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111 vote 1 2008.09.12 (22:27:35)

 

구조론은 많은 단어들을 새롭게 정의하여 쓴다. 여기서 쓰인 단어의 의미를 국어사전에서 찾으려 하면 실패다. 단어에는 고유한 의미가 없다. 의미는 추상의 구조 안에 세팅되어 있고 거기서 필요한 만큼 뽑아 쓰는 것이다.  

사랑의 의미는 무엇일까? 국어사전에 없다. 사랑은 원리≫개념≫가치≫의미≫사실로 전개되는 추상의 구조 안에서 인간의 생활≫행동≫판단≫인식≫경험의 전개에 따라 존엄≫자유≫소통≫사랑≫행복으로 펼쳐져 나타난다.

● 원리-       입체적 모형은 존엄 : 생활은 미학적인 삶의 양식.
● 개념-모듈화 된 타이틀은 자유 : 행동은 독립적인 일의 단위.
● 가치-    짝짓기의 메뉴는 소통 : 판단은 다양한 접촉면 확보.
● 의미-    링크의 포지션은 사랑 : 인식은 서로 다른 둘의 연결.
● 사실-           추출된 값은 행복 : 경험은 사람마다 다른 칼라.

사랑의 의미는 이러한 구조 안에서 나타난다. 삶의 미학이 없는 사람은 그 사랑도 엷은 것일 수 밖에 없다. 독립적인 행동이 없고, 세상과 맞물린 다각적인 접촉점이 없는 사람의 사랑은 역시 엷은 것이다.  

인간의 생활이 미학적 양식을 얻어 입체적 모형을 이루므로 존엄하다. 그 삶 안에서 개별적인 행동은 여러 동기가 모듈화 되어 독립적인 일의 단위를 이루므로 인간에게 자유가 소중한 것이다.

그 행동을 위한 짝짓기의 판단은 직업의 선택이든, 배우자의 선택이든, 진학의 선택이든, 여러 경우의 수가 한 지점에 동시에 맞물려 다양한 접촉면을 확보하려 하므로 널리 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사랑은 너와 나를 잇는 것이다. 그 연결은 그러한 다면적인 소통을 실현시키는 사랑이어야 진짜다. 행복은 그에 따르는 보상일 뿐이다. 이러한 추상의 구조 안에서 사랑을 이해해야 바르다.

● 존엄의 무거운 밀도≫ 진리로부터 복제된 내 안의 완전성을 찾는다.
● 자유의 커다란 입체≫ 서로 대등한 눈높이에서 독립적인 나를 완성한다.
● 소통의 너른 접촉면≫ 나의 다양한 가능성으로 네 가능성의 전부와 만난다.
● 사랑의 긴     선(線)≫ 나의 최선을 다하여 너의 최선을 끌어낸다.
● 행복의 많은 점(點)≫ 사랑에 의하여 보상되는 결과다.

여기서 편의로 면(面)을 썼지만 면은 인식론 개념이고 각(角)이 정확하다. 소통을 위해서는 세상과의 다각적인 접촉점이 필요하다. 진정한 사랑을 위해서 너와 나는 다양한 방식으로 만나야 한다.

사랑은 나의 최선으로 너의 최선을 끌어내는 것, 너와 나의 다각적인 소통에 의해서 가능하다. 일면의 소통에 치우친다면 진정한 사랑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그러한 다각적인 소통은 독립적인 너와 나의 완성에 의해 가능하다.

그것이 자유다. 부모로부터, 환경으로부터, 모든 제약으로 부터 독립하여 자유로워야만 다각적인 접촉점의 확보는 가능하다. 그것은 존엄에 의해 얻어지며 미학적 삶의 양식의 완성에 의해 도달되고 깨달음에 의해 가능하다.

여기서 표현된 사랑, 소통, 자유 등의 정확한 의미는 이러한 논리공식 안에서 유의미할 뿐이다. 마찬가지로 국어사전의 많은 어휘들도 이러한 논리구조 안에서 새롭게 그 의미가 정의되어야 한다.

www.drkimz.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6032 벤투축구의 승산 1 김동렬 2022-12-04 2470
6031 왜 사는가? 김동렬 2024-01-06 2470
6030 구조론의 가르침 김동렬 2022-02-01 2471
6029 생각을 하자 김동렬 2022-11-16 2471
6028 왜 노무현주의가 뜨는가? 김동렬 2020-10-24 2472
6027 세상에 머저리가 많은 이유 김동렬 2021-12-20 2473
6026 인간의 진실 김동렬 2023-10-07 2473
6025 구조론과 동력원 김동렬 2024-01-01 2473
6024 구조는 만물의 척도다 김동렬 2020-04-11 2474
6023 과학 하기 싫다? 김동렬 2022-01-05 2474
6022 윤석열의 운명 김동렬 2022-05-03 2474
6021 연역의 재현과 귀납의 관측 1 김동렬 2020-03-10 2475
6020 사건을 보고 사물을 안다 1 김동렬 2019-11-20 2479
6019 차원의 해석 image 1 김동렬 2020-04-02 2480
6018 공리주의와 구조론 김동렬 2021-02-03 2480
6017 인생의 의미 김동렬 2022-04-01 2480
6016 조중동의 진실 김동렬 2022-07-09 2481
6015 방향성의 이해 5 김동렬 2022-06-08 2483
6014 이야기의 단초 2 김동렬 2020-03-08 2484
6013 미국이 전쟁에 지는 이유 김동렬 2022-02-17 2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