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2262 vote 0 2011.10.03 (23:33:51)

 

 

 


구조론은 하나 안에 둘 넣기다.

 

 

 65.JPG

 

두 당구공이 맞닿아 있을 때, 두 당구공이 맞물리는 부분은 하나의 점이지만 두 당구공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가진다. 하나 안에 둘이 들어간 셈이다. 이렇듯 하나의 포지션에 최대 다섯개의 정보를 집어넣을 수 있다. 하나의 포지션에 동시에 다섯 개의 에너지 전달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66.jpg

 

구조는 에너지가 가는 길이다. 에너지는 일(work)을 한다. 일은 처음 다섯 개의 포지션을 확보한 상태에서 하나씩 포지션을 버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처음 힘을 모으는 데는 다섯 포지션이 필요하며, 그 힘을 다시 밖으로 내보내는 데는 네 포지션이 필요하고, 그 힘의 공간적 방향을 정하는데는 세 포지션, 시간적 전달에는 두 포지션, 표적을 맞히는 데는 하나의 포지션이 필요하다.

 

◎ 5 포지션은 계에 힘을 모을 수 있다.
◎ 4 포지션은 센터에서 힘을 보낼 수 있다.
◎ 3 포지션은 공간에서 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 2 포지션은 시간에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 1 포지션은 표적을 맞힐 수 있다.

  

세상은 대칭구조의 집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존재는 대칭원리를 사용하여 일을 한다. 하나의 대칭구조를 세팅하려면 다섯 개의 포지션 지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실은 수학계의 난제 중의 하나인 사색문제의 증명원리로 해명된다.

 

 

 67.JPG

 

다섯 포지션이 모여 대칭을 이룸으로써 세상을 조직하는 하나의 기본 모듈이 된다. 모듈은 작동은 다섯 포지션에서 네 포지션, 세 포지션, 두 포지션, 한 포지션으로 포지션을 감소시키는 형태로 일어난다. 그러므로 세상은 마이너스다.

 

세상이 어렵다지만 몰라서 어려울 뿐 알고 보면 쉽다. 어린이가 한글을 익혀야 책을 읽을 수 있고, 구구셈을 외어야 셈을 할 수 있듯이 반드시 넘어야 하는 관문이 있다. 그 관문을 넘으면 어려운 문제도 쉽게 풀린다. 세상의 모든 존재는 하나의 모듈을 공유하고 있다. 이 하나의 모형을 정복함므로서 모든 문제를 근원에서부터 해소할 수 있다. 이 그림을 머리 속에 담아두고 개별적인 사실에 적용하여 응용하는 방법으로 가능하다.

 

  68.jpg

69.jpg

 

 70.JPG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38 죄송한데여... 노원구민 2002-12-15 21198
137 학문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10-22 21199
136 까뮈의 이방인 김동렬 2006-07-14 21203
135 아이큐 테스트 image 2 김동렬 2012-11-29 21203
134 고부간과 아파트 구조 Blitz 2002-09-16 21212
133 매트릭스 3탄 서프라이즈 레볼루션이 온다 image 김동렬 2003-07-03 21218
132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2-10-05 21226
131 Re..성소는 망해도 너무 망해서 김동렬 2002-09-18 21275
130 인터넷 글쓰기의 폐단인가?(펌) (노혜경) 2003-06-12 21275
129 유시민신당과 함께 생각해 보는 민주주의의 미래 김동렬 2002-09-17 21347
128 군대가서 좋은 점 image 김동렬 2003-07-14 21375
127 구조론 개념도 image 김동렬 2008-08-25 21427
126 휘발유통에 라이터를 켜대는 난폭자의 등장 image 김동렬 2003-02-19 21437
125 동영상 강의 김동렬 2010-01-25 21456
124 물레방아의 작동구조 image 2 김동렬 2011-05-31 21474
123 광대역 웹캠 최신버전 김동렬 2003-06-10 21477
122 된장녀와 한류녀 그리고 왜색녀 김동렬 2006-08-07 21524
121 그림풀이 image 김동렬 2010-03-05 21559
120 탤런트 이유진의 고백 김동렬 2003-05-30 21563
119 '신은 없다' 호킹 발언 김동렬 2010-09-12 21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