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409 vote 1 2015.02.06 (14:00:35)

     

    에너지로 보는 관점


    세상은 뼈와 살로 되어 있다. 보이는 거죽은 살이요, 보이지 않는 이면은 뼈다. 구조론은 보이지 않는 이면을 들추어 감추어진 존재의 뼈대를 드러낸다. 거죽을 보면 존재는 사물이나, 이면을 보면 존재는 사건이다. 무엇이 다른가? 시간이 다르다. 공간의 사물은 죽어있으나, 시간의 사건은 에너지를 싣고 호흡한다. 공간을 보되 시간을 보지 못한다면 존재의 절반만 본 것이다. 세상을 물질로 본다면 공간만 본 것이며 에너지로 보아야 시간을 포함한 전모가 보인다.


    ◎ 세상 : 물질 -> 에너지
    ◎ 존재 : 사물 -> 사건
    ◎ 인간 : 행동 -> 의사결정


    세상은 물질이 아니라 에너지다. 존재는 사물이 아니라 사건이다. 인간은 행동이 아니라 의사결정이다. 그 의사결정은 개인이 아니라 집단의 결정이며 현재가 아니라 미래의 결정이다. 그래서 문제가 된다. 인간은 판단하고 행동한다고 믿지만 많은 경우 행동에 맞추어 변명한다. 집단은 일관성을 요구하고 시간은 연속성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공간에서 집단의 영향을 받고, 시간에서 미래의 영향을 받아, 부분이 아닌 전체를 보고 결정한다.


    ◎ 일관성 문제 – 공간은 집단의 영향을 받는다.
    ◎ 연속성 문제 – 시간은 미래의 영향을 받는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사회라는 버스에서 운전기사의 눈치를 본다. 버스에서는 다른 사람과 보조를 맞추어야 하므로 행동의 일관성을 요구받는다. 또 그 버스는 달리고 있으므로 시간적인 연속성을 요구받는다. 승객이 버스에서 할 수 있는 행동은 제한되어 있다. 이래저래 눈치를 보다보면 어느덧 행동에 맞추어 변명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기승전결로 진행되는 사건 안에서 인간은 다음 단계를 의식하고 일관성과 연속성을 지키려다가 잘못되고 만다.


    ◎ 공간의 해법 - 대승의 팀플레이를 통해 방향성을 얻는다.
    ◎ 시간의 해법 - 기승전결의 기에 섬으로써 자유롭게 된다.


    세상이 버스라면 인간도 버스라야 한다. 대승의 팀플레이를 통해 그것은 가능하다. 조직이 치고나가는 방향성을 얻을 때 버스와 나란히 가는 대칭상태가 된다. 대칭을 통해 교착시켜 인간은 대상을 통제할 수 있다. 그럴 때 자유로이 버스에 타고내릴 수 있다. 사건은 기승전결로 전개한다. 사건의 기 단계에 개입하는 방법으로 미래를 통제할 수 있다. 버스가 출발하기 전에 자유로이 타고내릴 수 있는 것과 같다. 일단 시동이 걸리면 마이너스 개입만 가능하다.


    ◎ 에너지는 유체와 같아서 마이너스 제어만 가능하다.


    헬륨기구는 중간에 올라탈 수는 없지만 떨어뜨릴 수는 있다. 기구가 뜨기 전에 모래와 가스를 미리 채워두었다가 공중에서 모래주머니를 던지거나 혹은 가스를 빼는 마이너스 제어로 운행한다. 이는 유체의 성질이다. 에너지의 성질은 유체와 같으며 집단의 성질과 사건의 성질 또한 유체와 같다. 유체는 마이너스로만 통제할 수 있다. 수돗물은 중간에 빠져나가는 마이너스는 있어도 채워지는 플러스는 없다. 사건이 촉발되면 돌이킬 수 없으며 마이너스만 가능하다.


    ◎ 유체의 성질로 시뮬레이션 하는 절차를 밟아 판단하라.


