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아다리님의 글을 읽고 느낀점 입니다.)

공포의 반복, 연장상영, 혹은 시리즈화를 고통이라고 부를 수 있지않을까?
그런 점에서 에이리언 시리즈는 정말 고통스럽다.
이 공포는 결코 대항할 수 없는 절대우위적 파워를 지닌 자(에이리언)의 침략에서 상정되며,
절망과 희망의 극단을 오르내리면서 우리의 생존력을 시험한다.

그냥 이대로 뛰어내릴까..
요란한 겉포장과는 달리 유달리 생존력이 약한 우리의 미해병대들은 공포에 질린 나머지 자진해서 절망의 신에게 자신을 헌납해버린다.
물론 이 대목은 공포의 가공할 파워를 홍보하기 위한 장치일테이지만..

에이리언은 우리에게 마지막, 궁극의 한가지 질문을 던진다.
너, 이래도 계속 까불거니?
봉쇄된 절망과 지칠줄 모르는 고통의 변주를 듣고서도, 나름의 희망을 동원한 정돈된 삶을 동경하니? 하고 되뇌인다.
영화는 우리의 삶에 대한 조잡스러움과 죽음앞에서의 비겁함을 마음껏, 끊임없이 조롱한다.
값비싼 댓가를 치르며 2시간동안 스크린의 볼모로 앉아있을 수 밖에 없는 우리가 마침내 더없이 초라해질때, 영화는 본래의 의도된 목적을 달성한다.

너희의 그 고상한 권리 따위는, 기껏 죽음하나 어쩌지 못하는 비루한 생명알갱이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무자비한 공포채널로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고통은 결코 소통되지 않는다.
고통은 우리의 모든 감각과 사고를 기능정지시키며 무의미의 세계로 내팽개쳐버리기 때문이다.
이 절망적인 순간에 우리의 취할바가 무엇인가?의 질문을, 한편의 영화도 부족해서 시리즈로 던지고 있다.

결국 이 영화에서 내가 찾은 소통의 방법은, 고통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고통 자체가 될 수 밖에 없다는 거다.
고통을 옹호하고 고통을 자기속에 함유하며, 마지막 안전지대마저 내놓는 것..
이것만이 고통으로부터 나를 지킬수 있다는 메시지다.
그래서 마침내 그녀는 마지막 작품에서 고통의 신으로 부활했다.

고통을 적대하건 광신하건,
그것과 대립하여 안전을 구하는 순간 절망의 골짜기로 굴러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런점에서 에이리언은 고통(또는 미지)를 끌어안기 위해 모색하는 영화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2581 나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3-02-26 10254
2580 신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3-02-25 14012
2579 국어사전이 범인이다 image 2 김동렬 2013-02-19 11227
2578 욕망의 5단계 image 1 김동렬 2013-02-17 12372
2577 세 법 술의 경제학 1 김동렬 2013-02-15 10026
2576 능력과 매력의 함수관계 image 3 김동렬 2013-02-13 10891
2575 법륜스님의 한겨레 칼럼에 대하여 17 김동렬 2013-02-09 13360
2574 깨달음의 언어 image 1 김동렬 2013-02-07 10011
2573 시를 제대로 쓰는 방법 김동렬 2013-02-06 16558
2572 라이프 오브 파이 image 8 김동렬 2013-02-04 35310
2571 수직구조와 수평구조 image 2 김동렬 2013-02-01 14286
2570 강호동의 좌절 image 2 김동렬 2013-01-31 11227
2569 합리주의 그리고 부조리 image 10 김동렬 2013-01-30 11824
2568 왜 부조리인가? image 6 김동렬 2013-01-29 10797
2567 부조리란 무엇인가? image 6 김동렬 2013-01-29 12870
2566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3-01-26 11477
2565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생각방법 image 12 김동렬 2013-01-23 12752
2564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지식 image 19 김동렬 2013-01-21 13493
2563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3-01-19 22104
2562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