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4548 vote 1 2010.12.08 (10:17:20)

123ㄹ.JPG 


12월호 뉴튼지에 뇌의 메커니즘에 대한 특집이 있는 모양이오.
서점에 들러 찾아보기요.

12w.JPG

사람의 뇌는 서서히가 아니라 폭발적으로 진화하였다고 되어 있소.
이는 구조론이 노상 강조하여 말하는 바와 일치하오. 구조는 집적하여 모듈을 만들므로
모든 진화는 폭발적으로 일어나고 서서히 일어나는 진화는 밸런스를 깨뜨리므로 배척되게 되어 있소.
패턴이 모여 포지션을 이루고, 포지션이 모여 밸런스를 이루고, 밸런스가 모여 메커니즘을 이루며,
메커니즘이 집적되어 시스템을 건드리는 단계까지 왔을 때 모듈의 교체 형태로 비약적인 진화를 이루게 되오.

12ㄴㄷ.JPG

 
최초의 언어는 학계의 정설로 되어 있는 '자의성설'(그냥 누군가 임의로 단어를 지어낸다는 것이 자의성설)
대로가 아니라 인간의 신체동작을 모방하여 만들어졌다고 되어 있소. 이는 필자의 언어진화론과 일치하오.
동작을 모방하여 동사(형용사)가 먼저 만들어졌고, 명사는 나중에 따라온 것이오. 학계의 정설이 틀렸고
필자가 10년 전에 주장한 것이 지금 입증되고 있소. 외국어교육도 이 원리에 맞게 시행하면 우리가
영어문제로 골머리 앓을 필요가 없소. 효과대비 비용과 에너지를 1/5로 줄일 수 있소. 영어사전의
수만 단어들은 어문 넘이 걍 지어낸 것이 아니라 최초의 100여가지 신체동작이 진화한 것이오.
먼저 신체동작을 익히고, 그 언어 진화의 순서대로 학습을 해야 효과 백배요.

구조론은 학계의 최신이론을 몇 년 혹은 몇 십년 앞질러 가고 있소.
그 점에 대해 자부심을 가져도 좋소.

지금이라도 한국의 학자들이 구조론에 체계적인 관심을 가진다면 우리가 세상을 바꿀 수 있소.
이 사람들은 주로 관찰과 실험을 통하여 귀납적으로 접근하지만, 구조론은 연역적으로 접근하고
미리 예견을 하오. 농부는 땅을 파보지 않고도 땅 속에 고구마가 어디쯤 있는지 알고, 광부는 묵묵히
금맥을 따라가서 금을 캘 뿐이오. 실험? 관찰? 필요없소. 다 맥이 있고, 결이 있고, 길이 있는 것이오.
보고 안다면 초딩이오. 구조론은 안 보고 그냥 아는 것이오. 구태여 기계를 분해하고 자시고 할 것
없이 모듈의 원리를 사용하면 통짜덩어리 그대로 알 수 있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6]지여

2010.12.08 (11:32:25)

분해해 보고.. 실험... 관찰 .. 노예들이 주인 따라 하기오. 영원히 노예 못벗어나오
좋은 예가 있오. 천연두 사라지게 한  제너의 바이러스 퇴치를
실험 증명 허가 이런 식이었다면  지금 마주치는 사람들 얼굴  절반은 곰보(마마 자국)일거요 . 아직도 천연두와 싸우고 있을게오. 
(제너는 임상실험 없이 확신을 가지고 보기에도 흉칙한 소의 고름을 주사기에 넣어 환자  주변가족 친지에게 주사했더랬오)

개인취미생활차원으로 공부하는 수학 물리... 시간 공간 제로 무 빛 등..  구조론이 지평를 넓혀주어 고마웠는데
잡지도 낮익은 거라 반가웠오.... 올해초 뉴우튼 2월호 읽다가 연전에 글(선은 점의 합이 아니다)을 생각나게 한  페이지오  

img120.jpg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담

2010.12.08 (14:23:47)

인류가 인식하는 과학으로도 이정도는 하게되었다는 것은, 사유의 폭발적 진화가 임박했다는 것.

구조 발견이 구조어 발명으로 이어지고 있으니 여긴 이미 폭발 중.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334 사랑의 정석 36, 깨달음의 소리 image 1 김동렬 2016-01-20 4589
3333 공자 이후에 공자가 없었다 image 김동렬 2016-01-19 4935
3332 사랑의 정석 35, 불만없이 진보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1-19 4744
3331 신영복 선생의 완전성 image 김동렬 2016-01-18 6226
3330 사랑의 정석 34, 합리적인 선택 1 김동렬 2016-01-18 4704
3329 이 시대에 왜 공자인가? 김동렬 2016-01-16 5482
3328 왜 완전성인가? 2 김동렬 2016-01-15 4862
3327 사랑의 정석 33, 악은 없다 1 김동렬 2016-01-15 5194
3326 사랑의 정석 32회, 철학의 세 질문 1 김동렬 2016-01-14 4730
3325 소승 대승 돈오 image 김동렬 2016-01-14 5227
3324 철학사전 개괄 1 김동렬 2016-01-13 5510
3323 사랑의 정석 31, 이기는 팀에 들기 1 김동렬 2016-01-13 4772
3322 공자는 누구인가? 1 김동렬 2016-01-12 5733
3321 사랑의 정석 30, 철학의 의미 1 김동렬 2016-01-12 4692
3320 공자의 권위주의 대 노자의 무정부주의 image 1 김동렬 2016-01-10 5417
3319 공자와 노자 김동렬 2016-01-09 5216
3318 깨달음은 돈오인가 증득인가? 7 김동렬 2016-01-09 5442
3317 공자와 소크라테스 3 김동렬 2016-01-08 5829
3316 사랑의 정석 29,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16-01-08 4682
3315 구조론 철학사전 마지막 김동렬 2016-01-07 4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