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760 vote 0 2013.03.26 (18:32:52)


    여러 이야기 필요없다.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힘이다. 힘을 주는 것은 완전성이다. 완전성에 도달하는 것은 깨달음이다. 깨달음은 일치다. 일치는 질문과 대답의 일치, 원인과 결과의 일치, 시작과 결말의 일치, 목표와 성과의 일치, 남성과 여성의 일치, 작용과 반작용의 일치다. 그 일치의 지점에서 인간은 쾌감을 느낀다. 그리고 당신은 그 쾌감에 중독되어 오늘 하루를 살아간다. 그것은 소통이다. 그 소통에서 인간은 힘을 얻는다. 그 소통의 실패는 소외다. 소외는 부조리에 의한다. 부조리는 불일치다. 원인과 결과의 불일치, 질문과 대답의 불일치, 시작과 결말의 불일치, 목표와 성과의 불일치, 여성과 남성의 불일치, 세상의 모든 불일치 때문에 당신은 좌절하고 힘들어 한다. 불일치를 일치로 바꾸는 것은 상승이다. 그 상승은 수평에서의 교착에서 수직으로의 비약으로 타개한다. 일차원 선(線) 상의 불일치는 2차원 면에서 타개된다. 2차원 면의 불일치는 3차원 입체에서 타개된다. 3차원 입체의 불일치는 4차원 밀도에서 해소된다. 그 지점에서 얻는 것은 에너지의 순환이다. 에너지를 순환시키는 것은 낳음의 자궁이다. 그 자궁에 포지셔닝할 때 당신은 위대해진다. 완전하기 때문이다. 비로소 일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어부는 그물을 던지고, 작가는 펜을 집어들고, 농부는 쟁기를 들고 세상 속으로 뛰어든다. 그리고 게임은 시작된다. 거기서 필요한 것은 포지셔닝이다. 당신은 사건에 뛰어들어 문제를 풀어낼 수 있게 된다. 기승전결로 전개한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순서로 펼쳐진다. 그럴 때 소리가 난다. 악기는 음을 토하고, 캔버스는 그림을 토하고, 원고지는 문장을 토하고, 엔진은 마력을 토하고, 당신은 삶을 토해낸다. 그대 안의 완전성을 남김없이 토해내게 된다. 세상은 이 방법으로 전진해 왔다. 당신은 가던 길을 계속 갈 수 있게 된다. 그렇다면 필요한 것은 당신이 상황에 임하여 그 무대를 완전성에 맞게 세팅하는 것이다. 낳음의 자궁을 건설하는 것이다. 발명가는 아이디어를 조달할 때, 작가는 글감을 얻을 때, 무대는 청중을 얻을 때, 배우는 감독을 만날 때, 노동자는 일감을 얻을 때, 연인은 파트너를 얻을 때, 꽃은 봄볕을 만날 때 그 낳음의 자궁은 세팅된다. 이를 위한 조건은 첫째가 자기규정, 둘째가 타자규정, 셋째가 관계규정, 넷째가 피아구분, 다섯째가 상호작용이다. 피아노는 연주자를 얻고, 소총은 명사수를 얻고, 청춘은 파트너를 얻고, 정치인은 지지자를 얻고, 기자는 소스를 얻고 당신은 완전히 준비된 상태가 된다. 그럴 때 기쁨이 있다. 그것은 삶의 에너지다. 당신이 어떤 질문을 준비해 왔던 간에 답은 이 안에 있다. 받아들일 것인가의 판단은 당신의 몫이다. 나의 대답은 정해져 있다. 당신은 힘을 필요로 하며 그 힘은 일치에 의해 얻어지고 그 일치는 너와 나의 일치, 고저와 장단의 일치, 원인과 결과의 일치, 모든 합리성이며 간단히 우리편이 되는 것이다. 세상과 한 편이 되어 세상이 가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다. 왜 당신이 슬픈가? 당신이 태어나기 전부터 세상은 달리고 있었기 때문에 일어난 불일치 때문이다. 당신이 죽어 없어지고 난 다음에도 계속 달려가야 하기 때문에 일어난 불일치 때문이다. 만약 당신이 불일치를 일치로 바꾼다면 소외는 소통으로, 적은 우리편으로, 교착은 타개로, 부조리는 합리성으로 변한다. 그럴 때 짜릿해진다. 곡이 연주자에게 맞추어줄 리 없으므로 당신이 곡을 따라잡아야 한다. 세상의 변화하는 속도를 따라잡아야 한다. 컴퓨터가 나올 때 당신이 준비되어 있었다면, 인터넷이 등장할 때 당신이 준비되어 있었다면, 아이폰이 등장할 때 당신이 준비되어 있었다면 부조리는 합리성으로, 불일치는 일치로, 좌절은 기쁨으로 바뀌었을 것이다. 따라잡는 수 밖에 없다. 우리편에 가담하는 수 밖에 없다. 전모를 보고 전체를 상대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게임은 세상의 게임이기 때문이다. 세상 전부와 맞서 세상 전부를 연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세상 전체를 당신의 그릇에 담아내지 않으면 안 된다. 필요한 것은 용기와 배짱이다. 그리고 내밀어진 우리편의 손을 잡는 것이다. 계속 가는 것이다.

