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13 vote 0 2019.08.20 (16:35:28)


    세상은 사건이다. 사건은 연결된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사건은 사물에 대해서 사건이다. 사물은 그저 존재한다. 사물은 낱낱이 조사해봐야 알 수 있지만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서로 연결되므로 하나를 알면 열을 알 수 있다. 머리를 알면 꼬리를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희망적이다.


    세상은 에너지다. 에너지는 계를 이룬다. 에너지는 계에 갇히므로 통제할 수 있다. 에너지는 물질에 대해서 에너지다. 물질은 형태가 있으므로 낱낱이 조사해봐야 알 수 있지만 에너지는 형태가 없는 대신 계를 이루고 입력과 출력이 있으므로 에너지의 입구와 출구를 틀어막으면 계 안에서 법칙대로 간다.


    세상은 구조다. 구조는 얽혀 있다. 공간과 시간이 얽혀 있으므로 공간을 알고 시간을 헤아릴 수 있으며 시간을 알고 공간을 헤아릴 수 있다. 구조의 공간과 시간 중에서 하나를 알면 나머지 하나를 추적할 수 있다. 구조는 속성에 대해서 구조다. 물질은 고유한 속성이 있지만 에너지는 보편적 구조가 있다.


    물질의 속성은 물질마다 다르다. 소금은 짜고 설탕은 달다. 구조는 만유가 동일한 플랫폼을 사용하므로 다르지 않다. 모든 구조는 대칭을 쓴다. 대칭은 둘이 쌍을 이룬다. 이쪽에 없으면 반드시 저쪽에 있다. 이쪽과 저쪽의 대칭이다. 거리를 좁히면 속도가 빨라진다. 거리를 잃고 대신 속도를 얻은 것이다.


    이것이 일어서면 저것도 일어선다. 이것이 사라지면 저것도 사라진다. 이것과 저것 안에 있으므로 우리는 추적할 수 있다. 세상은 사물이 아니고 물질이 아니고 속성이 아니다. 그러므로 낱낱이 추적할 필요가 없다. 세상은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다. 만유는 대칭이라는 하나의 플랫폼을 사용한다.


    최소작용의 원리에 따라 에너지는 효율성을 따르고 엔트로피의 원리를 따라 일방향성을 가지므로 우리는 사건에 개입할 수 있고 에너지를 통제할 수 있다. 구조를 조작할 수 있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꼬리와 꼬리 사이에 마디가 있다. 그사이에 완전성이 있다. 시작점과 끝단이 있다.


    머리와 꼬리가 있다. 엔진과 바퀴가 있다. 기관차와 객차가 있다. 그 마디들 사이에 개입하여 통제할 수 있다. 하나를 알아서 열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희망적이다. 세상이 딱딱하게 고착된 물질이 아니라 부드럽고, 움직이는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이고, 대칭이라는 점은 인류에게 좋은 소식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8.22 (04:47:37)

"세상이 딱딱하게 고착된 물질이 아니라 부드럽고, 움직이는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이고, 대칭이라는 점"

http://gujoron.com/xe/111628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6401 현대차가 도요타를 제치는가? 김동렬 2023-07-18 2587
6400 윤석열의 점령군 정치 김동렬 2023-07-17 2376
6399 하나가 더 있다 김동렬 2023-07-17 2040
6398 충청도 죽이기 김동렬 2023-07-16 2359
6397 완전성의 세계관 김동렬 2023-07-15 2159
6396 교권붕괴가 학교폭력 원인이다 1 김동렬 2023-07-14 3221
6395 궁예와 견훤의 진실 김동렬 2023-07-14 2252
6394 마크 저커버그 승 일론 머스크 패 김동렬 2023-07-13 2420
6393 부름과 응답 김동렬 2023-07-13 2336
6392 진보의 본질은 지정학이다 김동렬 2023-07-12 3833
6391 명령 김동렬 2023-07-11 2921
6390 단위 김동렬 2023-07-11 2776
6389 유시민이 똑똑해졌다 김동렬 2023-07-10 3717
6388 전율하라 김동렬 2023-07-09 3563
6387 차별본능의 극복 김동렬 2023-07-09 2656
6386 밸런스의 힘 김동렬 2023-07-09 2351
6385 구조 속의 구조 김동렬 2023-07-08 2264
6384 구조가 다섯인 이유 김동렬 2023-07-07 3211
6383 구조는 왜 다섯인가? 김동렬 2023-07-06 3139
6382 사냥꾼의 관점 김동렬 2023-07-06 2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