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893 vote 0 2016.09.15 (12:23:38)

     

    구조론 1분 설명


    이것이 이렇게 되면 저것이 저렇게 된다는 것이 구조다. 이때 이것과 저것은 엮여 있다. 구조의 엮임을 대칭이라고 한다. 그 대칭의 종류가 다양하다. 공간적으로 엮여 있는 대칭 뿐 아니라 시간적으로 엮여있는 호응도 있다. 대칭의 형태를 결정하는 것은 매개변수다. 매개변수는 다섯가지가 있으므로 대칭의 종류도 질, 입자, 힘, 운동, 량 다섯가지가 있다. 그리고 이 다섯가지가 합쳐져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사건을 구성한다. 사건은 외력으로 작용하는 에너지를 계에 태우고 그 에너지작용의 불균일에 따른 내적 모순을 처리하는 형태로 일을 한다. 이때 에너지를 태우는 입력측의 상부구조와 일하는 출력측의 하부구조로 나눠진다. 이들이 일하는 방식에 따라 세상의 모든 것이 결정된다. 구조는 곧 의사결정구조다. 구조의 엮임이 계를 이루어 에너지를 태웠을 때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의사결정하는지를 추적하는 것이 구조론이다. 구조는 기본적으로 이것과 저것 사이에서 상호작용의 방법으로 일한다. 인류과 지금까지 탐생해온 방법은 원인과 결과의 일방작용이다. 원자론적 사유와 결정론적 사유로 세상을 상대해온 것이다. 그러나 상호작용의 세계는 원인과 결과의 순차적 진행이 아니라 대칭의 축 하나가 움직여서 대칭된 날개 둘을 동시에 결정하는 일의성의 원리 곧 게임이론적인 동시적 상황, 확률적 상황, 양자론의 불확적성적 상황으로 안내한다. 완전히 다른 세계가 열린다. 그 세계로 당신을 초대한다.


 01.jpg


인과적 세계관


02.jpg


상호작용의 세계관


555.jpg


    명절에 철 지나간 성룡영화나 보느니 구조론 공부가 적당하오. 왜 구조를 알아야 하는가? 구조의 종류가 꽤 많기 때문입니다. 손자병법만으로 이야기가 끝나지 않는게 오자병법도 있기 때문입니다. 결정적으로 당신은 시계 속에 살고 있는게 아니라 게임 속에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찰리 채플린의 모던 타임즈에서 주인공 떠돌이는 거대한 톱니바퀴들 속에 갇혀버립니다. 바쁘게 돌아가는 시계 속에 들어가 버린 것과 같습니다. 그것이 근대의 사유입니다. 그러나 현대는 다릅니다. 세상은 시계가 아니고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바퀴가 아닙니다. 세상은 게임입니다. 시계는 시계방향이라는 한 방향으로만 작동하지만 게임은 드롭과 레이즈의 두 방향으로 작동합니다. 게임은 반드시 상대가 있어야만 성립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상대방은 당신이 패를 선택할때까지 의사결정을 유보한 채로 당신을 째려보고 있습니다. 뒤통수를 치지 않으면 집니다. 구조론이 안내하는 상호작용의 세계관을 익힌 자가 승리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50 나의 이야기 image 7 김동렬 2016-10-10 9634
3649 우주는 도너츠다. image 2 김동렬 2016-10-07 9705
3648 그것이 그것이다 image 1 김동렬 2016-10-06 8940
3647 물질이냐 에너지냐 image 김동렬 2016-10-06 8178
3646 참교육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6-10-05 8761
3645 노벨물리학상과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6-10-05 8493
3644 구조주의 정치학 image 김동렬 2016-10-04 8702
3643 구조론의 개요 image 김동렬 2016-10-03 7887
3642 구조주의 심리학 image 김동렬 2016-10-02 8853
3641 언어에는 언어가 없다 image 김동렬 2016-10-02 7994
3640 왜 한중일미독인가? image 김동렬 2016-10-01 8215
3639 세상은 마이너스다. image 김동렬 2016-10-01 7658
3638 이것이 진짜 한국사다 image 김동렬 2016-09-29 9221
3637 모든 이야기의 이야기 image 3 김동렬 2016-09-29 8203
3636 구조주의 역사학 세계사 image 김동렬 2016-09-28 8449
3635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6-09-27 8471
3634 죽음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9-27 8499
3633 신의 존재에 대한 견해들 image 2 김동렬 2016-09-27 8087
3632 구조론은 범신론이 아니다 image 3 김동렬 2016-09-26 7856
3631 이중의 역설을 이해하자 image 8 김동렬 2016-09-26 8193