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700 vote 0 2006.08.09 (10:59:27)

(달마실에 쓴 글입니다.)

여기서 예의 차려봤자 도무지 소용이 없다. 그런거 누가 알아주는 것도 아니고. 중요한건 말이 통하느냐다. 대화가 되는가 혹은 그렇지 않은가.

그 부분은 무엇으로 판단하는가? 미학으로 판단한다. 깨달음은 미학이다. 미학적 소양이 보이지 않으면 깨달음이 없는 것이다.

왜 미학이어야 하는가? 이곳은 질서가 없는 곳이다. 기존의 질서를 존중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어떤 식으로 말하든 자유다.

그러나 대화가 통하지 않으면 제거된다. 미학은 질서가 없는 곳에서 질서를 이끌어내는 능력이다. 그 질서의 씨앗은 자기 내부에서 가져와야 한다.

기존의 질서-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에 순응해도 좋지 않다. 굳이 마찰하며 내 스타일을 고집해도 좋지 않다.

어떤 상황에서든 현장에서 게임의 룰을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은 상대에 따라 눈높이가 다를 수 있다.

좀 아닌 애들은 조낸 패주는 방법으로 다스리고.. 좀 아는 이들은 멍석을 깔아주는 방법으로 대접하는 것이다.

미학과 지식은 어떻게 다른가? 예컨대.. ‘저는 대패질을 못하지만 벽돌은 찍을 수 있는데요’.. 이 양반 고용된다.

반대로.. ‘저는 벽돌은 못찍어도 대패질 하나는 할 수 있는데요.’ 이 양반 역시 취업한다. 그런데 말이다.

‘저는 소설은 못 써도 글자는 매우 잘 쓰는데요.’ 이 양반 짤린다. 집은 못지어도 대패질이나 벽돌일로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소설은 못 쓰는데 글자는 이외수 만큼 쓸줄 안다는 양반 소설 못 쓴다. 즉 예술에 있어서는 부분적인 기여를 안쳐주는 것이다.

그것은 귀납과 연역의 차이다. 깨달음은 연역이다. 연역은 자동차를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하는 것이다.

자동차를 조립하는 데는 부분적인 기여가 인정받는다. 문짝만 잘 달아도 고용이 되고 나사만 잘 조여도 취업이 된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데는 부분적인 기여가 인정되지 않는다. ‘저는 핸들은 못잡아도 브레이크 하나는 끝내주게 잘 밟는데요’.. 이 양반 면허취소다.

예술은 연역이고 미학은 연역이다. 운전은 연역이다. 깨달음은 연역이다. 연역은 전체과정을 동시에 통일하는 것이다.

학문적 지식은 귀납이다. 부분적 지식이라도 쳐준다. 인식에는 지각, 수용, 분석, 종합, 응용의 단계들이 있고 이 중 하나만 알아도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깨달음은 연역이다. 전체과정을 꿰뚫지 않으면 참여할 수 없다. ‘스케치는 못해도 잉크칠은 할 수 있는데요’.. 이 양반 화가가 못된다.

내가 보는 것은 현장에서 즉시 룰을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이다. 그 룰은 정해져 있지 않다. 상대가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원래 이런 룰이 정해져 있다. 이 룰대로 가야한다’고 우기는 사람은 안쳐준다. 그런 사람은 미학이 없는 사람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6207 아리스토텔레스가 본 것 김동렬 2022-02-18 2270
6206 벤투축구의 수수께끼 김동렬 2022-11-29 2270
6205 도구가 있어야 한다. 2 김동렬 2020-08-27 2271
6204 위기의 본질 김동렬 2022-05-15 2272
6203 계 체 각 선 점 김동렬 2020-12-16 2273
6202 인류원리 7 김동렬 2023-09-29 2273
6201 노동의 슬픔 김동렬 2023-05-02 2274
6200 책상물림 지식인의 환상 김동렬 2022-03-27 2275
6199 구조론의 개요 1 김동렬 2019-08-16 2280
6198 부름과 응답 김동렬 2023-07-13 2281
6197 신유물론 김동렬 2022-10-25 2282
6196 구조론 3분 스피치 김동렬 2023-03-25 2284
6195 열쇠와 자물쇠 김동렬 2022-06-16 2286
6194 구조와 자연 3 김동렬 2019-11-07 2287
6193 윤석열의 망언 김동렬 2022-12-05 2287
6192 자연에 차원은 없다. 1 김동렬 2020-03-01 2288
6191 양향자의 배신 1 김동렬 2022-04-27 2289
6190 협살에 걸렸다 김동렬 2023-09-11 2289
6189 구조론의 차원개념 김동렬 2020-12-10 2290
6188 자궁과 도구 1 김동렬 2021-11-26 2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