    발달하는 조직, 팽창하는 자본, 성장하는 생명, 진보하는 역사는 성질이 유체와 같아서 수원지에서 수도꼭지까지 통짜덩어리로 전부 연결되어 있다. 조직을 이와 같은 구조로 편성할 때 방향성을 얻는다. 방향성이 있는 조직의 내부는 균일하게 밀도가 걸리므로 한 부분에 문제가 생겨도 조직 전체가 알게 된다. 집단에 방향성을 주는 공간의 일관성과, 사건의 초기단계에 개입하는 시간의 연속성으로 시뮬레이션 하는 절차를 거쳐 판단하면 바른 판단이 된다.


111.JPG


    포위전이든 돌파전이든 이기는 전술의 특징은 자기편끼리의 완전한 정보공유입니다. 포위당하거나 돌파당하면 자기편을 볼 수 없어서 의사결정이 불가능해집니다. 계에 밀도가 걸리면 내부가 균일하므로 약간의 변화만 있어도 조직 전체가 알게 됩니다. 집단에 치고나가는 방향성을 주는 방법으로, 또 사건의 초기단계에 개입하는 방법으로 조직을 이 구조로 편성할 수 있으며, 어떤 판단을 할 때는 반드시 이 구조로 시뮬레이션 하는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레벨:5]희정

2015.02.08 (12:50:57)

"계에 밀도가 걸린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생소한 용어는 당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2.08 (13:13:47)

그동안 쭉 써왔던 표현입니다. 

[레벨:5]희정

2015.02.08 (13:40:22)

물론 그렇긴 한데 수 많은 다른 내용과 생소한 용어들 받아 들이기 바빠서

미처 여쭙지 못하고 오랜 시간이 흘러 오늘날까지 와버렸네요.

그냥 두리뭉실하게 이해하고 있었는데 마침 오늘 글 내용에 나와서요.

사실은 더 무지몽매한 것도 있어요. 

질 입자 힘 운동 량중에서 질이라는 것도 마찬가지로 모호하게 알고 있습니다.

검색도 해 보고 사전도 찾아 보았지만. 여성들의 거시기만 자꾸 나오고

아직도 긴가민가 합니다. 그냥 제1원인자 라고만 이해할뿐, 정확하게 뭔지는

아직도 모릅니다. 품질할때 질인가? 행동질할때 질인가? 암튼...

나름 이 사이트를 오래동안 들락거렸는데 이런 기초적인 것을 이해 못하다니...

그럭저럭 물어볼 시기조차 놓쳐버렸어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9]무득

2015.02.08 (13:47:32)

상당히 함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제가 이해하는 것을 나열해 봅니다.  물론 평가 받고 싶은 뜻도 담겨 있습니다.

(다만, 걱정되는 것은 오히려 동렬님의 본의를 왜곡시킬지 모른다는 염려가 있어서..)

 

1. 어떤 상황이 더 구체화 된다.

2. 긴장이 고조가 되어 있다.

3. 변화가 될 수 밖에 없는 조건이 되었다.

4. 대칭 관계가 깨져 비대칭으로 가기 직전이다.

등등의 뜻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2.08 (13:52:24)


images.jpg

위 두 상자 중에서 어느 쪽이 더 밀도가 높을까요?
이건 초딩도 알거 같은데.. 어려운 걸 질문하면 답변을 하겠는데
너무 쉬운걸 질문하면 견적이 안 나옵니다.

설명한다고 해서 이해할 것 같지도 않고.
한 숨이나 나올 뿐.

계에 밀도가 걸려 있다는 말은 위키백과 그대로 
일정한 상호작용이나 서로 관련성이 있는 영역 안에서 말 그대로
그 상호작용이나 관련성이 긴밀하게 걸려 있다는 말입니다. 
그림의 상자 속의 빨간공들도 뭔가 관련성이 있습니다.

빨간공을 가둔 상자가 계고 
빨간 공들이 수소분자라면 기압이 걸리는데 그게 밀도죠.
계에 밀도가 걸려있다는 말은 
상자 속의 공들이 기압이나 수압과 같은 압이 걸려있다는 말입니다.

