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16821 vote 0 2005.11.29 (13:31:32)

디알 사전 계획을 축하드립니다
오래 번뇌하고 내린 결정이라 생각합니다.
단순한 칭송이 아닙니다. 글 결 속에 그간의 고민들이 녹아있고, 그걸 느껴 진동하기 때문입니다.

예, 맞습니다. 전체를 걸고 싸워야 합니다.
영국인들이 초기에 해적이었고, 미국인들이 초창기에 양키였듯이
거칠게 움직이는 역사를 바꿔가는 사람들이 찌질이들을 무색케 하는데 동의합니다.

저는 과학도입니다. 그렇다면 과학도로서의 자기 성찰과 쌓아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지금은 미국의 주류과학사회에서 변두리로 머물러 있지만
자신감있게 치고 나갈 시기를 꿈꿉니다.
와신상담의 기운으로.

그렇다면, 과학자와 한국사회와의 연결점은 어디일까요? 격암님이 말씀하신대로, 단절된
한국사회와 과학계를 연결할 고리를 어떻게 확장시킬 수 있을른지요...

과학자들이 그저 떠든다고 되는 일도 아니고, 주변부에서 변죽만 울린다고 되는 일이 아닐겁니다.
서태지가 음악계에서 했듯이 속시원하게 뚫어주는 일이 절실하다고 봅니다.

기결은, 제 개인적인 이야기로 마무리할까 합니다.
박사과정 이후의 진로를, 그냥, 국내에서 적당한 대학교수로 잡고 있던 제게
동렬님의 글은 확신 그자체였다는 겁니다.
열어제끼는 일에서, 과학도가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차차 윤곽이 잡히겠지만, 함께 논의했으면 합니다.

소통은 열려 있지만, 고뇌하지 않으면 과학의 아폴론을 마음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으면
되지 않을 과업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끝을 보고 싶습니다.

늘 건필 건승하십시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228080
100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2 chow 2024-07-18 13671
99 문명과 지식 1 김동렬 2006-03-02 13673
98 지역주의의 구조론적 해결방안 질의 1 천왕성 편지 2009-06-15 13683
97 구조론 데이터를 통한 ChatGPT 테스트 1 오리 2023-03-11 13728
96 타원궤도의 이유 15 챠우 2016-01-01 13731
95 인류의 급소는 극한의 정의 이금재. 2021-05-13 13737
94 공매도의 의미 2 chow 2022-07-12 13740
93 질문있습니다 ^^ 강도 2006-05-06 13754
92 구조론, 내시균형과 컴퓨터게임 SimplyRed 2023-04-11 13783
91 석굴암의 실패 image 5 김동렬 2013-01-20 13793
90 중력에 대한 새로운 이론 image 7 김동렬 2010-07-14 13802
89 직장생활의 지랄성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0-07-02 13811
88 학교폭력이 학교를 망치고 있나, 학교폭력예방법이 학교를 망치고 있나? image 이상우 2023-11-02 13839
87 성범죄의 원인 image 17 김동렬 2013-12-26 13841
86 좋은 축구란 무엇인가 chow 2024-01-21 13854
85 드라마 '더 글로리'와 ‘정순신 사태’가 교사에게 주는 의미는 image 2 이상우 2023-03-13 13857
84 유전적 성적 이끌림 4 김동렬 2013-10-01 13900
83 징병제가 낫다.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6 13913
82 엄지손가락 1 양을 쫓는 모험 2009-11-17 13944
81 고은이 시인일까? image 26 김동렬 2013-11-19 13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