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28 vote 0 2023.10.22 (11:36:26)

    구조론적인 사고를 처음 시도한 사람은 석가다. 불교에 대한 지식이 있는 사람은 구조론이 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석가에게도 많은 오류가 있지만 2500년 전이라는 시대의 한계를 감안하면 독보적이다.


    석가는 인류 중에 처음으로 생각이라는 것을 했다. 그것은 생각에 대한 생각이다. 능동적 사고다. 생각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대개 주어진 문제를 푸는 수동적 사고다. 필연적으로 관점의 오류가 발생한다.


    인간이 링 위에 올라 선수로 뛰면 안 된다. 존재의 한쪽 측면만 보게 된다. 부름에 응답하려고 하면 안 된다. 관측자의 개입에 의한 자기소개가 된다. 게임의 주최 측이 되어야 능동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문제를 풀고 답을 찾으려 하면 안 된다. 문제는 문제가 풀고, 답은 답이 찾고, 생각은 생각이 하고, 인간은 게임 밖에서 관리할 뿐이어야 한다. 존재는 연결이며 연결되면 그게 답이다. 연결구조가 답이다.


    깨달음을 얻어 유혹을 벗어났다거나 고통을 극복했다거나 부처가 되었다거나 하는건 본질이 아니다. 아무말 대잔치다. 그걸로 모르는 사람에게 말을 건다. 일종의 인삿말이다. 게임에 초대하는 것이다.


    유혹에 넘어가지 않는 것은 방어행동이다. 공격은 어떻게 할 것인가? 천하를 어떻게 유혹할 것인가? 공양주 노파가 자기 딸을 시켜서 스님을 유혹해 보라고 했다는 파자소암婆子燒庵의 화두가 유명하다.


    20년 수도한 선승은 '고목나무가 찬바위에 기대니 삼동설한에 따뜻한 기운이 없다.'하고 정답을 말했지만 그것은 노파에게 한 끼 밥을 빌어먹으려는 발버둥이다. 스님은 소녀를 유혹하지 못하고 쫓겨났다.


    부름에 응답하는 방법은 부르는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문제를 내는 것이다. 능동으로 갈아타지 않으면 안 된다. 주최 측으로 올라서지 않으면 안 된다. 인간의 역할에 갇히면 인간밖에 안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7325 멋쟁이 이재명 김동렬 2025-06-19 3887
7324 헌법 84조의 의미 2 김동렬 2025-06-10 3890
7323 일론 머스크와 이재용 2 김동렬 2025-02-04 3895
7322 진화론은 틀렸다 2 김동렬 2025-06-04 3898
7321 젤렌스키 트럼프 푸틴 시진핑 김동렬 2025-03-01 3904
7320 황현필과 해방전후사 김동렬 2025-02-24 3922
7319 진화의 불씨 1 김동렬 2025-06-11 3928
7318 이재명과 유승민, 잡초와 엘리트 1 김동렬 2025-02-24 3940
7317 인간의 진실 김동렬 2024-11-05 3949
7316 우상호 오광수 문제없다. 2 김동렬 2025-06-08 3959
7315 신의 입장 image 김동렬 2025-02-21 3961
7314 대칭구조 김동렬 2025-04-17 3963
7313 굥의 전쟁 2 김동렬 2025-03-18 3966
7312 명절전쟁의 이유 1 김동렬 2025-01-26 3979
7311 윤석열 감옥공천 김동렬 2025-01-18 3982
7310 타블로와 이재명 1 김동렬 2025-02-19 3984
7309 김경수 임종석의 법칙 김동렬 2025-02-03 3989
7308 이재명 조절의 정치 김동렬 2025-02-27 4004
7307 인간을 믿다 2 김동렬 2025-06-14 4005
7306 토마스 만의 보수주의 김동렬 2024-12-14 4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