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824 vote 0 2016.01.21 (18:48:59)

     

    깨달음은 신이다


    신은 전지전능하다. 참 좋겠다. 과연 신은 좋은 직업일까? ‘이웃집에 신이 산다’는 제목의 영화도 있다는데 그다지 행복한 표정은 아니더라. 전지전능한 사람은 작가다. 주인공을 살릴 수도 있고 죽일 수도 있다. 맘대로다. 그러나 모든 작가들이 행복한 얼굴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더라.


    누구든 작심하면 신이 된다. 펜을 쥐기만 해도 신이 되고, 자판을 두들겨 패기만 해도 신이 된다. 그러나 제대로 신이 되어주는 사람은 드물다. 맘대로는 맘대로인데 맘대로 일을 저지르기 쉬워도 수습하기 쉽지 않다. 깨달음도 마찬가지다. 누구든 깨달을 수 있는데 제대로 깨닫기 어렵다.


    아는 것은 물질이고 깨닫는 것은 일이다. 지식은 쉽다. 머리 속에 주워담기만 하면 된다. 깨달음은 어렵다. 얽힌 실타래를 살살 풀어야 한다. 일은 서로 연동되어 돌아가기 때문이다. 일은 불과 같다. 불을 방치하면 활활 타올라서 단번에 연료가 고갈되고 단속하면 풀이 죽어서 꺼져버린다.


    지식과 깨달음은 방향이 반대다. 지식이 플러스면 깨달음은 마이너스다. 지식은 많을수록 좋다. 깨달음은 만남이다. 만남은 균형이 중요하다. 촛불의 심지가 가늘면 촛농에 묻혀서 불이 꺼진다. 심지가 굵으면 촛농이 흘러내려서 망한다. 양초와 심지 사이에서 완벽한 비례의 지점은 단 하나다.


    aaaaa.jpg


    절에서 쓰는 굵은 양초는 모두 균형이 안 맞아서 불꽃이 파묻힌다. 한국의 누구도 그 균형의 지점을 찾아내지 못한 것이다. 양초의 굵기는 세계적으로 같다. 균형만 맞으면 그때부터는 신경쓸 필요가 없다. 당신이 작가라면 선하고 악한 캐릭터들 사이에서 밀당의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


    신은 머리가 좋다. 머리좋은 사람은 합리적인 방법을 쓴다. 합리적인 방법은 되도록 반복되는 노가다를 하지 않는 것이다. 대신 다른 사람을 시킨다. 직접 삽질하기보다 삽을 주고 명령을 내린다. 신은 합리적이므로 참새와 메뚜기와 시궁쥐를 하나씩 창조하는 미련한 방법을 쓰지 않는다.


    유전자를 던져놓으면 지네들이 알아서 진화한다. 불을 붙여놓으면 양초가 알아서 탄다. 작가는 캐릭터를 쓴다. 선역과 악역의 대칭적인 캐릭터를 던져놓으면 지네들끼리 상호작용하여 소설을 끌고 간다. 신은 일하지 않는다. 일은 누가 하는가? 일이 일한다. 깨달음은 일을 일시키기다.


    일 시켜먹기 쉽지 않다. 균형을 맞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깨달음은 신이 되는 것이다. 전지전능해지는 것이다. 어렵지 않다. 펜을 쥐기만 하면 주인공을 죽이고 살릴 수 있다. 다만 균형을 맞추어 밀당이 계속 이어지게 해야 한다. 캐릭터가 지들끼리 상호작용으로 끌고 가게 해야 한다.



aDSC01523.JPG


    요즘 같은 망조경제시대에는 신도 사표내고 도망갈 판입니다. 우리가 신의 고뇌를 이해해야 합니다. 전지전능한게 반드시 좋은 소식인 것은 아닙니다. 깨달음은 신의 마음을 가지는 것입니다. 진보와 보수도 양초와 심지의 관계입니다. 진보를 서두르면 촛농이 흘러내리고 보수가 완강하면 꺼져버립니다. 딱 중간은 원래 없고 밀당을 해줘야 합니다. 단 밀당의 주도권은 언제나 진보에 있고 보수에는 없습니다. 보수는 필요한 악역이지만 수시로 밟아줘야 합니다. 보수와 일베는 밟히는게 일이니까요. 보수를 디딤돌 삼아 사뿐히 즈려밟고 더 높은 세계로 올라서야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아나키

2016.01.21 (21:03:57)

악역이지만 수시로 밟아줘야 한다. -동감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6.01.22 (04:36:02)

보수를 일 시키는 방법을 고완하면 되겠네요.
보수는 대접 받기 좋아하니 역할을 주면 되는데, 진보는 대접 받기 좋아하는 보수를 대접하는 것에 경끼가 있으니, 보살된다 생각하고 대접해주면 되고, 중장년층엔 일을, 젊은이에게는 기회를 넓혀주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 해보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487 사랑의 정석 30, 철학의 의미 1 김동렬 2016-01-12 4683
3486 공자는 누구인가? 1 김동렬 2016-01-12 5722
3485 사랑의 정석 31, 이기는 팀에 들기 1 김동렬 2016-01-13 4755
3484 철학사전 개괄 1 김동렬 2016-01-13 5499
3483 소승 대승 돈오 image 김동렬 2016-01-14 5219
3482 사랑의 정석 32회, 철학의 세 질문 1 김동렬 2016-01-14 4709
3481 사랑의 정석 33, 악은 없다 1 김동렬 2016-01-15 5180
3480 왜 완전성인가? 2 김동렬 2016-01-15 4846
3479 이 시대에 왜 공자인가? 김동렬 2016-01-16 5455
3478 사랑의 정석 34, 합리적인 선택 1 김동렬 2016-01-18 4681
3477 신영복 선생의 완전성 image 김동렬 2016-01-18 6211
3476 사랑의 정석 35, 불만없이 진보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1-19 4733
3475 공자 이후에 공자가 없었다 image 김동렬 2016-01-19 4924
3474 사랑의 정석 36, 깨달음의 소리 image 1 김동렬 2016-01-20 4579
3473 공자와 제자 image 2 김동렬 2016-01-20 5026
3472 사랑의 정석 37, 새누리의 참패 2 김동렬 2016-01-21 4859
» 깨달음은 신이다 image 2 김동렬 2016-01-21 5824
3470 사랑의 정석 38, 깨달음은 1인칭 image 1 김동렬 2016-01-22 4710
3469 깨달음은 너와 나를 넘는다 image 1 김동렬 2016-01-22 12313
3468 사랑의 정석 39. 깨달음의 보상 image 3 김동렬 2016-01-25 4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