 

   

d5z71i2.jpg  

    ###

 

   

345678.jpg

 

    한 호흡에 썼기 때문에 줄 띄우기가 없소. 글은 모름지기 폭풍처럼 몰아쳐서 단 번에 휘갈겨 써야 하오. 그럴 기분이 되는 날은 흔치 않소. 장준하 선생이 벌떡 일어나셨다고 하니 열이 올라 단 번에 써봤소. 역시 한 호흡에 읽어주기를 부탁하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13.03.26 (18:43:45)

A4 용지 딱 한 장이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3.03.26 (19:02:54)

마치 내가 쓰고 있는 것 처럼....그대로의 느낌이 생생하게 전달되오.
아~ 이제 숨 좀 쉬고...^^
[레벨:11]큰바위

2013.03.26 (20:11:33)

예전에 딸아이와 긴장과 갈등에 대해 이야기 한적이 있습니다.

세상의 모든 것은 긴장이 걸려있다.

그걸 봐야 한다.

피아노를 예로 들어보자.

1. 피아노는 그냥 놓여있는 것이 아니라, 긴장 상태 속에 놓여있다. 이 팽팽한 긴장이 피아노 내부에 있다.

이 긴장이 풀어지면, 피아노는 조율이 안된 피아노로 연주할 수 없다.

2. 피아노 앞에 연주자가 있다. 연주자도 그냥 앉아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예술의 꽃을 피우고자 하는 긴장이 있다.

3. 피아노의 긴장이나 연주자의 긴장은 그 자체로 아무것도 아니다. 피아노는 연주자를 필요로하고 연주자는 피아노를 필요로 한다. 그렇게 연주자가 피아노를 두드려 주어야 하는데, 이 역시 긴장이다.

4. 피아노와 연주자 간의 긴장만으로는 재미가 없다. 음악은 자기 자신을 위해 존재하기도하지만, 누군가가 들어주어야 한다. 피아노아 연주자가 어디에 있는가에 따라 긴장감이 달라진다. 연주자라면 공연을 하고 싶어한다.  자신의 음악을 들어줄 청중을 필요로한다. 이 때 청중과 피아노 및 연주자 간에 긴장이 조성된다.

5. 청중과 연주자 간 뿐만 아니라, 우주의 하모니를 필요로 할 때는 더 많은 긴장이 조성된다. 피아노 협연과 지휘자와 청중간의 긴장이 동시에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 긴장이 풀어지거나 과도하면, 갈등이 생긴다. 예술이 망가진다.

인생에 부여된 긴장, 나 한 사람이 갖는 우주적인 긴장감을 갖고 살라는 말을 하면서 딸과 소통한 적이 있습니다.

 

그렇게 가야겠지요.

완전성을 향해서.........

합일과 합체를 위해서...........

 

프로필 이미지 [레벨:14]곱슬이

2013.03.26 (23:07:08)

숨은 안쉬고 읽히는데,  눈은 아프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pinkwalking

2013.03.27 (02:48:29)

후~

 

덥석.

 

[레벨:2]River

2013.03.27 (06:56:51)

필요한것은 용기와 베짱!
시원하오. 칼칼한데 청량한 음료가 목을타고 내려가는 느낌이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24]꼬치가리

2013.03.27 (13:00:51)

한숨에 읽기에는 아직 폐활량 부족이구랴.

가쁜 숨을 몰아쉬고 겨우 끝에 닿았소이다.

 

비록 숨은 가빠도 늘 완주의 기쁨은 짜릿하다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706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1982
3705 우연한 만남은 없다 image 2 김동렬 2017-01-04 13935
3704 인류문명의 골디락스존 image 1 김동렬 2017-01-02 12433
3703 구조론으로 본 인류문명 image 김동렬 2016-12-31 12462
3702 잠수함이 박아도 세월호 안 넘어간다. image 3 김동렬 2016-12-30 13598
3701 매력은 권력이다 image 5 김동렬 2016-12-28 13200
3700 응답하라 인간들아! image 3 김동렬 2016-12-28 11685
3699 자로는 초딩이다 image 9 김동렬 2016-12-26 13829
3698 부름에 응답하라 image 김동렬 2016-12-21 12190
3697 왜 이 시대에 공자인가? image 2 김동렬 2016-12-20 11955
3696 당신도 직관할 수 있다 image 김동렬 2016-12-16 12304
3695 구조론 5분 스피치 image 김동렬 2016-12-14 12384
3694 구조론과 인공지능 image 7 김동렬 2016-12-08 12463
3693 깨달음의 눈 image 김동렬 2016-12-05 11989
3692 질문하지마라 image 김동렬 2016-12-01 12208
3691 에너지를 통제하라 image 1 김동렬 2016-11-28 11733
3690 권력의 시장원리 image 김동렬 2016-11-26 11855
3689 권력의 시장가격 image 김동렬 2016-11-25 11609
3688 의기투합해야 한다. image 김동렬 2016-11-23 11816
3687 게임의 문제 김동렬 2016-11-22 11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