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424 vote 0 2019.11.20 (18:08:24)


    세상은 구조다. 구조는 내부구조다. 알고자 한다면 사물의 내부를 관찰해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밖에서 사물을 관찰한다. 내부는 알 수 없다고 여긴다. 원자 개념이 그렇다.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것이 원자다. 알 수 없다는 말이다. 그런데 우리는 외부를 관찰하여 내부까지 알 수 있다고 믿는다.


    밖에서 관찰하여 얻은 정보는 사물의 성질이다. 고유한 속성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 말은 모순이다. 속성은 내부의 성질인데 내부를 알 수 없다고 말하면서 내부를 논하고 있기 때문이다. 설탕이 달고 소금이 짠 것이 물질 내부의 고유한 속성이다. 그런데 외부를 관찰해놓고 내부를 알았다고 믿는다.


    같은 색깔도 색맹이 보면 다르게 보인다. 칼라는 눈의 사정이다. 소금이 짜고 설탕이 단 것은 소금과 설탕의 내부사정이 아니라 사람 혀의 사정이다. 색맹이 세상을 흑백으로 본다면 그 흑백은 세상의 사정이 아니라 색맹의 눈 문제다. 대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거울로 삼아 자기를 관측한다.


    속성 개념이나 원자 개념은 모순이다. 원자가 쪼개지지 않는 것은 인간의 기술력 한계이지 물질 자체의 사정이 아니다. 소금이 짜고 설탕이 단 것은 인간 혀의 문제이지 소금과 설탕의 사정이 아니다. 물론 전혀 관계가 없는 것은 아니다. 안과 밖은 대칭이므로 밖을 근거로 안을 추론할 수 있다.


    우리는 깡통을 두드려서 소리를 듣고 속이 비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수박이 익었는지 두드려보고 안다. 사실은 수박을 쪼개본 적이 있고 깡통을 열어본 적이 있다. 정확히 알려면 내부를 알아야 하고 사람이 내부로 들어가야 한다. 밖에서 알아낸 것은 진실의 절반에 불과하다. 단서를 잡은 정도다.


    우리는 사물 내부로 들어갈 수 없으나 사건 내부로는 들어갈 수 있다. 사물을 집적하면 사건이 된다. 사물과 사건의 관계를 안다면 사건을 보고 사물을 알 수 있다. 사건의 구조를 보고 사물의 속성을 알 수 있다. 사건은 에너지를 태운 전체다. 사물은 부분이다. 먼저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


    그것이 구조다. 패턴으로 보면 알 수 있다. 작은 것과 큰 것의 패턴은 상동이므로 큰 것을 보고 작은 것을 알고 외부를 보고 내부를 안다. 외부와 내부의 관계를 알아야 외부를 보고 내부를 알 수 있다. 우리는 개인을 관찰하여 사람을 알 수 있다고 믿는다. 천만에. 집단을 관찰해야 개인을 안다.


    인간의 행동은 개인의 고유한 선악에 따른 것이 아니라 집단과의 관계에 따라 선도 되고 악도 되는 것이다. 태어날때부터 어떤 사람은 순도 100의 선을 띠고 태어나고 어떤 사람은 순도 100의 악을 띠고 태어나며 선과 악의 성분비에 따라서 선한 사람이 되거나 악당이 된다고 믿는다면 유치하다.


    고유한 속성은 없으며 집단과의 관계가 결정한다. 노예취급을 받으면 노예행동을 하고 귀족대우를 받으면 귀족행세를 한다. 인간은 타인이 원하는 행동을 하기 마련이다. 단 그 타인이 감정이입과 자기동일시가 되는 집단의 일원인지 타격해야 할 적으로 규정된 타자인지에 따라 차이가 날 뿐이다.


    사물을 모아놓으면 일정한 조건에서 사건이 일어난다. 사건을 관찰해야 한다.세상은 사물의 집합이 아니라 사건의 연결이다. 내부의 속성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와의 관계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다. 잘못된 환경에서 자라면 비뚤어진다. 생선이 소금에 절여지듯 외부가 내부로 침투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11.22 (06:57:37)

"집단을 관찰해야 개인을 안다. 인간의 행동은 개인의 고유한 선악에 따른 것이 아니라 집단과의 관계에 따라 선도 되고 악도 되는 것이다."

http://gujoron.com/xe/1142583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389
5961 쪽팔려 죽은 원술 김동렬 2022-09-26 2729
5960 존재론과 인식론 다시 쓰기 image 1 김동렬 2020-03-28 2733
5959 공화주의와 자유주의 2 김동렬 2020-08-03 2733
5958 구조론은 무엇으로 사는가? 2 김동렬 2021-07-06 2734
5957 에너지의 이해 김동렬 2021-12-13 2734
5956 언어는 연결되고 과학은 재현된다 김동렬 2020-09-23 2737
5955 이재명 문재인 그리고 1 김동렬 2023-03-02 2737
5954 공간의 인과법칙 구조론 1 김동렬 2021-09-21 2738
5953 안우진과 돈룩업 김동렬 2023-03-12 2739
5952 마광수와 화사 김동렬 2023-09-12 2739
5951 세어보기 김동렬 2021-12-20 2740
5950 근본모형을 일으켜라 김동렬 2021-02-27 2741
5949 우주의 방향은 셋이다 김동렬 2021-03-18 2748
5948 최적화 원리 1 김동렬 2019-08-12 2753
5947 생각을 하자 2 김동렬 2022-03-03 2753
5946 뇌는 무엇을 하는가? 2 김동렬 2022-07-11 2753
5945 방향성 1 김동렬 2020-03-25 2755
5944 기본으로 돌아가라 3 김동렬 2019-12-13 2758
5943 노동의 슬픔 김동렬 2023-05-02 2758
5942 예정설과 맞대응설 3 김동렬 2020-02-03 2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