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8513 vote 0 2009.02.18 (09:51:37)

 

신과 인간

신(神)은 사(私)가 아니라 공(公)의 존재다. 인간이 세포들의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신은 신의 세포들의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인간은 잘해야 그 신의 작은 세포 하나가 될 수 있을 뿐이다.

신은 국가나 민족, 네티즌처럼 하나의 그룹 개념이다. 시공간 안에서 특정하여 따로 분리해낼 수 있는 '그놈'이 아니다. 어떤 경우에도 신과 인간은 ‘너와 나’로 대등한 일대일 관계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인간이 신을 상대함은 어떤 동아리, 범주, 그룹을 상대할 때와 같아야 한다. 신이 방송국이라면 인간은 라디오와 같다. 신과 인간의 관계는 라디오 대 라디오의 수평적 관계가 아니다.

그러니 그대 밤새 기도해봤자 아무런 의미가 없다. 라디오와 라디오는 소통하지 못한다. 자연에서 수평적 소통은 없다.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이 자연에서 소통은 언제라도 아래로 내려갈 뿐이다.

그러므로 의지는 신에게서 인간에게로 흐를 뿐 인간에게서 신으로 역류하지 않는다. 방송국과 라디오는 소통하지만 일방적이다. 방송국은 라디오에 전파를 송출하지만 라디오는 방송국에 송신하지 못한다.

신은 인간을 이용하지만 인간은 신을 이용하지 못한다. 방법은 인간이 스스로 방송국이 되는 수 밖에 없다. 그것이 깨달음이다. 라디오인 그대가 또다른 라디오들을 거느리고 방송국의 포지션으로 올라서야 한다.

세상 앞에서 자기 자신의 독립적인 채널을 개설하고 낳음의 존재, 창조적인 존재로 거듭나야 한다. 비로소 완전해진다. 신의 일부인 인간이 신의 세포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세포가 된다. 신의 일원이 된다.

KBS나 MBC는 방송국이고 네티즌들은 라디오로 그 방송을 듣는다. 방송국의 의지는 라디오를 통하여 네티즌에 전달되지만 네티즌의 의지는 방송국에 전달되지 않는다. 가끔 시청자 엽서를 받아준다지만 현혹되지 말라.

네티즌이 아프리카에 방송을 개설하고 전파를 송출하면 그 네티즌의 목소리는 KBS나 MBC에 전달될 뿐 아니라 스스로 그 방송집단의 일원이 되는 것이다. 인간이 신과 소통하는 방식은 그 뿐. 신의 역할을 나눠가지기.

국가로부터 무언가를 얻어내려 할 것이 아니라 국가의 일원인 당신이 그 국가를 위하여 무언가 기여해야 한다. 신에게서 무언가를 얻어내려 할 것이 아니라 신의 일원인 당신이 신을 위하여 기여해야 한다.

인간은 신에게 기여한 만큼 발언권을 가지게 된다. 그대가 개설한 독립적인 채널의 크기만큼, 낳음의 크기만큼 신은 응답한다. 신은 실로 당신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고 있는 것이 아니라 행동을 주시하고 있다.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11 왜 사는가? 7 김동렬 2009-07-31 19627
2010 아우라(aura)란 무엇인가? 6 김동렬 2009-07-27 16257
2009 그림으로 본 구조론 image 5 김동렬 2009-07-22 14587
2008 7월 14일 동영상 풀이 2 김동렬 2009-07-13 13895
2007 지적 암살정국 4 김동렬 2009-07-07 14818
2006 합리적인 조직이란? 10 김동렬 2009-06-26 14776
2005 유승준 문제 6 김동렬 2009-06-16 15249
2004 아줌마옷 수수께끼 image 8 김동렬 2009-06-11 25709
2003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1814
2002 6월 7일 구조론 강의 5 김동렬 2009-06-05 11992
2001 월요일 동영상 해설 김동렬 2009-06-02 15944
2000 동영상 강의 2 김동렬 2009-06-01 15700
1999 인간의 본성 6 김동렬 2009-05-27 15358
1998 인간 노무현의 운명 10 김동렬 2009-05-25 16588
1997 아래 글에 부연하여.. 김동렬 2009-05-20 15613
1996 퇴계와 구조론 11 김동렬 2009-05-18 13456
1995 예술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9-05-16 16586
1994 구조론에서 현대성으로 김동렬 2009-05-13 13922
1993 구조체의 판정 그림 image 김동렬 2009-05-08 15518
1992 구조체의 판정 1 김동렬 2009-05-08 12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