지하철 역 구내에 무질서하게 모여있는 사람도
지하철을 타고 출근하려는 점에서 서로 관련성이 있고 상호작용이 있는 겁니다.
질이란 '계에 밀도가 걸린 상태'를 말합니다.
즉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진 상태입니다.

입자란 계에 밀도가 걸린 질이 외부의 작용을 받았을 때 
1로 행세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밀가루반죽이 있다면 계에 밀도가 걸려있는데
밀도는 반죽의 점성이죠.
몽둥이로 쳤더니 반죽이 흩어져 버렸다.
그렇다면 입자가 아닌 거죠.
몽둥이를 쳐냈다면 입자라고 볼 수있죠.
야구공을 던졌는데 방망이에 맞고 공이 부서져 버렸다면?
그건 입자가 아니죠.
부서지기 전 단계 까지는 질이고
부서지면 입자가 아니죠.
물론 보통은 공이 부서지지 않죠.
부서지지 않게 만들어 놨으니깐.
그러나 구조론에서 다루는 상황은 특수한 상황이므로
밀가루 반죽이 단단해서 방망이를 튕겨낼 수도 있고
야구공이 푸석해서 부서질 수도 있는 겁니다.
왜?
그런 상황만 골라서 논하니깐.

만약 야구공이 터져 버렸다면 내부가 균일하지 않다는 말이고
균일하지 않다는건 밀도가 덜 걸렸다는 말이죠.
야구공 만드는 업자가 공이 터지지 않도록 만듭니다.
야구공을 쪼개보면 실로 감아놨는데 졸라리 빡빡하게 감아서 밀도를 준 거죠.
헐겁게 감아놓으면 공이 터질거니깐.
축구공도 바람을 빵빵하게 넣어 밀도를 걸어줍니다.
도자기 빚는 도공도 반죽을 많이 해서 밀도를 걸어줍니다.
반죽 내부가 균일하지 않으면 도자기 가마에서 터져버리니깐.
인간도 대기압에 적응하도록 밀도가 균일하게 되어 있어요.
불균일하면 외부에서 타격할 때 거기서부터 깨집니다.

질이 형성되지 않으면 외부에서 타격했을 때 에너지가 그냥 통과해 버립니다.
즉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거죠.
질이 형성된 상태에서 즉 밀도가 충분히 걸려서 내부가 균일한 상태에서
타격하면 입자가 되는데 즉 1로 반응합니다.
2로 반응하면? 그건 두조각으로 깨졌다는 말이죠.
3으로 반응하면? 세조각으로 박살난거죠. 이건 실패.
1로 반응을 어떻게 하는가?
에너지의 방향을 비틀어 버립니다.
그게 힘.. 비튼 다음에는? 운동합니다. 운동. 운동 다음에는? 
에너지가 외부에 침투하는 형태로 이탈합니다. 그게 양

가족이 3사람이라면?
밀도가 걸려 있으면 가족이고 밀도가 없으면 가족이 아닌 거죠.
3명 중에 한 명을 죽였는데 나머지 두 명이 웃고 있다면?
가족이 아닌 거죠.
밀도가 걸리지 않았다는 거죠.
여기서 밀도는 의사결정의 스트레스를 말합니다.
즉 한 명을 죽이니 두 명이 스트레스 받았다면 그 셋은 가족이고 
질이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근데 가족이 3명이라도 우편번호는 하나거든요.
우편번호는 왜 3이 아니고 1이냐?
우편물은 왜 한 명이 대표해서 수령하냐?
왜 집세는 그 중에 한 명이 내냐?
이런 식으로 1이 3을 대표하는 것을 입자라고 합니다.
의사결정의 입자라는 거.
여기서는. 
근데 질이 되어야 입자가 나오지 그 반대순서는 없습니다.
아직 가족이 되지 않았는데 한 명이 대표한다든가 하는 일은 없습니다.

