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738 vote 0 2015.03.31 (23:45:30)

     

    대칭이란 무엇인가?


    세상은 구조다. 구조는 대칭이다. 세상은 온통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각기 짝지어져 있다. 각자 파트너가 있다. 대칭이라고 하면 점대칭, 선대칭, 면대칭 정도가 검색된다. 대칭을 단순히 수학적 개념으로만 이해한다면 콘텐츠 빈곤이다. 건반이 많아야 음악이 되고 색깔이 많아야 그림이 된다.


    대칭은 동양의 음양론에서 발달한 개념이며, 서양인들에게는 익숙지 않은 개념이다. 동양철학이 상대성의 철학이라면 서양철학은 절대성의 철학이다. 기독교라면 창세에서 말세까지 일직선이다. 반면 동양사상은 공자의 중용, 석가의 중도, 노자의 도道 할 것없이 중간에서 눈치를 보는 상대주의다.


    구조론은 절대성 아래에 상대성을 둔다. 절대성이나 단단한 입자의 절대성이 아니라 부드러운 양자의 절대성이다. 내부에 상대성을 갖춘 절대성이다. 상대성은 역설을 낳는다. 구조론은 이중의 역설이다. 상대성 위에 또다른 상대성이 있으므로 다시 절대성으로 돌아오지만 애초의 절대성과 다르다. 딱딱한 알갱이의 절대성이 아니라 바둑의 정석과 같이 부드러운 법칙의 절대성이다.


    문제는 숫자가 너무 많다는 거다. 빈부, 흥망, 승패, 출입, 명암 등으로 찍지어져 대칭을 나타내는 한자어를 모으면 1천 단어를 넘을 것이다. 체계화 해서 대칭개념의 수를 줄여야 한다. 바둑의 정석이 너무 많아도 피곤하다. 축구는 포메이션이 너무 많으면 안 되고 야구라도 작전이 너무 많으면 안 된다.


    혼돈을 질서로 바꾸어야 한다. 서유기처럼 에피소드가 너무 많아도 번잡해서 걸작이 못 된다. 삼국지만 해도 인물이 너무 많아서 골치가 아프다. 추릴 것을 추려야 한다. 분류의 방법을 도입할 수 있다. 대칭은 사건, 사물, 공간, 시간, 속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사건대칭 – 인과, 문답, 개폐, 매매, 생사, 모순, 동정
    ◎ 사물대칭 – 산수, 남녀, 일월, 명암, 농담, 초목, 수미
    ◎ 공간대칭 – 좌우, 상하, 원근, 고저, 장단, 경중, 심천
    ◎ 시간대칭 – 주야, 춘추, 전후, 신구, 고금, 선후, 완급
    ◎ 속성대칭 – 애증, 미추, 선악, 화복, 곡직, 강유, 희비


    사건대칭이 중요하다. 인과율이 대표적이다. 구조론은 원인과 결과의 인과대칭을 존재론과 인식론, 연역과 귀납,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 엔트로피와 질량보존, 양자와 입자의 대칭으로 확장한 것이다. 사건의 대칭을 모르고는 세상을 이해할 수 없다. 이들은 여러 가지로 표현되어도 실상 하나다.


    열거한 대칭개념들은 중국어로 된 두 단어를 합쳐서 하나의 단어로 부르는 것이다. 한국인에게는 두 글자씩 짝지어진 것이 익숙하지만 기미독립선언서만 읽어봐도 한 글자로 된 한자어가 무수히 등장한다.


   111.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9]무득

2015.04.01 (10:16:16)

서양인들이 대칭 개념의 동양 사상을 이해하려면 시간이 좀 걸릴 듯,

elevator - 올라가기만 하죠.  exit - 나가기만 하죠.

특히 한국인에게는 다른 나라에 없는 뭔가 있는듯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4.01 (10:19:26)

좋은 표현이네요. 써먹어야겠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113 창의하는 방법 image 1 김동렬 2015-05-10 9148
3112 다양성과 획일성 image 2 김동렬 2015-05-09 6826
3111 구조값을 판단하라 image 2 김동렬 2015-05-07 5875
3110 생각을 잘 하는 방법 image 5 김동렬 2015-05-06 9055
3109 세, 법, 술로 이기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5-06 6276
3108 시스템으로 이해하기 image 김동렬 2015-05-05 5861
3107 세상은 짜고 치는 고스톱 image 김동렬 2015-05-05 6823
3106 용기있는 자가 진리를 본다 image 4 김동렬 2015-05-04 6680
3105 창조론의 슬픔 image 9 김동렬 2015-05-03 6214
3104 사랑이냐 권력이냐? image 10 김동렬 2015-05-01 7201
3103 구조를 조립하라 image 2 김동렬 2015-04-30 5473
3102 대칭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4-29 6891
3101 토기장이의 비유 image 4 김동렬 2015-04-29 6412
3100 구조론이 쉬운 이유는? image 7 김동렬 2015-04-28 5570
3099 남자가 실패하는 이유 image 김동렬 2015-04-27 6287
3098 프랙탈의 동형복제 image 2 김동렬 2015-04-26 5460
3097 수렴모형이냐 확산모형이냐? image 2 김동렬 2015-04-25 7456
3096 세상은 이렇게 만들어졌다. image 17 김동렬 2015-04-24 6736
3095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image 2 김동렬 2015-04-23 5709
3094 대결하지 말라 image 김동렬 2015-04-21 5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