨달음'을 전파한다고 알려진 곳에는 그 사람을 중심으로 하나의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누구든 새로온 자는 그 문을 통과해야 했다.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그 문은 보였다. 만져졌다. 느껴졌다. 심지어 냄새도 맡을 수 있었다. 


그렇게 통과한 문으로 들어가 본 공동체 속에서 나는 길게 머무르지 못했다. 당시의 나는 일초만에 참과 거짓을 분간할 만한 통찰력도 없었고 가진 것이라곤 열정과 기대, 그리고 확신 뿐이었다. 마치 소리굽쇠처럼 어디선가 진리라는 굽쇠가 울린다면 내 안의 굽쇠도 그에 반응하여 함께 울릴 것이 기대와 확신, 그에 따라 천리길도 마다하지 않는 열정 말이다. 하지만, 내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는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불행히도, 내가 맡은 냄새는 진리의 은은한 향기가 아니었다. 

그것은 '젖냄새'였다. 방금전까지 물고 있던, 그렇지만 사라진 엄마 젖을 찾는 아이들의 입에서 나는 냄새 말이다.  


명창의 소리에 북으로 추임새를 넣는 흥겨운 장면은 좀처럼 연출되지 않았다. 

대신, '사랑해요 000, 영원히, 포에버!', 아이돌의 공연에서 볼법한 구호들이 귓가를 맴돌았다. 


부처님의 설법에 염화미소로 답하는 흐뭇한 전등의 장면은 보이지 않았다. 

역시 우리 엄마가 짱이야, 또는 역시 우리 아빠가 세상에서 제일 멋있어! 하는 아이들의 반짝이는 눈망울이 보였다. 


'대부분'의 경우, 그 공동체는 진리와 깨달음의 공동체가 아니었다. 

그곳은 엄마 혹은 아빠, 그리고 아이들이 뭉친 유사-가족 공동체였다. 

진짜 가족은 아니지만 진짜 가족보다 더 가족같은 곳. 


그곳에선 정신분석에서 역동dynamic이라 불리는 부모-아이의 상황극이 한참 상영중이었다. 

동일한 시나리오지만 대본은 각자가 쓴, 모두가 함께 연출하고 연기하는 그런 상황극 말이다. 

물론 사람들은 대본에 자신의 역할을 부모 혹은 아이라고 적지 않았다. 

대신 그 자리에 스승 혹은 제자, 구루 혹은 추종자, 선생님 혹은 학생 뭐 이런 이름들을 갖다 붙였다. 

하지만, 역할은 바뀌지 않았다. 스승 혹은 구루 혹은 선생님은 부모 역할, 제자 혹은 추종자 혹은 학생은 아이 역할. 


일단 상황극에 참여한 이들은 예외없이 퇴행regression했다. 

그들의 나이, 성별, 학력과 무관하게 그들은 어린아이가 되었다. 

그들은 아이가 되어 스승이라는 이름의 부모 품에 안겨 응석을 부리고 있었다. 


그리고 스승 역할을 맡은 사람들은 결국, 

부모 역할에 흠뻑 빠져 사람들의 응석을 받아주고 그들의 어린시절 채워지지 않은 미해결된 욕구들에 응답하느라 정신 없어졌다. 우는 아이 달래느라 이런 저런 말씀의 사탕을 안겨줘야 했다. 한 아이에게 신경 쓰면 다른 아이가 왜 나한테는 신경쓰지 않느냐며 울고 보채기 일쑤였다. 


이 상황극의 끝은 공동체의 붕괴였다. 

애당초 유사-가족 공동체는 구조적으로 지속될 수 없는 공동체였다. 

사람들은 결국 스승이 자신의 부모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상황극이 막바지에 이르면 사람들은 스승이라는 존재가 자신의 정서적 애착의 욕구를, 안전의 욕구를, 소속의 욕구를 온전히 채워줄 수 없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스승 역시 자신이 제자들의 부모가 될 수 없음을, 그들의 거대한 컴플렉스를 해결해줄 수 없음을 알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기를 계속하면 통일교, 인민사원같은 거대한 사이비 종교집단이 되는거고, 

보통은 다들 연기하다 제뿔에 나가떨어져 공동체가 와해되는 수순을 밟는다. 


