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790 vote 0 2022.01.31 (12:33:31)

    설의 어원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는데 아직까지 설득력 있는 견해를 내놓은 사람은 없다. 대개 언어가 만들어지는 원리와 맞지 않다. 새해가 낯설다거나 밥이 설익었다거나 이런 쪽으로 갖다 붙이는건 정신병자 수준이다. 말이나 돼? 오백 방을 피할 수 없으리라. 


    일어선다는 뜻의 서다로 해석하는 것도 어폐가 있다. 누가 앉았대? 한 살, 두 살 할 때의 살과 관계가 있다는 설은 설득력이 있다. 그런데 살은 뭐지? 월인석보 등의 옛 문헌에는 나이를 셀 때도 설로 발음했다고 한다. 한 살, 두 살이 아니라 한 설, 두 설이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살은 뭐지? 삶? 이건 아니다. 장난하냐? 삶은 인생 전체다. 까치설날은 또 왜 까치가 등장하는가? 아치설날이 까치설날로 와전되었다고 하는데 사실은 반대다. 기역탈락은 흔하다. 건들>흔들, 꿈쩍>움직, 굼집>움집, 꿈틀>움틀, 궁뎅이>엉덩이, 개울>여울 


    꾸물꾸물>우물우물. 찾으면 백 개도 넘을 것이다. 동작이 큰 것은 ㄱ이고 동작이 작은 것은 ㅇ이다. 오목하거나 우묵한 것은 구멍이 작은 것이다. 공이는 돌출하고 옹이는 속에 박혔다. 기역탈락은 작은 동작을 나타낸다. 옛이응의 소멸과정을 떠올려보면 알 수 있다. 


    베트남어 원阮이 일본어 겐げん인데 Nguyễn에 G가 숨어 있다. ㄱ 탈락은 영어에도 무수하다. 영어는 주로 G가 W로 변한다. W가 앞에 오는 말은 대부분 G나 C가 변한 발음이다. 아치설이 까치설로 변한 것이 아니고 그 반대로 까치조금이 아치조금으로 된 것이다. 


    사리 - 꽉찬 물때

    조금 - 텅 빈 0 물때

    까치조금 - 가장 작게 남은 물때


    물때로 조금 전날이 아치조금인데 경기도에서는 까치조금이라고 한다. 까치는 약간이다. 까치설날은 약한 설날이다. 그렇다면 강한 설날은? 설이 꽉 찬 것이 설날이다. 1년 365일에서 한 해의 날짜가 꽉 찬 날이 설날이며 반대로 가장 많이 까먹은 날이 까치설이다.


    설 - 1년 365일이 꽉 찼다.

    아치설 - 1년 365일을 다 까먹고 하루 남았다.


    설은 살이며 살은 가득한 것이며 설날은 1년이 가득한 날이다. 설의 어원이 살이라면 살의 어원은 사리다. 조금의 반대로 꽉 차게 물이 들어오는 날이 사리다. 사리는 국수나 실이나 새끼줄, 로프 따위를 잘 사려서 뭉치를 만든 것이다. 잘 간추려진 것을 사리라 한다.


    설날은 1년이 완판으로 사려져 있는 날이며 여기서 하루씩 까먹는다. 다 까먹으면 까치설이다. 사리다에서 살로, 살에서 설로 바뀌었다. 사리다는 헤아린다는 뜻도 있다. 한 살 두 살은 셈을 센다는 뜻이다. 설날은 나이를 세는 날이다. 


    세다(헤아리다)

    셈(헤아림)

    사리다(간추리다)

    사리(간추려 놓은 것)

    설(설날, 간추려진 날)

    살(나이)


    이상은 모두 같은 뿌리에서 나온 파생어로 볼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03
5941 차별본능의 극복 김동렬 2023-07-09 2764
5940 메커니즘이 원인이다 김동렬 2021-05-03 2768
5939 뒤집어라 그러면 보일 것이다 1 김동렬 2022-09-27 2769
5938 김건희 마녀사냥 문제 있다 김동렬 2023-12-14 2769
5937 세상은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다 1 김동렬 2020-09-16 2772
5936 푸틴 트럼프 윤석열 스트롱맨 김동렬 2022-03-01 2772
5935 행복이 아니라 에너지다 1 김동렬 2019-07-24 2773
5934 존재론과 인식론 김동렬 2021-04-19 2773
5933 기안84를 보는 눈 1 김동렬 2020-08-17 2774
5932 검사 위에 국민 있다 김동렬 2021-03-13 2778
5931 과학과 비과학 김동렬 2022-01-02 2779
5930 지식인의 자세 1 김동렬 2022-01-07 2781
5929 비겁한 지식인의 문재인 죽이기 김동렬 2022-04-06 2781
5928 우주의 건축법 1 김동렬 2019-12-27 2783
5927 일원론의 사유 1 김동렬 2020-07-18 2784
5926 구조주의와 구조론 김동렬 2020-09-24 2784
5925 노동의 슬픔 김동렬 2023-05-02 2784
5924 일원론의 사유를 훈련하자. 1 김동렬 2020-07-17 2785
5923 김어준 또 틀렸다 김동렬 2023-08-31 2785
5922 차원 개념의 그림풀이 image 1 김동렬 2020-04-05 2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