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783 vote 0 2016.01.12 (11:43:18)

     

    과학에서의 발견과 성취가 문화적 환경의 변화를 낳고, 환경의 큰 변화가 역사의 큰 사건을 낳고, 역사의 큰 사건이 인류의 큰 철학을 낳는다. 20세기는 진보도 성큼성큼 큰 걸음이었고, 사건도 난리 터지는 대사건이었다. 철학자도 큰 목청을 가졌다. 지금은 다들 소심해졌다. 아기나 얼르며 얼럴러까꿍 한다. 심지어 그걸 철학이라고 한다. 그렇다! 철학이 죽은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다. 슬프다! 누가 큰 목소리로 말해줘야 한다. ‘그건 철학이 아냐. 이 시대의 실패를 반영하는 슬픈 자화상에 지나지 않아. 현실이 망가졌다고 넋마저 빼놓고 다니지는 말아.’ 이런 일갈이 필요하다. 가능한가? 가능하다. 새로운 철학의 자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스마트 시대다. 계절이 바뀌면 일기예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시대가 바뀌면 누군가는 새로운 진보의 방향을 말해줘야 한다. [생각의 정석 30회]


    종은 환경이 바뀔때마다 거기에 맞는 새로운 환경과의 상호작용 형태를 도출해 왔다. 그것이 진화다. 진보 역시 바뀐 시대적 환경에 걸맞는 새로운 상호작용의 형태를 도출해야 한다. 20세기는 자동차 환경과 전자환경이 이끌었다면 21세기는 스마트 환경으로 출발하고 있다. 자동차 환경의 정답은 운전기사의 양성이고 전자환경의 정답은 역량있는 PD의 발굴이다. 스마트 환경의 정답 역시 70억 인류를 통합시킨 단일한 뇌가 연출하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를 양성하는 것이다. 원시 부족민은 사냥한 고기를 나눌 수 있는 지도자가 필요했고, 농경시대 봉건인은 삼림을 벌채하고 얻은 토지를 나눌 수 있는 지도자를 키워야 했다. 중세의 덕목은 기마병을 이끌 수 있는 지도자에게 맞춰졌고, 근세의 덕목은 원양항해를 책임질 선장에 맞춰졌다. 그것이 그 시대의 철학이다. 인류의 진보는 이동기술의 진보이며 한편으로 그에 따른 통합기술의 진보이다. 이동의 단위, 통합의 단위가 한 단계씩 도약할때마다 거기에 걸맞는 지도자를 철학은 배출해야 한다.


[레벨:30]솔숲길

2016.01.12 (11:57:12)

[생각의 정석 30회] 창의하는 방법을 알려주마!

http://gujoron.com/xe/453861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698 닫힌계에 대해서 3 김동렬 2018-01-19 11661
2697 김미경들의 자기차별 image 김동렬 2013-03-20 11666
2696 지구는 돌지 않는다 image 2 김동렬 2018-04-04 11667
2695 탑을 잡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1-11-18 11680
2694 시간을 조직하라 image 6 김동렬 2014-02-13 11684
2693 에너지의 통제가능성에 주목하라 image 1 김동렬 2017-10-29 11684
2692 창의하기의 첫번째 원칙 image 1 김동렬 2011-12-05 11686
2691 진화의 완성 김동렬 2007-02-08 11691
2690 탑 포지션을 잡는 방법 image 4 김동렬 2011-12-29 11704
2689 신은 이렇게 말했다 image 2 김동렬 2018-04-07 11718
2688 전여옥 현상에 대하여 김동렬 2006-02-26 11721
2687 왜 나는 분노하는가? 김동렬 2006-05-14 11728
2686 스티브 잡스의 성공 공식 6 김동렬 2011-10-21 11729
2685 비판적 지식인상과 이상주의적 지식인상 image 김동렬 2006-12-01 11730
2684 구조론은 맞는 말이다 image 5 김동렬 2018-01-14 11730
2683 도가도 비상도의 오류 image 7 김동렬 2013-05-29 11731
2682 권력의 시장가격 image 김동렬 2016-11-25 11732
2681 창작 하는 방법 image 3 김동렬 2012-01-06 11736
2680 원효의 깨달음 image 3 김동렬 2018-05-07 11737
2679 진리의 보편성과 일반성 image 8 김동렬 2015-02-15 11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