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850 vote 0 2015.01.13 (17:55:20)

     

    가만이 머물러 있는 100킬로그램의 물체를 움직이려면 101킬로그램의 힘이 필요하다. 둘이 대칭된 상태에서 상대를 밀어낸다고 가정되는 경우다. 그런데 움직이는 100킬로그램의 물체라면 경우에 따라서는 1킬로그램의 작은 힘으로도 통제가 가능하다. 움직이는 물체는 내부에 대칭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물체 내부의 50 대 50 대칭에서 약간의 외부영향만 있어도 커다란 반응이 일어난다. 그러나 움직이는 물체는 속도를 가진다. 움직이는 물체에 힘을 전달하려면 대상보다 빨라야 한다. 느리다면?


    순풍에 돛 달고 항하해는 범선은 약간의 바람이라도 빠르게 달릴 수 있다. 배의 속도가 바람보다 빠름은 물론이다. 쾌속범선은 최대 시속 30킬로까지 가능한데 바람이 이렇게 분다면 폭풍이다. 옆바람을 쓰기 때문에 가능하다.


    측면을 때리면 언제나 정지해 있는 물체를 때리는 것과 같으므로 미풍이라도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것이 동의 동이다.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가 빠른 속도를 내는 것과 같다. 자전거 타기도 마찬가지다. 자전거가 진행하는 속도보다 페달을 밟는 속도가 느려도 자전거는 가속된다. 자전거의 휠이 빠르게 회전해도 축은 정지해 있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동의 동이 가능하다.


    문제는 어떻게 대칭의 축을 형성하여 범선의 옆바람을 만드느냐다. 리더가 집단을 달리는 범선과 같은 상황으로 제어하는 방법 말이다.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관성의 법칙이다. 기병으로 적진의 가운데를 돌파한다면 달리는 말은 속도가 붙어서 멈추지 못한다.


    이때 집단의 의사결정은 쉬워진다. 반대로 적을 멈추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늑대가 사슴떼를 몰이할 때다. 늑대는 사슴떼를 폭넓게 포위한다. 사슴떼가 방향을 틀만한 지점에는 늑대가 한 마리 가 있다. 사슴떼는 다음 커브를 기대하고 의사결정을 유보하다가 막다른 골목으로 몰린다.


    이때 늑대들은 이심전심으로 자기편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NO만으로 통제가 가능하다. 자기편의 의사결정을 쉽게 하고 상대방의 의사결정을 방해하여 달리는 범선의 옆바람을 도출할 수 있다. 동의 동을 끌어낼 수 있다. 움직이는 물체의 움직이지 않는 대칭축을 끌어낼 수 있다.


    가만이 있는 것은 힘으로 통제할 수 있고 움직이는 것은 속도로 통제할 수 있다. 대칭으로 상대를 막아서는 방법도 있다. 이들은 모두 지속가능하지 않다. 힘은 소모되기 때문이다. NO는 힘이 없다. 힘을 쓰지 않고 통제해야 한다. 가속도가 걸린 기병을 멈춰세울 수 없다.


    즉 멈출 수 없음으로 통제하는 것이 NO로 통제하는 것이다. 쫓기는 사슴은 방향을 틀 수 없다. 의사결정할 수 없음으로 통제하는 것이 NO로 통제하는 것이다. 이때는 비용이 들지 않는다. 힘으로 통제하면 힘이 소모되어 힘이 고갈되므로 힘이 없어져서 통제할 수 없다.


111.JPG


    움직이는 둘의 대칭을 끌어내어 움직이지 않는 대칭축을 설계하면 그 움직이지 않음의 NO로 움직임의 YES를 통제할 수 있습니다. 저울의 받침점처럼, 시소의 축처럼, 로타리의 중심점처럼 움직이지 않는 소실점이 있습니다. 바로 그 하나의 작은 점을 살짝 이동시켜 전체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811 돈을 찍어야 경제가 산다 image 6 김동렬 2015-01-11 6462
3810 구조론으로 본 의학 image 20 김동렬 2015-01-12 6300
3809 에너지가 사건을 일으킨다 image 5 김동렬 2015-01-12 5720
» 유체를 통제하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1-13 5850
3807 노력지상주의를 극복하라 image 3 김동렬 2015-01-14 6443
3806 인식론의 문제 image 9 김동렬 2015-01-14 6310
3805 조직을 제어하는 방법 image 8 김동렬 2015-01-14 7361
3804 구조론적 사유 훈련하기 image 50 김동렬 2015-01-16 7406
3803 천지불인 image 3 김동렬 2015-01-18 6637
3802 소크라테스의 해명 image 3 김동렬 2015-01-19 6012
3801 미련한 곰도 깨달을 수 있다. image 3 김동렬 2015-01-20 6725
3800 한恨이란 무엇인가? image 5 김동렬 2015-01-21 6466
3799 모형으로 사유하라 image 4 김동렬 2015-01-21 5919
3798 맨 처음 이야기 image 3 김동렬 2015-01-22 6474
3797 깨달을지어다 image 5 김동렬 2015-01-23 6645
3796 바른 의사결정은 어렵다 image 9 김동렬 2015-01-25 7195
3795 이기는 자가 강한 자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1-26 6536
3794 지식의 출발 image 1 김동렬 2015-01-28 7325
3793 대수에서 기하로 image 2 김동렬 2015-01-31 5958
3792 깨진 유리창 이론[추가됨] image 1 김동렬 2015-02-02 7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