근데, 예외는 있었다. 

아예 처음부터 이런 유사-가족 공동체의 형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리고 그들이야말로 진짜였다. 그들은 처음부터 부모 역할을 거부하였다. 


그들은 우는 아이가 있으면 젖을 주는게 아니라 너는 일단 가서 엄마젖부터 먹고오라고 내쫓는다. 

그들은 진리와 깨달음을 연주하는 곳에서 자기 악기를 가져와 참여할 생각은 하지 않고 자꾸 음이 틀렸네 연주가 엉망이네 하면서 관객노릇 고집하는 사람들에게는 결코 무대를 허락하지 않는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그들은 완전하고, 통하였고, 낳았고, 채웠으며 허무를 극복했기 때문에, 허무를 채우려는 사람들에게는 자신의 곁을 내주지 않았다. 


그들이 원한 그림은 서원아집도였지, 온갖 종류의 컴플렉스로 굶주린 아귀들이 서로 엉켜붙은 지옥도가 아니었다. 

.

.

.

.

.


결국 나에게 필요했던건 처음부터 스승이 아니었다. 부모도 아니었다. 

나는 내 안에 끓고 있던, 빛나고 있던, 충만해있던 (   )를 나눌 친구가 필요했던 것이었다. 

진정 만나고 싶은 것은, 사귀고 싶은 것은 바로 역사였고, 자연이었고, 진리였으며, 신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 사귐은 혼자서도 충분했지만, 함께하는 것이야말로 완전한 것이었다. 

프리마돈나의 독무도 아름답지만, 독무에 화답하는 또 다른 독무도, 혹은 군무도 지극히 아름다운 것이었다. 

피아노의 독주로도 충분하지만, 바이올린과 비올라, 첼로가 곁들여지면 아름다운 피아노 4중주가 연주된다. 


진리의 길 위에서,

누군가 자신의 기대를 채워주길 바란다면 

누군가 자신의 욕망에 부응해주길 원한다면, 

누군가 자신의 컴플렉스를 해결해줄거라 기대한다면, 


당신은 결국 실패하고, 좌절하고, 환멸에 빠질 것이다. 

 


두 종류의 동기가 있다. 하나는 완전성이며 하나는 불완전성이다. 완전성은 내 안에 가치판단의 시소가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그 시소를 가동하여 내 안의 것을 밖으로 표현하려는 것이다. 반면 불완전성은 시소가 나의 바깥에 있고, 상부구조에 있고, 공동체에 있어서 그 시소에 매달려 엉기려는 것이다.  


-김동렬, 이기는 법, 151쪽-


 

그러므로, 만약 당신이 머무는 길 위에서 가상의 엄마아빠, 그리고 아이들로 이루어진 유사-가족 공동체를 만난다면, 

뒤도 돌아보지 말고 떠나시라. 마치 자석처럼 그곳으로 끌린다면, 정신차려라. 당신 안의 컴플렉스가 지금 당신을 거대한 수렁으로 몰아넣고 있으니 말이다. 


깨달음의 길 위에서 엄마, 아빠를 찾아선 곤란하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김동렬*

2012.10.21 (21:53:11)

그 이상한 공동체를 꼭 나쁘게 볼 일은 아니오. 왜냐하면 종교집단이 알고보면 다 그렇기 때문이오. 그 중에서 최악은 태권도교인데 이 집단은 해괴한게 판정을 할때마다 열번씩 절을 하는 것이었소.

 

    그것보고 죽는줄 알았소. 올림픽때 그거보고 두드러기가 나서 비판칼럼을 쓰려고 하다가 생각만해도 오장육부가 쏠려서 그만두었소. 우엑~

 

    하여간 절하는 종교는 어떤 간판이든 최악이오. 절하는 정치인도 최악.. 듣자하니 나가수인지 무슨 쇼프로에도 우승자가 절을 하고 다닌다던데 그것도 최악. 특히 회교가 절 좋아하는데 최악.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한다해도 어느 정도 선을 넘으면 욕먹는건 당연지사.

 

    제발 절 좀 안했으면 좋겠소. 자기를 굽히는 것은 상대방을 굽히는 것이오. 존엄을 해치는 것이오. 난 봉하에 가서도 묵념만 하고 큰 절은 안 하오. 장례식장 외에는 큰 절을 안하려고 작심.

