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다음
read 2307 vote 0 2021.03.01 (04:15:11)

어렸을 적 한창 철학적 생각을 하던 때였다.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어떤 기준이 있어야 하는가? 당시에 나는 생존이라는 기준을 세웠다. 내가 만약 죽는다면 외부에 의해 급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내가 해야 할 일은 인류의 리스크를 줄여서 내가 급사할 확률을 줄이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그런데 이는 황당한 것이다. 생존이 목적이라면 생존주의 서적부터 사는 것이 맞다. 그런데 그러기는 싫었다. 어쨌든 나는 당시에 이 논리가 매력적이라고 생각했다. 어차피 내가 당장 사는 것과 인류의 문제든 우주의 문제든 아무 관련이 없는 것이다. 그러나 생각의 꼬리에 꼬리를 물다보면 결국 관련이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물론 그 결론은 형식적이다. 그렇지마는 생존을 매개로 세상과 소통했다면 의미있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1.03.01 (10:26:06)

거북이는 평생 등껍질을 벗을 수 없고

물고기는 평생 물을 떠날  수 없고

인간은 주어진 팔자대로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생존이 목적이 된다면 죽음을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인류가 절대 벗어던질수 없는 거북이 등껍질은 진보입니다.

인간을 피곤하게도 하고 설레이기도 하는 것은 계절의 변화이고 환경의 변화입니다.

계절이 없는 곳으로 갈수도 없고 변화가 없는 곳으로 갈 수도 없습니다.

내가 가만 있어도 계속 게임을 걸어오는 데는 당해낼 장사가 없습니다.

게임을 이기거나 게임에 지고 투덜대거나 뿐입니다.

게임에 이기는 방법은 파도가 오는 것을 예측하고 파도를 타고 넘는 것입니다.

그게 진보라는 거지요.

입시든 취업이든 결혼이든 사업이든 게임입니다.

내가 게임을 걸지 않아도 상대가 지분대는 것을 피할 수 없습니다.

유일한 방법은 내가 게임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내가 게임의 주최측이 되어 워터 해저드와 벙커를 곳곳에 배치해 놓는 것입니다.

세상이 변화라면 내가 변화를 설계하고

세상이 게임이라면 내가 게임을 설계하고 

세상이 운명이라면 내가 운명을 설계하고

그것만이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것. 나머지는 죄다 허당.

내가 성공했네 출세했네 마누라가 예쁘네 자식이 서울대 붙었네 해봤자

누가 물어봤냐고? 

인생은 죽거나 아니면 이기거나.

죽거나 아니면 게임을 갈아타거나.

죽거나 아니면 게임을 설계하거나.

생존이 기준이 된다면  이미 남의 게임에 선수로 뛰는 것입니다.

어차피 그건 내 게임이 아닙니다.

죽음을 두려워 하는 호르몬은 유전자가 준 것이지 내가 발명한게 아니거든요.

신이 나를 경기장에 몰아넣으면서 씌워준 굴레이자 핸디캡.

검투사처럼 관중을 위해 싸워야 한다면 그게 비극.

자유를 얻은 검투사들이 맨 먼저  했던 짓은 로마인을 잡아다가 검투경기를 시킨 것.

이 게임을 탈출하는 방법은 다른 게임을 만들어 사람들을 경기장에 가두고 튀는 것 뿐이라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491
566 [제민] 신의 건축 인간의 건축 1 ahmoo 2019-08-06 1797
565 상품과 금융시스템에 대한 유효수요 2 현강 2019-08-06 1406
564 어떤 둘은 만나지 않는다 챠우 2019-08-08 1741
563 약자가 지는 이유 챠우 2019-08-12 1552
562 역사의 가정 - '일본이 개입하지 않았다면?' image 2 수원나그네 2019-08-13 1664
561 몬티홀 딜레마와 계 그리고 베이즈추론 11 챠우 2019-08-14 2348
560 비슷한 둘을 짝지어 보세요 image 10 챠우 2019-08-15 2073
559 0 과 1 사이. 아제 2019-08-15 1536
558 베이즈주의 VS 빈도주의(표준통계학) 3 챠우 2019-08-15 2049
557 강호제현께 - 참여와 버스비 후원을 기대합니다. image 수원나그네 2019-08-16 1504
556 확률에 대한 구조론의 결론 1 챠우 2019-08-20 1781
555 일본 원전오염수 관련 아사히신문의 두 기사 1 수원나그네 2019-08-20 1501
554 [민중의소리] 기사 게재 ~ 9월20일 독립운동 투어 image 9 수원나그네 2019-08-31 1872
553 꿈꾸는 인류 image 2 챠우 2019-09-11 1479
552 생명로드45- 원전안전기술문제 아카데미 image 수원나그네 2019-09-11 1728
551 구조에 대한 자본시장의 비유 하나 3 현강 2019-09-16 1739
550 양자컴퓨터의 본질과 확률의 오해 (수정 보완) 챠우 2019-09-24 1880
549 확률과 통계의 본질 image 2 이금재. 2019-09-25 3131
548 생명로드46- "현장에 해답 있다" 원전안전기술문제 아카데미 개설 image 1 수원나그네 2019-10-03 1274
547 타밀어와 한국어 1 김동렬 2019-10-16 3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