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658 vote 0 2019.07.21 (21:29:05)

    효율의 증가와 감소


    자연은 5로 되어 있다. 인간이 작위하여 만드는 것은 5가 아니다. 5는 시스템의 갖춤이다. 인간이 하는 일은 1에서 시작해서 2, 3, 4, 5로 상승한다. 5에 도달하면서부터 효율적으로 변한다. 그리고 갈수록 효율은 감소한다. 일한다는 것은 외부와 연결하여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며 관계를 맺으면 그 방향은 차단되고 새로 관계를 맺을 수 없다. 즉 일하면 일할 수 없다.

    멈춘 사람은 차를 탈 수도 있고 말을 탈 수도 있고 헤엄칠 수도 있다. 차를 탄 사람은 차에서 내리지 않고 즉 멈춰서지 않고 말을 타거나 헤엄칠 수 없다. 그러므로 일할수록 일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죽는다. 엔트로피 곧 무질서도의 증가다. 인간이 작위적으로 하는 일은 1로 시작하므로 점점 효율성이 증대된다. 아기보다 어린이가 낫고 어린이보다 소년이 낫다.

    소년보다 청년이 낫고 청년보다 장년이 낫다. 더 많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그리고 하락이 시작된다. 효율성은 점차 감소한다. 바둑으로 치면 포석을 완성할 때까지 효율성은 증대된다. 그리고 점차 비효율적으로 된다. 그러므로 사건은 방향성이 있고 우리는 통제할 수 있다.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고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대보다 효율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상대가 1로 나오면 2로 이길 수 있다. 2가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내가 1로 도전했는데 상대가 빠르게 2로 나오면 그 부분을 포기하고 다른 곳에 새로 전단을 열고 선수를 치면 된다. 내가 포기한 1을 상대가 해치우지 않고 이쪽으로 쫓아오면 그 1과 연결하여 다시 살려내는 방법으로 우위에 설 수 있다. 여러 곳에 전단을 벌리고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5를 도출한다.

    이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전성기의 나폴레옹처럼 말이다.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하나의 사건 안에서 다섯 번 세부적인 효율성의 결정이 있다. 엔트로피 감소는 사건 전체로도 일어나지만 사건 안에서도 다시 다섯으로 쪼개진다. 다섯 번 엔트로피의 감소결정이 일어나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7.23 (03:47:13)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 http://gujoron.com/xe/1107946

[레벨:15]오민규

2019.07.23 (12:49:26)

많이 도움이 됐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947 이재명 박지현 이낙연 image 3 김동렬 2022-06-05 2605
946 비겁한 지식인의 문재인 죽이기 김동렬 2022-04-06 2605
945 NC의 선수 죽이기 1 김동렬 2020-08-28 2604
944 구조론은 열린사상이다. 김동렬 2021-01-10 2603
943 일원론의 사유를 훈련하자. 1 김동렬 2020-07-17 2603
942 모든 숭배는 우상숭배다 1 김동렬 2019-12-31 2602
941 소크라테스의 빼기 김동렬 2021-09-04 2601
940 셈이 먼저냐 숫자가 먼저냐? 김동렬 2021-02-08 2601
939 잔 다르크와 윤석열 김동렬 2023-04-20 2598
938 독재라는 질병에 대하여 김동렬 2021-04-17 2598
937 의리는 공존의 룰이다 3 김동렬 2020-02-14 2598
936 연역과 귀납의 문제 5 김동렬 2020-07-24 2597
935 단을 완성하라 김동렬 2021-03-02 2596
934 메커니즘을 이해하라 8 김동렬 2020-09-03 2593
933 존재론과 인식론 2 김동렬 2020-03-02 2592
932 사건의 철학 1 김동렬 2019-04-29 2591
931 최동훈 영화는 영화가 아니다. 김동렬 2024-01-11 2590
930 지식인의 자세 1 김동렬 2022-01-07 2590
929 원인은 자연의 조절장치다. 김동렬 2021-07-06 2588
928 과학과 비과학 김동렬 2022-01-02 2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