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909 vote 0 2016.01.04 (17:48:33)

     

    진리 - 세상은 모두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인간의 일은 그 연결된 전체를 바라보고 중심으로부터 가지를 쳐나가는 방향이라야 바르다.


    가치 – 기승전결로 이어가는 일의 마디들을 연결하는 짝짓기다. 가치있는 것은 잘 짝지어진 것이며 무가치한 것은 잘못 짝지어지는 것이다.


    의미 - 일이 다음 단계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다. 하던 일이 중간에 멈추면 허무하다. 실패한다 해도 전체의 확률에 기여하면 의미있다.


    맥락 - 기승전결로 이어가는 일의 연결관계로 바라보는 관점이다. 같은 일이라도 언제 어디서 왜 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개념 - 사건의 기승전결 전체를 보고 판단한 인식내용이다. 눈에 보이는 공간의 대상에 현혹되지 말고 주제파악, 분위기파악부터 해야 한다.


    관념 - 사실이 관측자를 만나면 관념이고 사건으로 발달하면 개념이다. 플라톤의 관념 이데아는 진리를 의미한다. 신을 의미하기도 한다.


    깨달음 - 자연의 패턴복제 능력이다. 자연은 패턴복제로 이루어졌다. 인간의 언어감각 속에 깨달아야 할 자연의 패턴복제 능력이 숨어 있다.


    철학 - 의사결정능력을 배운다. 본래 철학은 학문을 의미했는데 지금은 결정된 사항을 실행하는 과학과 대비되어 의사결정능력을 의미한다.


    과학 - 철학이 결정하면 과학이 과제별로 실행한다. 미학은 철학과 과학의 과정을 특정한 대상에 반영한다. 철학의 각론이 과학이다.


    미학 – 철학의 결정과 과학의 실행을 디자인이든 건축이든 문학이든 개인의 삶의 스타일이든 어느 한 분야에 적용하면 그것이 미학이다.


    신神 – 세상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진리를 전제로 통합된 전체의 대칭성을 찾아 의사결정할 때 나와 대칭을 이루는 대상이 신이다.


    도道 – 삶의 양식인 문화의 근거를 자연의 진리에서 찾을 때 자연법칙인 성性과 사회법칙인 교敎를 가운데서 연결하는 연역원리가 도道다.


    도덕 – 도가 자연의 본성이라면 덕은 인간 자신에게 내재된 본성이다. 혹은 도가 사회성 측면의 본성이라면 덕은 개인적 측면의 본성이다.


    윤리 – 자연법칙에 맞는 인간의 사회적 행동원리다. 윗사람과 아랫사람의 서열을 정할 수도 있고 반대로 평등을 강조할 수도 있다.


    학문 – 집단지성을 이루는 시스템적 지식이다. 개인의 아이디어가 지식이라면 그 지식을 타자와 호환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학문이다.


    지성 – 지식을 창안하고 운용하는 능력이다. 자연의 사실을 수동적으로 학습하는게 아니라 스스로 지식을 창안하고 펼치며 지배한다.


    이성 –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파악하여 판단하고 결정하는 능력이다. 연역적 사유를 하는 능력이며 인간의 언어적 본성에 기초한다.


    감성 – 외부환경으로부터의 정보를 입수하고 반응하며 증폭하고 전파하고 공유하며 이를 자신에게로 되돌려 지속시키는 능력이다.


    자연 – 자체 에너지와 이에 따른 질서에 의해 스스로 진화하고 발전하는 즉 에너지 확산방향으로 전개하는 우주의 동적 속성이다.


    문명 – 문명은 인간의 집단적 생활양식이 벌인 큰 일이 자연의 동적속성에 근거하여 독립적인 생명성을 획득하고 계속 가는 것이다.


    진보 – 자연의 동적속성에 근거하여 에너지 확산방향의 전개로 일을 벌여가는 인간의 집단적 생활양식이자 이에 근거한 정치적 태도다.


    보수 – 닫힌계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수렴방향으로의 일 전개에 맞춘 인간의 집단적 생활양식이자 이에 근거한 정치적 태도이다.


    진화 – 자연의 동적속성에 근거하여 열린계에서 에너지 확산방향으로 전개되는 우주와 물질과 자연과 생물과 문명의 일 진행이다.


    국가 – 인간의 의사결정은 대칭을 쓰는 바 아와 피아의 근원적 대칭성에서 근거하여 의사결정하면 국가의 속성을 가지게 된다.


    민족 – 언어, 관습, 문화, 역사, 종교 따위 다양한 2차적 대칭성에 근거하여 의사결정단위를 조직하면 민족의 속성을 가지게 된다.


    역사 – 문명의 진보를 인류의 독립적인 일로 보고 집단이 기승전결로 이어가는 일의 흐름에 맞게 일을 만들어 가는 것이 역사다.


    문화 – 집단 안에서의 소통양식이 상호작용을 통해 자연의 진화와 같은 생명성을 얻어 독립적인 의사결정의 스타일을 이룬다.


    정치 – 집단의 의사결정구조다. 일의 전개에 맞게 집단을 구성하는 다수의 자원과 의사결정할 리더와 이를 실행할 실무자로 조직된다.


