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677 vote 0 2021.11.18 (19:48:08)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인류의 지식획득 방법으로는 사건의 해석과 사물의 관찰이 있다. 형태가 있는 사물은 눈으로 관찰하면 되는데 형태가 없는 사건은 관측된 사실에 해석을 추가해야 한다. 문제는 방향의 충돌이다. 인간은 자연의 맞은 편에 서 있다. 거울의 상이 뒤집혀 보이듯이 거꾸로 보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관측으로 얻은 단편적인 사건의 조각들을 모아서 퍼즐을 맞추듯이 자연의 질서에 맞게 재구성해야 한다.


    우주 안의 모든 사건은 하나의 플랫폼을 공유한다. 그것은 닫힌계 안에 축과 대칭의 밸런스를 만들고 축을 이동시켜 하나의 밸런스에서 다른 밸런스로 갈아타는 방법으로 내부의 에너지적 모순을 처리하는 것이다. 사건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닫힌계 내부에 대칭을 만들고 축을 움직여 의사결정한다. 사건의 해석은 자연의 의사결정구조를 복제하고 사물의 관찰로 얻은 단서를 플랫폼의 빈 칸에 채워넣는 방법을 써야 한다.


    구조론은 관측된 사실을 수학적으로 재구성한다. 그런데 방향이 다르다. 과학은 사물을 관찰하여 단서를 얻고, 수학은 단서를 조립하여 자연의 원래 모습과 일치시킨다. 관측자 중심으로 보면 거울처럼 뒤집어져 자연과 어긋나는 부분이 있으므로 구조론이 바로잡는다. 자연의 변화를 되짚어 근원으로 다가서는 것이 수학이라면, 자연이 스스로 자신을 펼쳐내는 것은 구조론이다. 자연이 먼저 있고 인간이 목격한다. 구조론이 수학에 앞선다.


    사건이 존재의 본래모습이며 인간은 사건의 통짜덩어리 모습을 직접 볼 수 없고 추론을 거쳐야 한다. 사물의 관찰로 얻은 지식은 추론의 단서가 되는 부스러기들이다. 사건을 해석하려면 퍼즐을 맞추듯이 단서들을 조립하여 자연과 일치시켜야 하는데 그것이 수학이다. 거울에 비친 상은 다 맞는데 결정적으로 한 곳이 안 맞다. 자연의 존재와 인간의 인식은 거울처럼 반대편에서 마주보기 때문이다. 그 부분을 바로잡는 것이 구조론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6717 구조론 대강 김동렬 2024-03-13 930
6716 교언영색 한동훈 image 김동렬 2024-03-13 1286
6715 처음의 처음 김동렬 2024-03-12 1091
6714 그림은 완성되었다. 1 김동렬 2024-03-12 1374
6713 정치란 이렇게 하는 것이란다 김동렬 2024-03-12 1292
6712 다음의 다음 김동렬 2024-03-11 1052
6711 총선이 한 달 앞이다 김동렬 2024-03-11 1394
6710 물방울이 둥근 이유 김동렬 2024-03-11 818
6709 토리야마 아키라의 드래곤 볼 김동렬 2024-03-10 1106
6708 지구가 둥근 이유 image 김동렬 2024-03-10 952
6707 자기 자신에게 투표하라. 김동렬 2024-03-10 1019
6706 마음의 마음 김동렬 2024-03-10 773
6705 마음의 전략 김동렬 2024-03-09 1018
6704 영화 파묘와 쇠말뚝 해프닝 image 김동렬 2024-03-08 1652
6703 주체적 사고 김동렬 2024-03-07 993
6702 한동훈 패션안경의 비밀 김동렬 2024-03-07 1399
6701 직관적 사고 김동렬 2024-03-06 1193
6700 정의당의 몰락공식 김동렬 2024-03-06 1420
6699 동이족은 없다 김동렬 2024-03-05 1123
6698 초월자 김동렬 2024-03-05 1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