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452 vote 0 2024.02.21 (13:16:20)

    https://url.kr/rizuef


    나무위키의 외왕내제는 잘못 기술되어 있다. 예컨대 과거 영국 왕은 잉글랜드 왕이면서 인도제국 황제를 겸했다. 좀 이상하다. 황제가 왕보다 높으니까 인도 식민지를 지배하는 영연방제국 황제라고 하는게 맞지 않나? 이상할게 없다. 황제가 왕보다 높다는 생각은 중국식 천하관이다.


    중국식 천하관은 주자에 의해 강조되어 명나라 이후 정착한다. 영국왕은 한때 피지 대추장을 겸임하기도 했다. 왕도 되고, 황제도 되고, 추장도 되는게 전혀 이상하지 않다. 왕이니까 왕이고, 황제니까 황제고, 추장이니까 추장이다. 황제가 추장을 겸할 수 없다는 생각은 중국식 사고다.


    직할지를 다스리면 왕이고 간접지배 하면 황제다. 일본의 어떤 족보는 자기네 조상을 백제의 왕이면서 마한의 황제라고 기록했다. 백제가 마한보다 높으므로 백제제국 황제가 맞지 않나? 일본 사람이 족보를 잘못 알고 백제왕국이 마한제국 속국이라고 착각한거 아니겠는가? 천만에. 


    마한은 연맹국가이므로 황제가 맞다. 이 관점으로 보면 흉노 황제도 부족연맹장에 불과하다. 흉노 대추장이라고 불러야 한다. 유목민은 원래 간접 지배하기 때문이다. 중국 황제는 세습되지만 만주와 몽골 황제는 추대된다. 청나라 황제는 매번 몽골로 가서 황제 추대의식을 치렀다. 


    두 번 즉위한다. 아버지가 죽으면 자동으로 황제가 되는 것은 한족 관습이다. 유목민은 한곳에 정착하지 않고 떠돌아다니므로 직접 만나서 얼굴을 보지 않으면 누가 황제인지 알게 뭐야? 한족이라면 어차피 황제는 자금성 안에 갇혀 있으니 걱정 없다. 황제 얼굴을 몰라도 되는 거다. 


    고려뿐 아니라 베트남, 서하를 비롯해 다들 외왕내제 했다. 고려왕은 제주도, 울릉도, 발해유민, 여진족을 직접 지배할 수 없으므로 황제가 될 수밖에 없다. 탐라왕이 '나는 왕이다' 하면 고려 황제는 '나는 황제다'로 받을 수밖에. 다른 적절한 호칭이 없으므로 어쩔 수 없는 것이다.


    왕은 전제권력이고 황제는 간접지배다. 지금 기준으로 그 당시의 역사를 보면 곤란하다. 중국식 천하관은 명나라 이후다. 당시 호칭 인플레로 혼선이 심했다. 백제나 가야나 신라나 고구려나 서로를 향해 너희는 예전부터 우리 신하였다. 그러므로 너희는 우리의 속국이다. 그러고 있다. 


    동시에 조까! 난 니 밑에 들어간적 없다. 우리는 원래 독립국이다. 그런다. 광개토대왕비는 죄다 고구려 잔국, 속국이라고 주장한다. 일본의 역사왜곡도 같다. 다들 왜곡하는 분위기인데 나만 순진하게 당할 수 없다는 식이다. 일본이 내부적으로 황제를 칭하는 것은 틀린 표현이 아니다. 


    조선시대 이후 확정된 중국식 천하관을 소급해서 중세 일본에 적용할 이유가 없다. 황제가 왕보다 높다는 생각이 틀렸다. 통치방식의 차이일 뿐. 왕은 황제와 추장을 겸임할 수 있다. 내왕외제도 있는데 나무위키는 꼼수라고 써놨지만 꼼수가 아니고 그냥 사실이 그래서 그렇게 한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125 구조의 발견 김동렬 2024-11-21 6277
7124 트럼프의 고통 김동렬 2024-11-21 7113
7123 관성의 법칙 김동렬 2024-11-21 5854
7122 한동훈의 자멸정치 김동렬 2024-11-21 5674
7121 원자와 구조 김동렬 2024-11-20 5996
7120 대전환 김동렬 2024-11-20 7048
7119 추사 원교 창암 image 김동렬 2024-11-20 6570
7118 과학은 안을 본다 김동렬 2024-11-19 5724
7117 남자의 이상행동 image 1 김동렬 2024-11-19 7057
7116 한동훈 대 이재명 1 김동렬 2024-11-18 7037
7115 외계인은 없다 2 김동렬 2024-11-18 6047
7114 안과 밖 2 김동렬 2024-11-18 5468
7113 방향판단 김동렬 2024-11-17 5536
7112 관성 4 김동렬 2024-11-16 6015
7111 생각문제 김동렬 2024-11-15 7122
7110 정신병자의 기술 김동렬 2024-11-14 5482
7109 사법부의 판결정치 김동렬 2024-11-14 5287
7108 일론 머스크와 샘 알트먼 김동렬 2024-11-13 5119
7107 구조개념 김동렬 2024-11-13 5201
7106 추락하는 자는 허세가 있다. 김동렬 2024-11-12 4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