    인생 – 삶을 독립적인 사건으로 보고 그 사건의 맥락을 이어간다. 전반기는 확산방향, 후반기는 수렴방향으로 호응시킬 수 있다.


    죽음 – 개인차원에서 인생의 일은 매끄럽게 완결되지 않으므로 집단으로 일의 범위를 확대하려는 태도가 내세사상으로 나타난다.


    인간 – 동물과 구분되는 인간 특유의 의사결정권리를 강조한다. 인간은 집단 안에서 일을 벌이는데서 일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


    민주주의 – 집단이 일을 벌이려면 주체의 건설이 선결되어야 하므로 일을 벌이기에 앞서 의사결정주체의 건설을 우선하는 입장이다.


    권위주의 – 이미 벌여놓은 일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효율성의 비가역성에 근거하여 효율적으로 일한다며 주체를 파괴하는 무리수다.


    자본주의 – 일의 전개를 따르는 일 중심의 경제구조를 주장하는 정치적 입장이다. 여러 일이 섞여 있으므로 본질적인 모순이 있다.


    사회주의 – 에너지 효율성의 비가역성에 따른 모순이 일의 주체를 파괴하는데 근거하여 의사결정주체의 안정을 우선하는 입장이다.


    ###


    존재는 곧 일이고, 사건이며, '의사결정의 연결'이라는 관점에서' 국어사전을 새로 쓴다면 이렇게 됩니다. 최대한 짧게 50자 안팎으로 써봤습니다. 한 단어씩 별도로 봐서는 안 되고 전체의 호흡 안에서 상대적 위치를 봐야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2016.01.04 (22:05:32)

동렬님 책 "창의하는 방법"에 보면 마이클 샐던의 "정의란 무엇인가" 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정의란 무엇인가" 를 구조론 적으로 정의한 내용이 나오는데. 구조론 사전에 넣기에 적합하다 생각 됩니다. 


정의(justice) - 개별적인 사안에 대한 집단의 의사결정이며, 이때 의사결정단위의 건설이라는 숨은전제가 노출되며, 그 전제가 충족되기 전에 하부구조에서의 섣부른 판단은 무의미하며, 그 전제는 공동체가 함께 만들어 가는 것이며 그러므로 기계적 정의는 절대로 없으며, 정의는 역사적 맥락에 따라 이해 되어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1.04 (22:29:45)

이번에는 단 50자로 해결해야 하는데다 일의 관점, 사건의 관점, 의사결정의 관점 위주로 쓰기로 했으므로 다르게 말하려고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0]id: 배태현배태현

2016.01.04 (22:13:28)

즐겨찾기 주소를 여기로 바꿔야 겠군요.
추가하거나.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1.04 (22:36:38)

정의 개인간의 충돌에 집단이 개입할 때 인간의 사회성과 맞는 개입방식이다. 집단의 존립과 발전방향에 맞게 해석되어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6.01.05 (06:23:36)

감사합니다. 공지로 맨 위에 올려주시면 어떨런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사발

2016.01.05 (09:32:10)

구조론사전이 책으로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레벨:12]락에이지

2016.01.05 (11:18:39)

구조론사전 나온적 없었나요? 저는 예전에 나왔다가 지금은 안 나오는줄 알았는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1.05 (11:22:01)

예전에 쓰다가 힘들어서 

컨셉을 바꿔서 다시 하고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387 사랑의 정석 54, 죄는 영원하다 image 1 김동렬 2016-02-16 4800
3386 노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1 김동렬 2016-02-15 4974
3385 노자 9, 중국의 몰락법칙 image 3 김동렬 2016-02-15 5336
3384 사랑의 정석 53, 부름에 응답하라 image 1 김동렬 2016-02-15 4557
3383 공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8 김동렬 2016-02-14 5553
3382 공자 15, 향당과는 말하지 않는다 image 1 김동렬 2016-02-14 5024
3381 노자 8, 무위는 필망이라 image 1 김동렬 2016-02-13 4954
3380 말을 똑바로 하는 것이 깨달음이다 image 5 김동렬 2016-02-12 5870
3379 공자 14, 창세기의 관점 image 1 김동렬 2016-02-12 4725
3378 사랑의 정석 52, 고빗길 넘어가기 image 1 김동렬 2016-02-12 4496
3377 깨달음의 전말 image 김동렬 2016-02-11 4751
3376 노자 7, 무위가 아니라 대위다 image 김동렬 2016-02-11 4755
3375 사랑의 정석 51, 정상이 되자. image 1 김동렬 2016-02-11 4648
3374 공자 13, 나면서 아는 사람 image 김동렬 2016-02-10 5474
3373 노자 6, 자갈처럼 구르다 image 김동렬 2016-02-09 4791
3372 공자 12, 백이도 숙제를 image 김동렬 2016-02-09 4796
3371 노자 5, 도는 암컷이다 image 김동렬 2016-02-08 4856
3370 공자 11, 문을 통하지 않고 나가랴 image 1 김동렬 2016-02-08 4906
3369 노자 4, 모르는 것을 말하다 image 김동렬 2016-02-07 5226
3368 논어 10, 충고하면 친구가 아니다 image 김동렬 2016-02-07 6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