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353 vote 0 2014.06.30 (22:12:24)

00383464601_20110210.jpg


뒤로 보이는 저 넓은 도시를 보라. 현대식 도시에 몇 만명은 살텐데 이걸로 뭘 어쩌겠다고? 장난하나?


1_PA010282_Page.jpg 


이것도 말만 요란했던 프로젝트. 한국 초등학교에 필요할지도. 


49df19f92da2f.jpg


날 더운 아프리카에서 누가 이 펌프를 돌리겠는가? 학교에만 기능.


c0021633_4b5f851e266ec.gif 


간이정수기. 효과없음. 이거 쓰란다고 쓸 정도로 개화되어 있으면 끓여먹을거.


적정기술_화로.jpg


이건 지금 당장 내한테 필요한 거. 화력좋고.


캄보디아_솔라쿠커_적정기술.jpg 

왜 냄비 바닥을 검게 칠하지 않았지? 성의가 없네. 이런건 인도에서 잘 팔린다고. 아프리카는 안됨.


htm_2009032416320170007300-001.JPG

이 정도 되면 이미 문제가 해결된 상태. 도움은 불필요.


아프리카에 필요한 것은 족장입니다. 

1. 선교사들은 기독교로 아프리카를 해결해 보려고 나섰지만 실패. 회교가 더 먹히는 판.

2. 마르크스는 혁명으로 어찌 해보려고 했지만 실패. 전쟁으로 인한 대량학살만 늘어났습니다.

3. 구조주의, 탈근대 철학은 문화적 다양성 어쩌구 하면서 포기.

4. 교육은 일정한 성과를 얻었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함. 

5. 중국의 돈질은 일정한 효과와 동시에 부작용.


아프리카에 진짜로 필요한 것은 샤카 줄루. 

부족을 깨고 가족으로 전진해야 하는 거. 




프로필 이미지 [레벨:7]風骨

2014.07.01 (01:09:26)

여기 하나 추가요.


큰 일교차를 이용해서 공기 중의 수증기를 생활용수로 변환시키는 장치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bestofbest&no=167945&s_no=167945&page=4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07.01 (01:17:40)

이건 아프리카 아니라도 써먹을 데가 많을듯.

물이 있는데 3시간 걸리는건 물 문제가 아닙니다. 


물이 아예 없는 경우라면 이건 진짜 필요한 거죠. 

북아프리카의 알제리나 튀니지, 리비아.. 미국도 사막지역 여행자를 위해 설치해야 할 판.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497
2126 지성인이 되고 싶습니다. 1 빨간풍차 2008-12-28 4329
2125 백년해로할 배우자를 만나는 방법 1 빨간풍차 2008-12-28 4941
2124 대표적인 지성인을 꼽아주시겠습니까. 2 빨간풍차 2008-12-29 4529
2123 이건 수준이 낮은 이야기인지도 모릅니다. 1 빨간풍차 2008-12-30 4409
2122 <연구공간 수유+너머>라는 공간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가요. 1 빨간풍차 2008-12-30 4576
2121 거짓말에 대하여 2 빨간풍차 2009-01-01 4510
2120 질문합니다. 4 도플솔드너 2009-01-03 4602
2119 [질문] 개념도에 나오는 모래시계의 사례에서. 3 르페 2009-01-06 4994
2118 질 입자 운동 량 찾기 image 2 dallimz 2009-01-06 6362
2117 과제물 제출 2 꼬치가리 2009-01-07 4378
2116 구조분석의 문제. 2 김동렬 2009-01-08 4612
2115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09-01-11 4399
2114 문화발전의 5단계 1 르페 2009-01-11 5485
2113 아무님의 교육 5단계론에 대한 생각. 3 르페 2009-01-11 4664
2112 파일업로드 테스트 image 1 김동렬 2009-01-14 4695
2111 큰넘을 잡았구려. image 2 dallimz 2009-01-14 4904
2110 만나기 1 ahmoo 2009-01-14 4472
2109 허전함과 뻑적지근함 2 르페 2009-01-16 5206
2108 서늘한 날. image 3 참삶 2009-01-16 5225
2107 질이라 함은.. 9 도플솔드너 2009-01-20 4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