첨부
[레벨:5]희정

2015.02.08 (15:52:36)

아이구야~ 오늘에사 구조론 첫 단추를 꿴것 같습니다.

저 이미지 보고 설명 들으니 이제사 팍~ 오네요.

재미잇어서 읽고 또 읽었습니다.

이거 누군가 좀 물어봐주었으면 곁눈질로 슬쩍 하려고 했는데

유독 이 부분은 그 동안 아무도 묻지 않았습니다.

왜 이 부분이 궁금하지 않을까?

새로 들어오시는 분들도 많았는데 다들 잘 이해 하고들 있는가?

되례 한 수 가르치려 들고.. 나만 무식해서 모르나 했지요.

그런데 정말 그랬나보네요.

왜냐면 구조론 첫머리기도 하거니와 때문에 설명에 종종등장

하는데, 그러니까 더 질문하기가 민망하고 이거 물어 봤다간

바로 500방은 필수일것 같았죠.

하지만 오늘 기회를 놓치면 또 언제일지 몰라서 무식이 탄로날거

무릅쓰고 500방 맞을 각오하고 여쭈었습니다.

마침 어디 안 가시고 게시판에서 바로 방망이 날아오니 이때다

싶어 '나 이래요' 하고 자기소개를 했네요.

덕분에 이제는 어떤 사건을 구조론적으로 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범위를 짧게 잡으면 가족 하나에 질 입자 힘 운동 양이 다 들어

있다고 볼 수도 있겠고,  가족 외에 바깥 상황과 늘려서 1주기로

사건을 볼 수도 있겠네요.

저 때문에 설명하시느라 애쓰셨습니다.

거듭 감사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2.08 (17:44:31)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4476


계에 대해서 잘 설명되어 있소.

굳이 이렇게 거창하게 들어갈 건 없고 그냥 거시기라고 해도 됨다.

 

[레벨:5]희정

2015.02.08 (18:50:53)

네~  먼저 설명을 듣고 아줌씨들이 좋아하는 낙찰계도 '계'겠구나 싶었습니다.

그런데 어떤 멋진 남자가 마담뚜 계주를 꼬셔서 계돈들고 튀면, 밀도와 에너지가

붕괴 되어 입자로 가지 못 하고 소멸인가요. 고 낙찰계만.. 각자는 또다른 계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770 동적균형으로 해결하라 image 4 김동렬 2015-02-04 5765
3769 손가락을 가리키면 달을 본다 image 2 김동렬 2015-02-04 6678
» 에너지는 유체와 같다 image 8 김동렬 2015-02-06 6409
3767 구조론의 핵심원리 image 1 김동렬 2015-02-09 5404
3766 진화는 우연일까 필연일까? image 4 김동렬 2015-02-11 6298
3765 진화의 방향성 image 김동렬 2015-02-12 7822
3764 메카는 어디인가? image 김동렬 2015-02-13 5667
3763 진리의 보편성과 일반성 image 8 김동렬 2015-02-15 11507
3762 구조론 핵심요약 image 김동렬 2015-02-16 5558
3761 사건 안에서 두 번의 방향전환 image 6 김동렬 2015-02-17 6515
3760 모형의 시뮬레이션 image 1 김동렬 2015-02-17 5181
3759 구조론의 입장 image 김동렬 2015-02-18 5866
3758 마음 차리기 image 1 김동렬 2015-02-21 6142
3757 행복은 세상에 대한 보고서다 image 11 김동렬 2015-02-21 6214
3756 구조의 시뮬레이션 image 8 김동렬 2015-02-23 6225
3755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7 김동렬 2015-02-24 6801
3754 질 입자 힘 운동 량 image 3 김동렬 2015-02-25 6217
3753 이상주의로 나아가라 image 6 김동렬 2015-02-27 6415
3752 결혼은 연애의 무덤인가? image 김동렬 2015-02-28 7433
3751 F1 머신의 운전자 image 3 김동렬 2015-03-02 6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