 

    각설하고 종교의 문제는 인간의 본질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소. 즉 종교는 인간의 일용할 양식이다 그 말이오. 굶주린 자가 양식을 필요로 하는데 굳이 비난할건 없소.

 

    담배는 백해무익하지만 피우는 사람이 자기 집에서 피우겠다는데 구태여 말릴 일은 아니오.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은 곤란하지만.

 

    하여간 구조론연구소 안에도 상부구조가 있고 하부구조가 있소. 연구하는 사람들이 있고 그 성과를 취하는 사람이 있소. 그 사람이 행동하기에 따라서 스승과 제자가 될 수도 있고 동료가 될 수도 있소.

 

    암묵적인 룰을 깬다든가 등으로 통제대상이 되는 순간 그 사람은 이 연구소 안에서 사제관계가 되는 것이오. 권리, 권력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말이오. 아무 일도 없다면 아무 상관이 없소.

 

    학문과 종교의 경계점이 있소. 공자가 학문을 만들었는데 증자 왈 ‘선생님 다 필요없고 효 하나로 끝내면 되잖습니까?’ 이때 공자가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소. 당시 중국에서는 당연히 아들이 아버지를 죽이는 걸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효가 중국의 종교였소.

 

    대개 신하가 미녀를 임신시켜 왕에게 바치면 그 왕자는 일단 양아버지인 왕을 죽이고 왕권을 차지한 다음 친아버지를 찾아서 죽이는 것이오. 이게 중국의 정치공식이오. 그러므로 살아남으려면 효를 가르치지 않을 수 없소.

 

    근데 공자는 효자가 아니었소. 일단 서자 출신이므로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를 수 없고(조선시대라면) 어머니는 무당인데 천민이므로 지배계급의 골육상쟁 규칙인 효가 적용되지 않는 것이오.

 

    증자에 의해 공자의 방대한 학문시스템이 효 하나로 단순화 되었소. 학문이 종교화 되는 것이오. 그러자 비로소 공자가 위대해졌소. 여기서 아이러니는 공자가 증자를 싫어했다는 것. 근데 증자 덕을 봤다는 것. 증자 때문에 유교가 학문에서 종교로 추락했다는 것. 증자 때문에 유교가 지배이데올로기가 되었다는 것.

 

    공자에게 증자는 애증의 대상이오. 자신을 망친 사람이면서 명성을 안겨준 사람. 원래는 자로가 그 역할이었소. 자로는 무를 숭상하는 깡패였는데 돈도 많고 명성도 있었소. 공자가 원래 비렁뱅이였으나 힘깨나 쓰는 자로가 공자에게 충성을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공자를 우러러보는 무리가 생겨난 것이오. 문무겸비, 관념적인 지식이 현실적인 돈도 지배?

 

    만약 공자가 자로를 만나지 못했다면 계속 비렁뱅이 신세를 면치 못했을지도 모르오. 이 사이트에도 가끔 자신이 자로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나타나서 저한테 한 수 가르쳐 주겠다면서.. 당신이 내 말만 잘 들으면 ..성공은 문제없어.. 내가 자로 역할 해주지.. 근데 일단 유촉새 그 재수없는 넘부터 정리하자고.. 이런 식. 이건 비유. 비슷한 사건이 많소.

 

    하여간 많은 사람이 모여서 단체행동을 해야 조직이 성장하는데 그러려면 단순화 해야 하오. 불교가 원래 방대한 이론을 가지고 있는데 헷갈려서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었소. 그래서 또 증자처럼 다 필요없고 내가 딱 정리해줄게 하면서 나타난 사람이 육조혜능이오.

 

    인도인.. 색즉시공 공즉시색 어쩌구 저쩌구.
    중국인.. 저 인도넘 되게 말 많네. 그래서 나더러 어쩌라구? 
    인도인.. 아 그게 당신 안에 다 있다니까.
    중국인.. 그럼 됐네. 내 안에 다 있는데 뭐하러 골치아프게 그딴거 외고다녀?

