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아다리님의 글을 읽고 느낀점 입니다.)

공포의 반복, 연장상영, 혹은 시리즈화를 고통이라고 부를 수 있지않을까?
그런 점에서 에이리언 시리즈는 정말 고통스럽다.
이 공포는 결코 대항할 수 없는 절대우위적 파워를 지닌 자(에이리언)의 침략에서 상정되며,
절망과 희망의 극단을 오르내리면서 우리의 생존력을 시험한다.

그냥 이대로 뛰어내릴까..
요란한 겉포장과는 달리 유달리 생존력이 약한 우리의 미해병대들은 공포에 질린 나머지 자진해서 절망의 신에게 자신을 헌납해버린다.
물론 이 대목은 공포의 가공할 파워를 홍보하기 위한 장치일테이지만..

에이리언은 우리에게 마지막, 궁극의 한가지 질문을 던진다.
너, 이래도 계속 까불거니?
봉쇄된 절망과 지칠줄 모르는 고통의 변주를 듣고서도, 나름의 희망을 동원한 정돈된 삶을 동경하니? 하고 되뇌인다.
영화는 우리의 삶에 대한 조잡스러움과 죽음앞에서의 비겁함을 마음껏, 끊임없이 조롱한다.
값비싼 댓가를 치르며 2시간동안 스크린의 볼모로 앉아있을 수 밖에 없는 우리가 마침내 더없이 초라해질때, 영화는 본래의 의도된 목적을 달성한다.

너희의 그 고상한 권리 따위는, 기껏 죽음하나 어쩌지 못하는 비루한 생명알갱이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무자비한 공포채널로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고통은 결코 소통되지 않는다.
고통은 우리의 모든 감각과 사고를 기능정지시키며 무의미의 세계로 내팽개쳐버리기 때문이다.
이 절망적인 순간에 우리의 취할바가 무엇인가?의 질문을, 한편의 영화도 부족해서 시리즈로 던지고 있다.

결국 이 영화에서 내가 찾은 소통의 방법은, 고통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고통 자체가 될 수 밖에 없다는 거다.
고통을 옹호하고 고통을 자기속에 함유하며, 마지막 안전지대마저 내놓는 것..
이것만이 고통으로부터 나를 지킬수 있다는 메시지다.
그래서 마침내 그녀는 마지막 작품에서 고통의 신으로 부활했다.

고통을 적대하건 광신하건,
그것과 대립하여 안전을 구하는 순간 절망의 골짜기로 굴러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런점에서 에이리언은 고통(또는 미지)를 끌어안기 위해 모색하는 영화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819 기독교는 무엇인가? 1 김동렬 2007-09-21 14683
1818 서프 논객들이 증발한 이유 김동렬 2007-09-20 15813
1817 그리스인처럼 사유하라 김동렬 2007-09-19 11808
1816 왜 지금 전여옥이 문제인가? 김동렬 2007-09-17 15683
1815 내가 유시민을 지지하는 이유 김동렬 2007-09-15 15748
1814 무리한 단일화 압박 옳지 않다. 김동렬 2007-09-14 15230
1813 질문과 답변 김동렬 2007-09-13 12969
1812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09-13 11130
1811 노무현 대통령은 왜? 김동렬 2007-09-13 16483
1810 학문의 역사를 내면서 김동렬 2007-09-11 16479
1809 유시민과 멧돼지가 골프를 치면 김동렬 2007-09-05 15251
1808 민노당이 사는 법 김동렬 2007-09-04 14181
1807 알지 못하는 이유는 김동렬 2007-09-04 15942
1806 기독교의 인과응보 김동렬 2007-08-31 15980
1805 마지막 말 김동렬 2007-08-30 16792
1804 전여옥 때문에 김동렬 2007-08-29 15350
1803 김석수, 류가미들의 폭력 김동렬 2007-08-28 16564
1802 그래. 논객자격을 위조했다. 어쩌라고. 김동렬 2007-08-26 16592
1801 강금실이 나와야 이야기가 된다 김동렬 2007-08-23 13091
1800 최수종과 주영훈보다 나쁜 것 김동렬 2007-08-22 16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