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671 vote 0 2018.04.04 (17:34:41)

 

    지구는 돌지 않는다


    우리는 해가 동쪽에서 뜬다고 믿지만 틀렸다. 사실은 지구가 서쪽에서 뜬다. 둘 다 틀렸다. 사실은 공간이 휘어진 것이다. 셋 다 틀렸다. 계가 존재하는 것이다. 계는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동적균형이 그 안에 있다.


    깃발이 바람을 흔드는 것인가? 아니면 바람이 깃발을 흔드는 것인가? 아니면 둘 다 틀렸고 다만 당신의 마음이 스스로 흔들리고 있는 것인가? 셋 다 틀렸다. 거기에 계가 존재하는 것이다. 사건은 벌떡 일어나 있다.


    모두 연결되어 하나의 계를 이루고 있으니 통짜덩어리라 하겠다. 매개변수가 추가되니 벡터라고 할 수 있다. 대개 그것은 관성의 형태로 존재한다. 각운동량은 보존되어 있다가 엉뚱한 곳에서 슬그머니 모습을 드러낸다.


    어떤 둘이 동적공간 안에 있으면 반드시 둘을 연결하는 제 3의 것이 있다. 공유되는 토대가 있다. 그것은 관성으로 혹은 각운동량으로 혹은 벡터로 혹은 매개변수로 존재하며 그 매개변수에 의해 보이지 않게 연결된 공간이 계다. 어디를 가나 계가 존재한다. 그 바닥의 질서가 존재한다.


    실상 해가 동쪽에서 뜨는 것도 아니고 지구가 서쪽에서 뜨는 것도 아니고 공간이 휘어진 것도 아니고 계가 존재하며 그 계의 방향성이 포착되는 것이다.


    자전거가 사람을 태우고 가는 것인가? 사람이 자전거를 밀고가는 것인가? 도로가 사람과 자전거를 동시에 아우르는 것인가? 기수가 말을 타고 가는 것인가? 말이 기수를 태우고 가는 것인가? 아니면 경마장의 주최측이 고객의 주머니를 털고 있는 것인가? 사건은 그 안에 존재하며 모두 연결되어 있다.


    문재인이 문빠를 끌고가는 것인가? 문빠가 문재인을 밀고 가는 것인가? 둘 다 틀렸고 거대한 변화의 에너지가 그렇게 연출되고 있는 것인가? 사건의 계가 존재하고 에너지의 방향성이 있는 것이며 토대의 변화에 따른 보이지 않는 힘이 각운동량의 형태로 잠복하고 있다가 문득 당신을 밀어흔들어대니 어벙한 안철수 부류들은 낚이고 마는 것이다.


    계 안에서 에너지의 방향성만이 진실하다. 대립된 둘 사이에 모순이 있다면 반드시 보이지 않는 힘이 각운동량 형태로 잠복해 있다가 당신의 뒤통수를 친다.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인간은 거의 백퍼센트 낚인다.


    최홍만과 옥동자가 링 위에서 싸우면 반드시 최홍만이 이긴다. 그런데도 이상하게 엇비슷하다면 뭔가 속임수가 있는 것이다. 옥동자가 각운동량을 숨기고 있거나 최홍만이 마피아에게 뒷돈을 받았거나 뭔가 있다. 반드시 있다. 그 어색함을 포착해야 한다. 그 부조화를 인지해야 한다. 어딘가에 깔때기가 있다. 승부는 정해져 있다. 당신은 속고 있다.


    문재인과 박근혜가 대결한다면 당연히 문재인이 이긴다. 그런데도 이상하게 엇비슷하다면 뭔가 속임수가 있는 것이다. 뭔가 있다. 감추어져 있다. 그것은 언제나 한 방향으로만 작동한다. 승부는 정해져 있다.
   

0.jpg


[레벨:5]김미욱

2018.04.04 (22:54:31)

흐르는 강물은 이미 바다가 되어있다.
[레벨:4]고향은

2018.04.05 (14:23:41)

보이지 않는 바닥의 질서와 힘은
이겨서 존엄을 얻는 방향으로 흔들린다
모르면 뒷통수 맞는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180 창작 하는 방법 image 3 김동렬 2012-01-06 11740
4179 도가도 비상도의 오류 image 7 김동렬 2013-05-29 11735
4178 권력의 시장가격 image 김동렬 2016-11-25 11734
4177 구조론은 맞는 말이다 image 5 김동렬 2018-01-14 11732
4176 비판적 지식인상과 이상주의적 지식인상 image 김동렬 2006-12-01 11731
4175 스티브 잡스의 성공 공식 6 김동렬 2011-10-21 11730
4174 왜 나는 분노하는가? 김동렬 2006-05-14 11729
4173 전여옥 현상에 대하여 김동렬 2006-02-26 11723
4172 신은 이렇게 말했다 image 2 김동렬 2018-04-07 11719
4171 탑 포지션을 잡는 방법 image 4 김동렬 2011-12-29 11706
4170 진화의 완성 김동렬 2007-02-08 11694
4169 창의하기의 첫번째 원칙 image 1 김동렬 2011-12-05 11691
4168 시간을 조직하라 image 6 김동렬 2014-02-13 11687
4167 에너지의 통제가능성에 주목하라 image 1 김동렬 2017-10-29 11684
4166 탑을 잡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1-11-18 11682
» 지구는 돌지 않는다 image 2 김동렬 2018-04-04 11671
4164 김미경들의 자기차별 image 김동렬 2013-03-20 11668
4163 닫힌계에 대해서 3 김동렬 2018-01-19 11663
4162 통제가능성이 희망이다 image 2 김동렬 2017-11-18 11658
4161 그림으로 이해하기 image 2 김동렬 2012-12-18 11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