 

    그러자 갑자기 싸이 강남스타일처럼 대박이 난게 선종불교. 결국 선종불교란 인도말을 중국말로 번역하는 어려움 때문에 생겨난 거. 방대한 이론적 지식이 대중화를 하려면 단순화 해야 하고 그것은 미학적 스타일이며 종교집단이란 결국 각자의 미학적 스타일을 따라가는 거임.

 

    인도인들은 우기다 건기다 해서 몇 달씩 움직이질 못하니 항상 집안에 짱박혀 있는게 버릇이라 워낙 시간이 널널한지라 방대한 지식을 외고 다니는걸 좋아했는데 중국인들은 성질이 급해서.. 특히 남쪽 산악지역.. 근데 이 쪽은 야만해서 한자도 모름.. 원래 중국 강남과 강북은 언어가 안 통함.. 한자도 모르는데 인도말을 어이 알리요.. 이중으로 골치아파.. 단순화 하자. 좋다. 그게 선종.

 

    결론은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무기가 없는 사람은 불안해서 항상 주변을 살피며 허둥대지만 무기를 품은 사람은 서부의 건맨처럼 태연하오. 이런 사람은 브리지에 오를 수 있소. 함께 상부구조를 만들어가는 것이오.

 

    그러나 모두가 가담할 수는 없소. 단순한 눈팅은 우리가 만들어가는 스타일만 따르면 되오. 교종은 됐고 선종만 할 사람은 하부구조요. 이판과 사판인데 항상 문제는 그 사이에서 벌어지오.

 

    그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연결고리에 포지션을 잡아버리는 사람이 위태롭소. 순수하게 학문적 관심사에서 접근하느냐 아니면 이를 삶에 적용하여 스타일을 만들어가느냐인데 조직이 확대되려면 반드시 하부구조가 받쳐주어야 하오. 증자가 필요하고 혜능이 필요하다는 말이오. 그 사이가 권리와 권력의 중간지점이 되오. 사이비 교주들은 그 사이에 서서 신에게 권리를 주고 자신은 권력을 행사하는 것이오.

 

    그런데 구조론은 연구소이므로 하부구조는 필요없소. 그 하부구조를 만든 사람이 이석기요. 이석기 없으면 하부구조가 작동하지 않아서 통합진보당이 움직일 수 없다고 말하는데 그 말이 맞소. 이석기 없으면 안 되오. 그러므로 상부구조에 가담한 유시민 등은 빠져나오는 수 밖에 없소. 걔네들은 그냥 그렇게 살라하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0611
475 정보기반 문명이란 깨달음의 계절이다, 혁명의 일상화다 -담 1 관리자* 2012-10-21 3465
474 소집의 종소리. -아제 관리자* 2012-10-21 2864
473 차 한잔 어떻소. -아제 관리자* 2012-10-21 3058
472 둘 과 셋 -지여 관리자* 2012-10-21 2834
471 "애니팡 하트시스템" 이거 재미있다. -담 관리자* 2012-10-21 4648
470 家族하라. - 아제 관리자* 2012-10-21 2705
469 한 700억 쯤 한가하게 살 수 있다면 -담 관리자* 2012-10-21 2893
468 애니팡 피할 수 있을까? -담 관리자* 2012-10-21 2949
467 문재인과 문재인들은, 비선출 권력을 민주화하라. -담 관리자* 2012-10-21 3000
466 대한민국, 존엄의 자궁을 만들다. -담 관리자* 2012-10-21 2855
465 구조가 느껴지는것 같다. -soul 관리자* 2012-10-21 3447
464 싸이도 김기덕도 정답이 아니다 -오세 image 관리자* 2012-10-21 3443
463 묶기,옮기기,풀기. -아제 관리자* 2012-10-21 2873
462 가지치기 -부하지하 관리자* 2012-10-21 3189
461 툭. -아제 관리자* 2012-10-21 2758
460 동그라미 태풍이 무섭다. -아제 관리자* 2012-10-21 2883
459 구조론 심리학3. 남자들이여, 치마를 입어라! -오세 image 관리자* 2012-10-21 6454
458 심판, 하지 말아라 - 오세 관리자* 2012-10-21 2896
» 구조론 심리학2. 엄마아빠 찾지 말아라. -오세 1 관리자* 2012-10-21 3294
456 철수의 생각 -오세 관리자* 2012-10-21 3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