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743 vote 0 2021.05.06 (18:30:08)

      

    자연의 있는 것은 어떻게 스스로 있을 수 있는가? 인간의 아는 것은 어떻게 감추어진 내막을 알아내는가? 대칭을 통해서 가능하다. 대칭은 둘의 대칭이다. 둘을 붙잡아 하나로 엮어내는 것이 구조다.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하지만 구조화된 둘의 상호작용으로는 무엇이든 가능하다. 대칭의 방법으로 자연의 실타래에 감긴 실을 낱낱이 풀어낼 수도 있고 반대로 대칭을 사용하여 그것을 실패에 되감을 수도 있다.


    실타래에 감긴 실을 풀어내는 것이 존재론이라면 되감는 것이 인식론이다. 어느 쪽이든 대칭으로 가능하다. 그런데 불가능하다. 인식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작은 그릇에 큰 그릇을 담을 수 없다. 


    부분의 합은 전체보다 작다. 장님이 코끼리를 만져보고 코끼리의 전체 모습을 알 수 없다. 인간은 부분의 단편적인 사실을 모아 사건 전체의 모습을 재구성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그것은 원리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대칭으로 구조를 풀어내는 것은 가능해도 구조를 합치는 것은 불가능하다. 소수를 이용하여 암호를 만드는 것과 같다. 가로 29에 세로 53을 곱하면 면적 1537이 얻어진다. 반대로 면적 1537이 어떤 가로숫자에 어떤 세로숫자를 곱해서 얻은 숫자인지는 알아낼 수 없다. 


    프로그램을 짜서 알아내면 쉬운데 소수라서 프로그램을 짤 수 없다. 프로그램은 단순반복 작업을 하는데 소수는 반복이 안 된다.


    자연은 쪼갤 수는 있는데 합칠 수는 없다. 엔트로피의 비가역성이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코끼리를 머리와 몸통과 다리로 나눌 수는 있는데 머리와 몸통과 다리를 주고 코끼리를 만들어오라면 그것은 불능이다. 


    코끼리에게는 호흡이라는 플러스알파가 있기 때문이다. 가로 곱하기 세로는 면적이다. 면적은 하나고 가로 곱하기 세로는 둘이다. 더 많은 질서가 있는 것이다. 면적은 풀어진 것이고 가로 곱하기 세로는 실패에 감긴 것이다. 엎어진 물을 도로 주워담을 수 없는 것과 같다. 바닥에 뿌려진 좁쌀을 도로 주워담기는 어렵다. 반대로 뿌리기는 쉽다.


    이게 단순히 어려운 것이 아니라 원리적으로 안 되는 거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우연히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의도적으로 재현할 수는 없다. 우연이기 때문이다. 


    거기서 어떤 규칙을 발견할 수 없다. 그런데 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원래 답을 알고 있는 경우다. 암호를 알고 있는 경우다. 당연히 알 수 있다. 우주 안의 모든 문제는 결국 이 하나의 딜레마에 막혀 있는 것이다. 갈 수는 있는데 올 수는 없다. 풀 수는 있는데 감을 수는 없다. 그러나 특별한 방법을 쓰면 가능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5843 원자론과 진화론 1 김동렬 2020-11-25 2742
5842 우주의 건축 1 김동렬 2021-02-18 2743
» 암호와 비가역성 김동렬 2021-05-06 2743
5840 에서으로의 법칙 김동렬 2021-11-17 2744
5839 정보는 구조에 숨어 있다 3 김동렬 2020-02-18 2745
5838 엘리트가 나라를 구한다 1 김동렬 2020-08-24 2746
5837 러시아의 패배 김동렬 2022-11-11 2746
5836 소수자가 이긴다 김동렬 2023-03-21 2746
5835 독고다이 윤석열 김동렬 2023-04-10 2746
5834 사건과 사물 김동렬 2021-10-29 2748
5833 인간이 퇴행하는 이유 김동렬 2022-02-12 2748
5832 량이 결정한다 김동렬 2023-04-04 2749
5831 진보는 밸런스의 교체다 김동렬 2022-01-20 2751
5830 원자와 양자 3 김동렬 2019-10-24 2752
5829 자연은 서로 지목한다. 2 김동렬 2020-01-09 2752
5828 구조의 탄생 김동렬 2021-08-31 2752
5827 이재명과 진보세력 image 김동렬 2022-02-23 2753
5826 셈이 먼저냐 숫자가 먼저냐? 김동렬 2021-02-08 2754
5825 폭군 윤석열 김동렬 2023-04-26 2755
5824 지식의 근본 1 김동렬 2020-04-27 2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