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927 vote 0 2017.02.22 (15:43:36)

       

    신이 있다면 그를 만나고 싶다. 피뢰침이 벼락을 맞듯이 뾰족한 곳에 가 있어야 신을 만나게 된다. 뾰족한 곳에 기어올라가거나 혹은 여럿이 모여서 뾰족하게 인간탑을 쌓을 수 밖에 없다. 뾰족한 집단의 대표성을 만들어낼 수 밖에 없다.


    때로는 한 사람이 신이기도 하고, 때로는 한 하늘이 신이기도 하고, 때로는 한 세월이 신이기도 하다. 한 사람의 전부를 만났다면 신을 만난 것이며, 한 하늘의 전부를 보았다면 신을 본 것이며, 한 세월의 정수를 보았다면 신을 겪은 것이다.


    한 사람을 만나지 않아도 좋다. 한 사람은 내 안의 전부를 끌어내는 장치다. 만날 사람을 만났을 때 내 영혼의 바닥까지 밖으로 끌어내지게 되는 것이다. 거울을 통해 나를 보듯이 한 사람을 만났을 때 상대방 마음에 비친 나 자신을 본다.


    신을 만나지 않아도 좋지만 신이 있어야 한다. 사람을 만나지 않아도 좋지만 사람이 적어도 거기에 존재하여 있어야 한다. 비로소 착수할 수 있게 된다. 이 세상에 70억 명이나 있다는데 그중에 사람이 하나도 없다면 그것은 다른 문제다.


    인생은 의미 아니면 허무다. 허무는 여기서 끝이고 의미는 다음 페이지로 넘어간다. 이 스테이지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지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면 마음의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여행자가 북극성을 찾듯이 신을 바라보아야 한다.


    신은 인간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존재하지만 모두의 소원을 들어주지는 않는다. 대표자 한 명의 소원을 들어줄 뿐이다. 신의 입장에서는 하나가 전부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스스로 운명의 하나가 되거나 그 하나에게 위임하거나뿐이다.


    인간은 신을 만나기 원하며 그 이전에 신이 거기에 있기를 원한다. 내가 거기에 있어야 신이 거기에 있다. 나를 만나는 만큼 신을 만난다. 나를 부정할 때 신이 부정된다. 의미를 부정할 때 신은 사라진다. 다음 단계를 부정할 때 신은 없다.


20170108_234810.jpg


    종교의 신으로 오해하면 곤란합니다. 이건 다른 이야기입니다. 신을 완전성이라는 단어로 바꾸어도 됩니다.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일관성 문제입니다. 내 인생에 있어서의 모든 의사결정들이 전부 하나로 연결되어 분명한 방향을 드러내야 그 낱낱의 결정들이 유의미해집니다. 


[레벨:11]큰바위

2017.02.22 (18:58:24)

이미 완전해져 있다. 

인간은 이미 신이 되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798 모형으로 사유하라 image 4 김동렬 2015-01-21 5959
3797 시스템으로 이해하기 image 김동렬 2015-05-05 5959
3796 구조론의 입장 image 김동렬 2015-02-18 5960
3795 깨달음의 문제 image 1 김동렬 2014-11-23 5966
3794 북극의 북쪽에 무엇이 있을까? image 1 김동렬 2015-10-05 5967
3793 운동에너지는 없다. image 1 김동렬 2015-06-15 5969
3792 말을 똑바로 하는 것이 깨달음이다 image 5 김동렬 2016-02-12 5969
3791 모든 것의 시작 image 김동렬 2015-06-23 5971
3790 진화론에서 구조론으로 김동렬 2014-08-25 5973
3789 불쾌한 골짜기의 권력의지 image 김동렬 2020-11-10 5977
3788 구조론 최종결론 image 7 김동렬 2014-11-19 5979
3787 진리와 인간의 일대일 image 김동렬 2014-11-18 5983
3786 세상을 유체로 이해하는 훈련을 하라. image 1 김동렬 2015-06-05 5985
3785 공간과 시간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7-30 5988
3784 존재는 정靜이 아니라 동動이다. image 4 김동렬 2015-05-31 5989
3783 천하인이 될 것인가 소인배가 될 것인가? 2 김동렬 2018-08-22 5992
3782 진짜 이야기는 이런 거다 김동렬 2016-07-09 5999
3781 진화란 무엇인가? 3 김동렬 2014-09-22 6001
3780 대수에서 기하로 image 2 김동렬 2015-01-31 6002
3779 시간여행의 딜레마 image 김동렬 2014-11-20 6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